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 트렌드 변화에 따른 선스틱 용기디자인 사례연구

        ,박규원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6 No.1

        Without reflecting consumer trends, it is difficult for a product to succeed in the market. Sunblock items, for example, have changed from a cream type to a spray type and recently to a sun stick container type that is easy to apply with no need to smear a hand with i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characteristic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ontainer designs, which are main indexes in cosmetics brand strategies, to identify their relevance to changes in consumer trends, and to present a direction for efficient sun stick container designs. The scope of this study covers container designs of top 12 brands of home and abroad in terms of sales among 64 sun stick products that are being sold in Korea. For theoretical analysis on changes of container design in reflection of consumer trends and user experiences, various materials such as existing studies, literatures, news letters, and other materials at websites and webzines were examined in order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empirical case study, various attributes of container design such as body forms, colors, dial structures, cap to body proportions, inner top shapes, etc. were analyzed comparatively. As design elements of 12 sun stick containers of home and abroad were analyzed, their cross-sectional shapes were divided mainly to round and oval shapes. Most brands showed no special features in this regard despite high demands for shapes featuring comfortable grips and user convenience.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as a basis for future research, it presents a direction for sun stick container designs based on actual cases that reflect changing consumer trends.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on container designs that reflect user experiences and consumer trends will continue. 소비자 트렌드를 반영하지 못하면 시장에서 성공하는 제품이 되지 못한다. 최근 자외선차단제의 경우 크림 타입에서 스프레이 형태로 그리고 최근에는 바르기 편하고, 손에 묻어나지 않는 선스틱 용기 형태로 변화되고 있다. 이 가운데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선스틱 용기디자인이라면 결국 시장 성장에 한계에 부닥칠 것이다. 본 연구는 화장품 브랜드 전략에서 주요 지표인 용기디자인의 특성과 장단점을 분석, 소비자 트렌드 변화와의 연계성을 파악, 효율적인 선스틱 용기디자인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판매중인 64여개의 선스틱 제품 중 매출상위에 있는 국내외 12개 브랜드의 용기디자인이다. 연구방법은 소비자 트렌드와 사용자 경험에 따른 용기디자인 변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위해 선행연구 논문, 문헌자료, 뉴스레터, 인터넷과 웹진 등의 자료로 이론적 체계를 갖추었다. 실증사례연구로는 용기디자인별 바디형태, 컬러, 다이얼 구조, 캡과 바디의 비율, 내부 상단부 형태특성 등 디자인 다속성별 상호비교분석 방법이었다. 국내외 선스틱 12개 제품 용기디자인의 요소를 분석해본 결과, 단면의 형태는 크게 원형과 타원형으로 나뉘며 주로 타원의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한편 내부 제형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사용성 때문에 정면의 형태는 직선적 형태로 나타나, 대부분의 브랜드들이 별다른 특징이 없다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사용자 경험을 토대로 편리한 그립감이나 사용 편의성 등이 돋보이는 형태가 요구되는 것이다. 이는 소비자 욕구충족은 물론 개성 있는 형태로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으로 시장경쟁력을 강화시키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 트렌드 변화에 따른 선스틱 용기디자인사례분석에 따른 미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연구자료로 의의를 두며, 사용자경험과 소비자 트렌드를 반영한 용기디자인의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국내 과학관의 코로나-19 대응과 미래 방향 전략 연구 - 국립과학관 경영인력의 융합적 경험 사례를 중심으로 -

        강 다 연, ,김 명 지,마틴 산야,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함에 따라국내외 과학관의 운영에 지대한 영향을 준 데에서 시작되었다. 국내 과학관은 휴관과 축소된 현장 운영을 반복하며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국립과학관이 코로나-19에 대응하는 과정을 비롯하여 과학관의 경영인력들이 제시하는코로나-19 이후의 방향과 미래전략을 탐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연구 자료 수집을 위해 과학관 대응관련하여 유관 부처·기관 자료, 과학관 웹사이트 및 온라인 채널 등을 탐색하고, 5개의 국립종합과학관(중앙, 과천, 과천(어린이), 광주, 대구) 부서장급 이상의 경영인력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이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지속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여러 자료원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대응 경험과 비전을 연구자 간교차 검증하여 최종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과학관은 코로나-19로 인한 행정적·재정적 어려움에 대한 일차적 대응 방안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전면 도입하였다. 둘째, 온라인 서비스 전환을 위하여 직원 역량 강화 연수를 추진하고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였으며 전문성을가진 주체들과 협력하였다. 셋째, 과학관 경영인력들은코로나-19로 인해 과학관 패러다임이 전환될 것이라는위기의식을 느꼈다. 한편, 코로나-19를 계기로 과학관의활동 공간이 온라인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라 인식하고 온·오프라인 서비스가 공존하는 과학관의 모습을 구상하였다. 넷째, 과학관 경영인력들은 미래전략으로 과학관 간 협업과 연대를 통해 온라인 서비스 강화 및 공유체계 구축을 제시하였고 이로써 과학문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비영리기관으로서 공공영역 확보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과학관 중진들의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 및 미래에 대한 통찰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다른 유사기관 및 과학관이 미래의 다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COVID-19 pandemic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operation of science museum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the Korean context, science museums’ efforts to respond to COVID-19 have led to repeated closures and reduced field operation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ynamic process of responding to COVID-19 and to draw future directions and strategies based on suggestions made by science museum administrators using data collected from related ministries/institutions, science museum websites, and online channels. Researchers also conducted interviews with administrators at the department head level or higher at five national science museums(National Science Museum,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National Children’s Science Center, Gwangju National Science Museum, Daegu National Science Museum).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with common findings derived by cross-validating themes across various data sourc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cience museums have introduced online services as a primary response to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 Second, in order to convert online services, science museums carried ou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established infrastructure, and cooperated with experts. Third, the responses of science museum administrators reflected their awareness of a sense of crisis that the paradigm of the science museum would change due to COVID-19. However, they recognized the possibilities for expanding the space of science museums online and envisioned the museum where online and offline services coexist. Fourth, science museum administrators suggested future strategies to lay the foundation for science culture by strengthening online services and establishing a sharing system through collaboration and solidarity among science museums. In addition, they showed a willingness to have science museums retain the public domain as non-profit public institutions. The responses and insights for the future drawn from national science museum adminstrators’ experiences during COVID-19 can be used as resources for other similar institutions and science museums to cope with other future crises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 KCI등재

        피난안내도의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디자인 개선방안

        지 선,김 지 , 정 민,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3 한국디자인포럼 Vol.28 No.1

        Background As publicly used establishments such as department stores and outlets with a large transient population expand, the problems of safety and fire-related casualties are increasing. Therefore, the importance of evacuation maps,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emergency evacuation, has escalated. However, finding or identifying evacuation guidance at first glance is still challenging. This study aims at the current status of department stores' evacuation guide map and suggests the design direction of the evacuation guide map for effective information delivery. Methods Based on the current case studies, the status of evacuation guide map design in department stores and consumer interviews, this study focuses on considering evacuation guidance by evaluating the evacuation map's effectiveness with visibility, memory, and clarity. Result As a result of case studies,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mix of evacuation map designs and the expression of information for intuitive recognition of customers. According to the interviews, the most significant part of the evacuation guide map was the ‘current location.’ To this point, it is significant to specifying colors and pictogram expressions that could be intuitively recognized. Nevertheless, the complexity of the information indicated in the evacuation guide map was difficult to comprehend. Thus, this study found that the design of the evacuation guide map needs to be improved. Conclusion An evacuation guide map is required to increase visibility for intuitive recognition and have a the complex information should be selectively recognizable and understandable.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size and form of the pictogram of the current location so that consumers could instantly recognize the pictograms. And it is important to deliver accurate information to consumers in a systematic and consistent expression at each department store branch. 연구배경 유동인구가 많은 백화점, 아울렛 등의 다중이용업소가 확장되고 안전 및 화재와 관련된 인명피해 문제가 증가함에 따라 비상 대피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피난안내도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었지만 피난안내도를 쉽게 찾아보거나 식별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연구는 백화점 피난안내도의 현황을 살펴보고 소방청 표준매뉴얼을 참고하여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피난안내도의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는 현황 조사와 실험을 바탕으로 시각의 법칙에 따른 가시성・기억성・정확성 등 피난안내도의 유효성 평가를 통해 피난안내도 디자인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피난안내도의 현황 조사 결과 소방청에서 제시하는 표준메뉴얼이 있으나 상세하지 않아 백화점마다 상이한 표현방법이 혼재되어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직관적 인식을 위한 정보 표현에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피난안내도에서 사용자가 가장 중요시하는 것은 현 위치의 파악이었으며, 이를 위하여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색채와 픽토그램 표현의 명시성이 중요하였다. 그러나 피난안내도에 적시된 정보의 복잡성으로 인해 정보의 이해가 어려웠으며, 특히 현 위치와 픽토그램 표현 중 발신기 픽토그램의 인지가 어려운 것으로 조사되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피난안내도 디자인에 있어 직관적 인식을 위해 가시성을 높이는 디자인이 요구되며, 복잡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명확히 인식하고 이해 가능하도록 정확성을 높여야 한다. 또한, 현 위치, 발신기 등 픽토그램을 한눈에 인지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의 개선이 필요하다. 그리고 백화점 지점마다 체계적이며 일관된 표현으로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