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활 세계의 심미화와 그 비판으로서 추 -볼프강 벨슈와 테오도르 W. 아도르노를 중심으로-

        임명규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인문학연구 Vol.0 No.68

        본 논문은 생활 세계의 심미화가 감각적 쾌를 심급으로 한 아름답게 꾸미기를 주된 현상으로 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생활 세계의 심미화로 발생하는 예술의 문제, 특히 추의 지위와 의미 변화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생활 세계의 심미화 현상을 현대사회의 주요 특징으로 진단하고 이 맥락에서 추에 관한 입장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는 볼프강 벨슈(W. Welsch)와 테오도르 아도르노(Th. W. Adorno)의 미학을 분석하고, 각 입장에서 나타나는 추의 규정을 비교한다. 벨슈는 생활 세계의 심미화와 그로 인해 발생하는 일상과 예술의 탈경계화를 긍정하고 이를 근거로 감성학의 필요성을 정당화한다. 그는 심미화를 아름다운 심미화와 인식론적 심미화로 구분하면서, 심미화의 부정적 결과를 과심미화라고 말한다. 그는 심미화의 부정적 결과인 과심미화를 교정하는 역할로 추를 제시한다. 한편, 아도르노는 생활 세계의 심미화와 일상과 예술의 탈경계화를 현대의 위기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예술의 저항으로 예술의 자율성을 강조한다. 예술의 자율성은 새로운 예술과 추의 계기를 통해 중단없는 예술비판과 사회비판을 진행한다. 벨슈와 아도르노는 생활 세계의 심미화와 그로 인한 일상과 예술의 탈경계화 현상에 대한 뚜렷한 대립에도 불구하고 공통으로 자신의 미학에서 예술적 추의 역할과 필요성을 인정하고 수용한다. 생활 세계의 심미화에 대해서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입장 모두 심미화에 대한 소극적 교정 또는 적극적 비판의 준거점으로서 추에 주목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article focuses the aestheticization of life-world as a phenomenon of beautification with a strong emphasis on sensuous pleasure and analyzes the problems of art arising from the aestheticization of the living world, especially the changing status and meaning of Ugliness. For this purpose, I analyze and compare the aesthetics of Wolfgang Welsch and Theodore Adorno who diagnose the aesthetic phenomenon of life-world as a major feature of modern society, clarify their determining the status of Ugliness in the aesthetic phenomenon of life-world. Welsch affirms the aestheticization of world and trans-boundary of everyday life and art resulting from it, and then he justifies it as a need for aesthetics. He divides the aestheticization into beautiful aestheticization and epistemological aestheticization, and calls the negative consequence of aestheticization hyper-aestheticization. He presents ugliness as a corrective to the negative consequence of aestheticization, hyper-aestheticization. On the other hand, Adorno recognizes the aestheticization of life-world and trans-boundary of everyday life and art as a crisis of modern, and emphasizes autonomy of art as art's resistance to it. According to him art can get the autonomy when new art and ugliness work as an uninterrupted art criticism and social criticism. Welsch and Adorno are sharply opposite to the aestheticization of life-world and trans-boundary of everyday life and art resulting from it. but, we can see that their aesthetics agree wiht the important role and necessity of artistic ugliness. In this article we will find out that despite they affirm or deny the aestheticization of life-world, they both turn to ugliness as a point of reference for passive correction or active critique of aestheticization.

      • KCI등재

        로젠크란츠와 보들레르의 `추의 미`와 캐리커처

        임명규 ( Lim Myung-gyu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0 No.54

        본 논문은 로젠크란츠와 보들레르가 캐리커처라는 새로운 예술장르를 `추의 미`로 포착하고 있음을 밝히고, 그 미적 가치를 이론화 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분석한다. 로젠크란츠는 추의 미적 정당화를 시도하면서, 일반 추와 아름다운 추를 구분하고 캐리커처를 `아름다운 추`로 규정한다. 일반 추가 부자유를 자신의 근거로 삼는다면, 아름다운 추는 `부자유의 자발성`을 자신의 근거로 삼는다. 캐리커처의 과장과 비틀림, 비교와 지시의 과정이 완벽하게 창조된다면, 캐리커처는 무한한 자유의 가상으로 현상된다. 로젠크란츠는 추의 최상급이 질적인 도약을 통해 미의 최상급인 절대미와 같은 무한한 아름다움을 획득한다면서, 추의 미적가치를 변증법적으로 정당화한다. 한편, 보들레르는 웃음의 본질과 캐리커처의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를 통해 `추의 미`의 관점에서 캐리커처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그는 웃음의 이중성이 인간의 이중성에서 기인한다고 말하는데, 이런 웃음의 이중성은 문명화된 도시인이 경험하는 현대적 삶의 이중성과 긴밀한 내적 연관관계를 갖는다. 보들레르는 이 같은 성격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예술이 바로 캐리커처라고 분석한다. 이와 같은 보들레르의 분석은 그의 이중성의 미학에 근거한다.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beautiful ugly`, Rosenkranz`s and Baudelaire`s caricatures represent an ugliness worthy of their very subjects. In comparison, caricature study is important to comprehending modern art. J. K. F. Rosenkranz tried to change the point of view in the Aesthetics of Ugliness, which is understanding Ugliness in an aesthetic category. To him, ugliness had its own value to be investigated as equivalent to beauty, because Ugliness is thought to be necessary for the purpose of art, namely the `perfection of world-understanding`. According to Rosenkranz, ugliness arises from the essence of an idea and is based on non-freedom. Supreme ugliness, which responds to absolute beauty, is a caricature, which indicates emphatically the original image with exaggeration and distortion. So, caricature is spontaneous non-freedom, which implies the negation of truthful freedom, but is more of positive freedom as well. With non-freedom, caricature indicates freedom and with ugliness, aesthetic image. Caricature achieves aesthetic completion such as absolute beauty and crosses over not only to the extremes of beauty such as sublimeness and pleasure, but of ugliness such as immodesty and disgust. In arguing for the centrality of the essays on caricature in Baudelaire`s aesthetic system more important, to submit those ideas, and our understanding of them. In particular, the peculiar oxymoronic nature of laughter, which he treats as a contradiction in terms, represents in boldly exaggerated form, like a good caricature, the dualism of art itself, the contradiction inherent in all artistic creation, as in mankind―at once diabolical and divine, real and ideal, ugly and beautiful, temporal and enduring, inferior and superior. These essays, thus, bring out, more than any other, the essential humanity, or in the vast theological metaphor of the essence of laughter. From the essential dualism of caricature, Baudelaire posits that most extreme dualistic example, a paradoxical art of modernity. Indeed, what emerges from a study of the essays on caricature constitutes a central argument of the painter of modern life, treated at length in Chapter 4. The important and influential theory of the modern beautiful, formulated in this book. These essays thus propose not only an aesthetic of caricature, but also a caricatural aesthetic―dual and contradictory, grotesque, ironic, violent, farcical, fantastic and fleeting―which defines the painting of modern life, and in large part, the discourse of modernity as well.

      • KCI등재

        기판 집적 도파관을 이용한 아날로그 페라이트 위상 천이기

        임명규(Myunggyu Yim),변진도(Jindo Byun),이해영(Hai-Young Lee) 한국전자파학회 2011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2 No.4

        기존의 수동 위상 배열 시스템에 사용되는 구형 도파관(rectangular waveguide)을 이용한 아날로그 페라이트 위상 천위기는 높은 전력 취급 능력을 갖는 반면에 무겁고 높은 제작 비용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PCB 제작공정을 이용하여 낮은 제작 비용으로 쉽게 제작이 가능한 기판 집적 도파관(SIW)을 이용한 아날로그 페라이트 위상 천위기를 제안한다. 본 제안 구조는 페라이트를 삽입할 부분의 유전체를 제거하고, 그 부분에 페라이트를 삽입하여 제작하였다. 측정 결과, 중심 주파수 14.05 ㎓에서 최대 5.1° / ㎜ 위상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12.9 ㏈ 이하의 반사 손실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제안 위상 천이기는 위상 배열 시스템의 경량화 및 저가격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nalog ferrite phase shifters based on rectangular waveguides which are used as component of passive phased array system have high power handling capability, but it is heavy and has high cost to fabricat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nalog ferrite phase shifter using 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SIW), which has low cost and is easy to fabricate because it uses printed circuit board(PCB) process. The proposed structure is fabricated by using centeral dielectric material removal for inserting a ferrite bar. The measured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tructure has not only 5.1° / ㎜ phase variation but also return loss variation under 12.9 ㏈.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phase shifter can plays an role to reduce weight and to has low cost on the phased array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