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콜레스테롤 흡수저하 기능성소재 개발을 위한 식물성 유지 중의 Sterols 분석 및 Stanol로의 수소첨가반응

        인만진(Man-Jin In),김동청(Dong Chung Kim),채희정(Hee Jeong Chae),김명희(Myung Hee Kim),임병순(Byoung Soon Im),김의용(Eui Yo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8 No.5

        모세관 컬럼을 이용한 가스 크로마토그라프법으로 식물성 유지와 대두유 제조 부산물인 mist oil 중에 함유되어 있는 스테롤과 스탄올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식물성 유지 중에서 총 스테롤의 함량은 옥수수유, 현미유, 고추씨 기름, 참기름 등이 0.67~0.89g/100g의 높은 값을 보였다. 대두유 제조 과정에서 탈취 후 얻어지는 부산물인 mist oil에는 10.2g/100g로 다량의 스테롤이 함유되어 있어 스탄올제조의 원료로 적합하였다. Mist oil을 비누화한 후 Pd을 촉매로 실온에서 수소첨가반응시켜 스테롤을 스탄올로 전환시킨 결과, 수율이 4~5배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The contents of sterols and stanols in vegetable oils and mist oil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using a capillary column. The total sterol contents showed high values of 0.67~0.89g/100g in corn oil, rice bran oil, red pepper seed oil and sesame oil. Mist oil, a byproduct of soybean oil manufacture, was a suitable raw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stanol since it showed high sterol content (10.2g/100g). In the hydrogenation of sterol contained in mist oil using Pd catalyst, the effects of saponification of oil were examined. The conversion of sterol to stanol was improved by a factor of 4~5 through saponification of oil, compared to the reaction without saponification.

      • KCI등재

        인삼박 n-Hexane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및 항암 활성

        인만진 ( Man Jin In ),채희정 ( Hee Jeong Chae ),김동청 ( Dong Chung Kim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14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7 No.3

        인삼 추출물 제조 부산물인 인삼박의 지용성 성분을 n-hexane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인삼의 n-hexane추출물과 비교하였다. 인삼박의 hexane 추출물(HEGM)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188.8 mg/100 g으로, 인삼의 hexane 추출물(HEG)의 82%를 함유하고 있었다. HEGM의 DPPH 유리 라디칼 소거활성은 IC50이 2.07 mg/mL이었고, 이는 총 폴리페놀 함량과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HEG가 농도에 비례하여 인체 폐암세포(A549, GI50 =20.0 μg/mL)와 대장암세포(SNU-C4, GI50 = 37.0 μg/mL)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과 동일한 양상으로 HEGM도 폐암세포(GI50=34.0 μg/mL)와 대장암세포(GI50 =45.2 μg/mL)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삼박에서 얻어진 HEGM이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갖는 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A lipid-soluble extract in ginseng marc was preparedby n-hexane extraction to evaluate its antioxidant and anticancerpotential. A hexane extract of ginseng marc (HEGM) possessed a2, 2-di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which was related to the amount of total phenolics. Also, HEGMshowed a potent inhibitory activity on human non-small cell lungcancer (A549, GI50=34.0 μg/mL) and colon cancer (SNU-C4, GI50=45.2 μg/mL) cells proliferation in vitro in a concentrationdependentmanner as did the hexane extract of ginseng with GI50values of 20.0 μg/mL in A549 and 37.0 μg/mL in SNU-C4. Theseresults imply that HEGM can be utilized as an antioxidant andanticancer substance.

      • KCI등재

        Haematococcus pluvialis로부터 Haematococcus 추출물 제조 공정에서 효소 처리가 추출 효율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인만진(In, Man-J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0 No.1

        우수한 항산화제로 알려진 astaxanthin을 함유한 H. pluvialis 균체로부터 작용기작이 상이한 exo형과 endo형의 단백질 분해 효소와 복합 다당류 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식품용 haematococcus 추출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조사하였다. 상업용 단백질 분해 효소로는 Alcalase (endo형)와 Flavourzyme (exo형)을 복합 다당류 분해 효소로는 Viscozyme을 사용하였다. 단백질 분해 효소는 endo형과 exo형을 병용하는 것이 추출물의 astaxanthin 함량을 증가시켰다. Viscozyme과 함께 2종류의 단백질 분해 효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Alcalase와 Flavourzyme을 병용하여 1차로 처리한 후 Viscozyme을 2차로 사용하는 2단계 가수분해 방법이 적절하였다. 이 조건에서 astaxanthin 함량은 효소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320% (529 μ g/g → 2,256 μ g/g) 이상 향상되었다. 또한 DPPH법으로 조사한 항산화 활성은 astaxanthin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1차로 Alcalase와 Flavourzyme을 병용하여 처리한 후 2차로 Viscozyme을 사용하는 조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An efficient production method of food-grade heamatococcus extract was developed based on stepwise enzymatic hydrolysis. In the first step, Haematococcus pluvialis cells hydrolysis carried out with commercially available exopeptidase(Flavourzyme) and endopeptidase (Alcalase), resulted in increased astaxanthin content. In the second step, proteolytic hydrolyzed H. pluvialis cells treated with hetero-polysaccharides hydrolytic enzyme (Viscozyme). By two-stage treatments using Alcalase and Flavourzyme and Viscozyme, the highest astaxanthin content was obtained. The astaxanthin content was remarkably enhanced by 320% (529 μ g/g → 2,256 μ g/g) than that of the non-treated extract. And then, antioxidative activities determined by DPPH method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astaxanthin content in haematococcus extract prepared by enzymatic hydrolysis.

      • SCIEKCI등재

        갈락토스 전이활성이 높은 β - galactosidase 생산균의 분리 및 효소생산과 관련된 몇가지 특징

        인만진(Man Jin In),김민홍(Min Hong Kim),정진(Jin Jung)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95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38 No.6

        A Bacillus strain which produces β-galactosidase with high transgalactosylation activity, was isolated from soil and tentatively designated as Bacillus sp. A1. When β-galactosidase from Bacillus sp. A1 reacted with 40% (w/w) lactose, transgalactosylation ratio reached up to 90% at the 70% conversion of the initial lactose. The biosynthesis of the enzyme in Bacillus sp. A1 required lactose as an inducer and was repressed by glucose. Observing that the addition of amino acids to culture medium resulted in enhancing, to a significant extent, both the growth and the enzyme production of the strain, yeast extract and commercially available hydrolysates of protein were examined for the suitability as amino acid source. As it turned out, SMP, an enzymatic hydrolysis product of soybean protein from Fuji Oil Co.(Japan), was the most suitable for optimization of the culture medium. When Bacillus sp. A1 was cultured in the presence of 0.5% SMP and 2% lactose, the enzyme activity increased up to 1.8 U/㎖-broth.

      • SCIEKCI등재

        변이주 Bacillus sp . A4442 에 의한 갈락토스 전이활성이 높은 β - Galactosidase 의 생산

        인만진(Man Jin In),최경호(Kyung Ho Choi),양성준(Sung Joon Yang),김민홍(Min Hong Kim),한금수(Keum Soo Han),양지원(Ji Won Yang),정진(Jin Jung)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95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38 No.6

        In an attempt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β-galactosidase from Bacillus sp. A1, which was isolated from soil and has remarkably higher transgalactosylation activity than lactose hydrolysis activity, a chemical mutation procedure using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followed by selection was conducted. The final selection, designated as Bacillus sp. A4442, turned out to show a substantially increased enzyme productivity. Catabolite repression by glucose and lactose requirement as an inducer for the enzyme biosynthesis, which were shown in the parent strain, was markedly diminished; instead it was found out that galactose acts as another inducer. Because pH of medium,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cell growth as well as enzyme produc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sugar concentration during culture, it was kept in the optimum range of 6.5∼7.5; for this the initial glucose concentration was adjusted to be 0.5% which was thereafter maintained by the controlled pumping-in of lactose using the pH-stat technique. By doing so, we were able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β-galactosidase with high transgalactosylation activity up to 44 U/㎖-broth.

      • KCI등재후보

        클로렐라를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박민경(Min-Kyung Park),이재민(Jae-Min Lee),박찬현(Chan-Hyun Park),인만진(Man-Jin 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2

        생리 활성 효과가 기대되며 영양학적 가치가 높은 클로렐라를 실용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의 일환으로 클로렐라 설기떡을 제조하고 품질 특성 및 적정 제조조건을 알아보았다. 클로렐라 설기떡은 첨가되는 물의 양을 15%와 20% 수준으로 나누고 클로렐라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0%, 0.2%, 0.5%, 1%) 제조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기계적 조직감의 검사 결과, 15%의 물을 첨가하여 설기떡을 제조할 경우는 대조군에 비해 클로렐라 첨가군에서 경도, 씹힘성, 파쇄성 등이 증가하고 부착성이 감소하여 조직감이 감소하지만, 20%의 물을 첨가하여 만든 설기떡의 경우는 대조군에 비해 클로렐라 첨가군에서 경도, 씹힘성, 파쇄성 등이 감소하고 응집성, 부착성 등이 증가하여 조직감의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24시간 저장 후에도 대조군에 비해 좋은 조직감을 유지하였다. 클로렐라 설기떡을 제조한 후 중량변화를 살펴본 결과, 대조군에 비해 클로렐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설기떡의 중량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클로렐라 첨가에 의해 설기떡의 수분 보유량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색도측정 결과 클로렐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 값은 감소하고 a 값은 음(-)의 값이 커져 녹색이 강해짐을 알 수 있었다. 20%의 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클로렐라 설기떡의 관능검사 결과 클로렐라 첨가에 의해 경도와 색에 대한 기호도가 높아졌다. 그러나 1%의 클로렐라를 첨가할 경우 향과 종합평가에 대한 기호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 steamed rice cake, with chlorella powder (chlorella sulgidduk) were evaluated. Chlorella sulgidduk was prepared in the different ratio of chlorella powder (0, 0.2, 0.5 or 1%, w/w) and water content (15 or 20%, w/w). In mechanical texture characteristics, hard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were higher in 15% water content chlorella sulgidduk and lower in 20% water content chlorella sulgidduk than in the absence of chlorella (the control sulgidduk), wherease 20% water content chlorella sulgidduk had a significantly higher adhesiveness and cohesiveness values (p<0.05) compared with control sulgidduk. After 24 hours storage at 25℃, the good texture characteristics were maintained in 20% water content chlorella sulgidduk. In sensory evaluation, the most favorit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shown in the sulgidduk with 0.2 and 0.5% chlorella powder.

      • KCI등재

        인삼의 지용성 추출물 투여가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동청(Dong Chung Kim),황우익(Woo Ik Hwang),인만진(Man-Jin In),이성동(Sung Dong Lee) 고려인삼학회 2008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32 No.1

        인삼의 지용성 성분을 2개월 및 6개월 동안 암환자에게 복용시킨 결과, 인삼의 지용성 성분은 CD4/CD8 비율과 자연살해세포의 수를 정상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암환자의 면역기능 유지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인삼의 지용성 성분을 2개월간 투여한 실험군의 87.5%에서, 6개월간 투여한 실험군의 50%에서 암환자의 종양수치가 낮아지거나 정상범위에서 안정하게 유지되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인삼의 지용성 성분을 6개월간 투여한 실험군에서 간 기능을 나타내는 GOT, GPT 및 ALP 수치와 신장 기능을 나타내는 BUN과 creatinine 수치도 역시 정상 범위로 유지되어 인삼의 지용성 성분의 장기 복용이 간과 신장 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인삼의 지용성 성분이 암환자들의 면역성 강화, 간·신장 기능을 유지 및 개선시켜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평가됨으로써 인삼의 지용성 성분을 암환자의 식이 및 항암보조제로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록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지만 본격적인 임상실험의 수행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충분한 가치를 가지므로, 이를 바탕으로 대단위 개체를 대상으로 하는 본격적인 추가 임상실험 연구를 수행하여 인삼의 지용성 성분이 암환자의 항암 및 면역기능 강화에 효과가 있음을 임상적으로 증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Lipid soluble ginseng extract was administered by oral route in doses of 600 ㎎/patient daily in cancer patients over 2 months and 6 months. The administration of ginseng extract in cancer patients maintained the ratio of CD4/CD8 and number of the natural killer cell in the normal range during the administration period. Also its administra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umor values in 87.5% of patients in 2 month-group and in 50% of patients in 6 month-group, as determined by various cancer markers. Liver and kidney functions maintained normal condition during administration period of 6 months.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se data suggest that lipid soluble ginseng extract may be useful as an adjuvant therapeutic agent and nutritional supplement for the improvement of immune function and health in cancer patients.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basis for the research in which the antitumor and immunopotential activity of lipid soluble ginseng extract for cancer patients are evaluated in formal clinical trial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patient number.

      • SCIEKCI등재
      • KCI등재

        강화 약쑥(Artemisia princeps Pampanini)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응고 활성

        인만진 ( Man Jin In ),김강현 ( Kang Hyun Kim ),김동청 ( Dong Chung Kim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20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3 No.4

        강화 사자발약쑥(Artemisia princeps Pampanini)으로부터 얻어진 5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혈장 항응고 활성을 확인하였다. 약쑥 추출물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06.9±3.3 및 34.1±0.4 mg/g-추출물로 나타났다. 약쑥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유리라디칼, 양이온라디칼 및 아질산염을 소거하였고, 우수한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약쑥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혈액응고의 공통경로를 저해하는 혈장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었다.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coagulant activities of 50% ethanolic extract from Ganghwa medicinal mugwort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were investigated. The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mugwort extract were 106.9±3.3 and 34.1±0.4 mg/g-extract, respectively. The mugwort extract possessed a potent scavenging activity against radicals and nitrite, reducing power,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activ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lso the mugwort extract delayed the plasma coagulation time through the inhibition of common coagulation pathway in a dose-dependent man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