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폭력에 대한 인정 이론적 이해와 정책적 함의 탐색

        김천기 교육종합연구원 2014 교육종합연구 Vol.12 No.2

        If it is valid to understand the school bullying as a damage to self-esteem, universal human rights or existence values, the theory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must be the most needed and proper theory. It is because the theory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provides normative foundations to understand and criticize the school bullying in terms of a damage to self-esteem, universal human rights or existence values. Moreover, the theory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not only places great emphasis on the restoration of inter-recognition relationship damaged by the school bullying, but also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to discuss how to establish the inter-recognition relationship in a precautionary aspect. Even though Axel Honneth's theory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which is based on Hegel's 'struggle for recognition', doesn't focus on the school bullying matter, we can develop the discussion of the theory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with resolving school bullying in mind.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chool bully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recognition struggle and discussed policy implications for resolving school bullying. And this study not only showed how important the restoration of inter-recognition relationship is in dealing with the school bullying, but also suggested what policy transitions were needed for realizing the restoration. Specifically, this research discussed ways of complementing and integrating restorative justice and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light of the theory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thereby respecting student' diverse abilities and individuality.

      • SCOPUS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이명박 정부의 공교육정책 지배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공교육부실담론을 중심으로

        김천기 한국교육사회학회 2009 교육사회학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course of the low educability of the public schools that constitute the hegemonic discourse of the educational policies of Lee Muyng-bak's government. The focus of the study is on the discourse on excellence, diversity, autonomy, disclosure of the scholastic achievements of the schools and the government's educational policy based on that discourse. Though the discourse underlying the educational policies appears to be plausible, it is concluded that the discourse is not valid and justifiable. The conservative discourse on the schools' failure is nothing but the discourse on the superiority of private education; the diversification of the school type means the dual system of the ordinary school and high-ranking school divided according to the social class; educational excellence means the concentration of the excellent students in some self- funded schools and autonomous private schools; liberalization of the school is to model the operating system of the cram schools. The disclosure of the scholastic achievements of the schools is not for evaluating the school effectiveness, but for simply comparing the proportions of the excellent students among the schools, in favor of the schools in the upscale urban community. The discourse underlying the educational policies of Lee Muyng-bak's government is not directed toward establishing new educational paradigm, but strengthening the outdated educational competition of the schools. The educational policies following the discourse are absolutely advantageous to the dominant class in educational competition, which means far greater increase in the dominant class' ratio of entrance of prestigious universities than ever. They will lead to serious results as reproduction of social inequality is institutionalized by public schools, far from improving the educability of all the schools. 본 연구의 목적은 이명박 정부의 공교육정책의 지배담론을 형성하고 있는 공교육부실담론의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여기서는 교육의 수월성․다양화, 자율화, 성적 공개 등의 쟁점에 한정해서 살펴보았다. 공교육부실, 학교자율화, 다양화, 수월성, 학교별 성적 공개 등에 대해서는 누구도 이의를 제기할 수 없을 정도로 당연한 것으로 보인다. 공교육부실이라는 대중적 믿음에다가, 자율화, 다양화, 수월성, 성적 공개 등 그 용어를 보면 그 어떤 것도 설득력을 갖지 않은 것이 없어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내용을 보면, 그 어느 것 하나 타당성․정당성을 인정하기가 어렵다. 공교육부실담론은 기실 공교육위기를 조장하는 사교육우월담론이며, 학교유형 다양화는 엘리트교육과 일반보통교육으로 이원화하는 계층분리교육이며, 수월성은 소수 사립학교에로의 우수학생 집중화이며, 학교자율화는 교육자율화가 아니라 학교의 입시학원화이다. 공교육부실담론에 따른 교육정책들은 기존의 구태의연한 입시경쟁교육의 틀을 벗어나서 새로운 교육패러다임을 구축하기 위한 개혁이 아니다. 그러한 것들은 지배집단의 명문대 입학의 유리함과 연관된 교육제도의 변동으로, 오히려 사회불평등을 확대 재생산하고 교육본질의 구현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평준화제도의 불평등성 논쟁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거주지 중심 학교배정을 중심으로 -

        김천기 한국교육사회학회 2005 교육사회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거주지 중심 학교 배정”을 하는 평준화제도가 불평등한가에 관심을 가지 고 출발하였다. 단일 학군제를 택하고 있는 대부분의 평준화 지역과는 달리, 복수 학군제를 택하고 있는 서울평준화 지역에서 불평등 논란이 일어나기 때문에 서울평준화 지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 다. 과연 저소득층 학생은 거주지 중심 배정으로 불이익을 받는가? 학력 수준이 높은 8학군 학교에 다닐 수 있다면 학업성취도가 향상되고 상위권 대학 진학률이 높아 질 수 있는가?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논의를 통해 이른 바 “학군 효과”를 새롭게 정의(定義)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저소득층의 학력 상승과 상위권 대학 진학률이 높아질 수 없는 이유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whether the policy of assigning students to high schools by their place of residence is problematic in terms of educational inequality in the large urban system of considerable segregation of students among neighborhoods and among schools by class. In this case, the policy of assigning students to high schools by their place of residence is identified as the “Equalization Policy.” Specifically, this study raises the two questions: (1) Is that restricted choice policy disadvantageous especially to the low-income students? (2) If the low-income students trapped in “inferior” school districts are allowed to study in the schools of the affluent 8th School District, is there a possibility that their scholastic achievements will be higher and the ratio of their entrance to the top universities will increas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High School Districts in Seoul, among which there is stratification by students' achievements and family income. In this study “school district effect,” which was previously used as the meaning of the aggregates of the school effects is redefined as complex effects of interaction among the SES, private education etc.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has shown why the low-income students could not succeed, even if they should be enrolled the schools in the 8th School District. In conclusion, the low-income students are not disadvantageous especially owing to the neighborhood school policy. This does not support the claim that the policy causes the educational inequality for low-income students. Given that the complex district effect, the low-income students will not succeed in the 8th school district. The policies that could alleviate the problems of complex district effect advantageous to the higher and middle class are required.

      • KCI우수등재

        보울즈와 긴티스의 포스트 마르크스주의로의 전환과 신교육이론

        김천기 한국교육학회 1993 敎育學硏究 Vol.31 No.5

        본 연구에서는 마르크스적 재생산 이론가로 알려진 보울즈와 긴티스가 종전의 마르크스적 입장을 탈피, 새롭게 제시한 소위 “포스트 마르크스”적 교육이론을 고찰하고 있다. 특히 (1) 종래의 사회적 재생산이론 이후 새롭게 제시한 신이론의 포스트 마르크스적 특징은 무엇일까? (2) 신이론에서는 선진자본주의의 교육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이는 종래의 마르크스적 재생산 이론과 어떻게 다른가? (3) 그리고 포스트 마르크스적 시각에서는 신우익의 주도로 이루어진 1980년대 미국 사회의 변화와 교육개혁의 성격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와 같은 질문들에 대한 논의를 통해 보울즈와 긴티스의 포스트 마르크스 이론이 자본주의 사회의 교육의 역할에 대한 이해 방식에 새로운 패러다임적 전환을 가져왔는가를 평가하고, 또한 사회, 교육 변혁 운동에 갖는 함의가 무엇인지를 논의하고 있다.

      • KCI등재

        교사의 학교만족도 관련 요인

        김천기,임순일,최원진 한국교육사회학회 2009 교육사회학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 analyze the effects of the teachers' social capital, the teachers' efficacy, the teaching skill, and the roles of principals on the teacher's school satisfaction; and to b)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bove factors. This study will provide important data on ways to raise the teachers'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s.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Survey of Teachers' Opinion on Teaching in Middle School', condu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2004.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6385 middle-school teachers. The statistic method of analysis is Amos 7.0, because the software is suitable for analyzing the factors of the teachers' school satisfa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teachers' school satisfaction is directly and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teachers' social capital, their teaching skill, and the roles of principal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school satisfaction and teachers' efficacy is partially mediated by the teaching skill and the social capital.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school satisfaction and the roles of the principal is partially mediated by the teachers' efficacy and the social capital. These findings imply that principals should support teachers in improving the teachers' school satisfaction. The principals need to allow teachers to exercise their autonomy on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In addition, the teachers need to help students to study on their own initiative, and find creative ways of teaching, rather than merely delivering subject matters. They also need to establish a close rapport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이 연구에서는 교사의 사회자본, 효능감, 수업방법과 학교장의 역할이 교사의 학교만족도에 실제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이들 변인간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이 2004년에 전국 200개 중학교를 대상으로 수집한 데이타를 사용하였다. 이들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추정하기 위해 구조모형으로 가시화하여, SPSS통계 프로그램과 AMOS 7.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사회자본, 교사의 수업방법, 교장의 역할은 교사의 학교만족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준다. 즉 학교에서 공식적․비공식적 교류를 통해 형성된 교사의 관계망, 학생과의 정서적 교감과 만족스런 학습지도, 교사의 교육활동에 대한 학교장의 지원과 교사의 자율적 권한 확대 등이 교사들의 학교만족도에 큰 영향을 준다. 둘째, 교사의 효능감은 수업방법 및 사회 자본을 매개로 하여 학교 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교사의 효능감은 수업의 질 향상 및 교사들 간의 긍정적인 관계 촉진에 많은 도움을 줄뿐 만 아니라 이를 매개로 교사의 학교만족도 향상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학교장의 역할은 교사 효능감과 교사의 사회자본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학교장이 학교교육 개선을 위한 교사들의 아이디어에 관심을 가지고 교수학습에 관련된 지원을 아끼지 않을 때 교사 효능감이 높아지고, 향상된 교사의 효능감은 교사의 사회자본을 매개로 교사의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학교장의 역할은 또한 사회자본을 매개로 학교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즉 학교장이 교사들의 신뢰 및 협력관계 형성에 적극적일 수록 교사의 사회자본 형성에 도움을 주며, 교사의 학교만족도 또한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