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응 연구의 관점에서 본 ‘현재’의 부재

        이희은(Hee-Eun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4 언론과 사회 Vol.22 No.1

        이 연구는 소위 ‘감응으로의 전환’ 이후 이루어진 감응 연구의 이론적 의미를 살펴보고, 신자유주의의 사회와 문화가 보여주는 퇴보적 특성을 ‘현재’의 부재에서 찾으려는 탐색적 시론이다. 감응 연구는 재현과 매개 연구의 한계를 벗어나 현재성과 즉시성을 다루려는 철학적 사유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 때 ‘감응’은 사회학이나 심리학의 관점과는 달리 몸과 정신의 이분법을 거부하고 몸과 몸 사이에 전이될 수 있는 경험적 과정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감응 연구는 신자유주의가 우리의 삶과 문화에서 현재성을 제거하는 방식을 학문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주고, 재현이 아닌 감각과 감응에 대한 관심을 통해서만 현재성을 복구할 수 있다는 문화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무한도전>등의 사례를 통해 감응 연구가 우리 사회와 문화의 현재성을 복구하는 데 기여할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본다. 이론적으로나 개념적으로 아직 정교화되지 않은 감응 연구를 통찰함으로써, 한국의 신자유주의 상황에서 감응 연구가 제시하는 학문적 의미와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표다. Since the so-called ‘affective turn’ in the late 1990s, questions of affect, embodiment and emotion have gained increasing currency in recent social theory and cultural criticism. In this paper I explore the general turn to affect studies, particularly the turn to the contemporary cultural and social issues, that has recently taken place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 diverse range of theorists are concerned less with what texts signify than with how they exert an affective impact on audiences and viewers who encounter cultural environments. I first take a genealogical approach to the problems and issues of affective culture and communication that are identified in experiences such as ‘Infinite Challenges’(television entertainment program), ‘How’s it going?’ poster phenomena, and the public architecture project. Then I suggest to re-engage the problematic of subjectivity by asking what a turn to affect entails within such cultural and social issues.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when such an affect explores and restores the endangered contemporariness and present-ness in our society under neoliberalism.

      • KCI등재

        문화연구의 방법론으로서 가추법이 갖는 유용성

        이희은(Hee-Eun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1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4 No.2

        가추법은 문화연구의 방법론으로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이 논문은 문화연구의 방법론 논의가 연구방법이 아닌 인식론적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고, 이를 위해 가추법의 의미를 문화연구의 방법론의 측면에서 재해석한다. 논리학자이자 기호학자인 찰스 샌더스 퍼스는 연역법이나 귀납법으로는 불가능한 새로운 명제나 지식을 발견하기 위해 가추법을 제안한다. 근대의 과학적 실증주의가 객관성과 확실성의 논리에 기대고 있다면, 가추법은 경험된 현상으로부터 새로운 전제를 찾아내는 발견의 논리로서 의미를 지닌다. 이 논문에서는 학문과 지식의 생산 구조와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형성된 과학적 연구방법의 신화를 비판한다. 그리고 사회와 문화를 연구하는 방법론적 대안으로서 가추법이 갖는 의의를 살펴보고, 가추법이 문화연구의 방법론에 던져주는 시사점은 무엇인지 논의한다. 이를 통해 문화연구가 방법론으로서 갖추어야 할 세 가지 요소, 즉 ‘직관’과 ‘공감’과 ‘지적 협업’의 중요성과 의미를 탐색한다. 결국 문화연구는 관찰할 수 있는 현재로부터 알 수 없는 실재를 찾아내는 발견의 논리가 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What are the meanings of abduction as a methodology of Cultural Studies? By contextualizing Charles Sanders Peirce’s logic of abduction in the discipline of Cultural Studies, I explore the epistemological discussion on the modern scientific research methodology of social sciences. Abduction is a kind of logical inference, which is often associated with guessing or intuition. Peirce’s method of abduction and Cultural Studies’ contextual formation in effect address an alternative methodology to positivism. Criticizing the modern Eurocentric structure of knowledge construction, I suggest that the virtue of abduction, as a logic of discovery, should be re-discovered in the context of Cultural Studies. Abduction holds important lessons for Cultural Studies as well as social sciences in general because of its focus on intuition, empathy, and intellectual collaboration. Through its elaboration of the logic of abduction, Cultural Studies is able to maintain not only its epistemological ground but also its methodological communicability.

      • KCI등재

        페미니즘 운동과 미디어 윤리

        이희은(Hee-Eun Lee)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언론정보연구 Vol.55 No.3

        2017년을 기점으로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미투 운동(#MeToo)은 페미니즘과 미디어 연구와 관련한 윤리적인 문제를 화두로 던져주었다. 미투 운동은 페미니즘 운동이면서 미디어를 적극 활용한 운동의 성격을 띠며, 미디어가 일상에 편재한 이 시대의 윤리란 그저 관념적이거나 당위에 관한 것일 수 없다는 점을 일깨워준다. 이 논문은 미투 운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미디어와 페미니즘과 미디어 연구의 관계에서 고민해야 할 윤리 문제를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다룬다. 첫째, 미투 운동이 드러낸 상처받은 피해자의 목소리를 푸코의 파레시아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한다. 둘째, 미투 운동의 시작과 확산에 직접적인 계기이자 기반으로 작용한 미디어의 역할을 해시태그 페미니즘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셋째, 오늘날 페미니즘 운동과 미디어의 관계를 고찰함에 있어서 미디어와 미디어 연구는 어떤 윤리적 입장을 취할 필요가 있는지 논의한다. 이러한 탐색의 과정을 거쳐, 이 논문은 미투 운동이 제기하는 윤리적 태도란 확실하고 단정적인 규율의 적용이 아니라 윤리적 딜레마에서 양가성을 고민하는 지속적인 과정이어야 함을 주장한다. Starting from 2017, the worldwide movement of #MeToo has brought about ethical issues related to feminism and media research. The #MeToo movement is a feminist activism, a movement that utilizes the media as a platform of parrêsia, and makes it clear that the ethic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where the media are ubiquitous in daily life cannot be simply justified. This thesis explores on the ethical issue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First, the voices of victims resonated in the process of the #MeToo movement can be understood as Foucault"s concept of parrêsia. Second, the role of media as a direct momentum and basis for the initiation and spread of the #MeToo movement is discussed, focusing on the case of hashtag feminism. Third, the theoretical positions and the ways in which media ethics and ethics of media studies need to take i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eminist movement and media are discussed. Through these explorations, this paper argues that the ethical attitude posed by the #MeToo movement is not an application of definite and assertive moral discipline, but a continuous process of thinking about ambivalence in an ethical dilemma.

      • KCI등재

        텔레비전 버라이어티쇼의 사적인 이야기 서술

        이희은(Hee-Eun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1 언론과 사회 Vol.19 No.2

        이 논문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비롯한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의 사적인 이야기 서술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적인 이야기 서술’이란 내용상으로는 개인의 사적인 경험과 일상을 고백으로 드러내고, 형식상으로는 현실과 방송에서의 인간관계를 구분하지 않고 서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논문은 우리나라의 오락 프로그램전반에 걸쳐 지배적으로 사용되는 사적인 이야기 서술에,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징뿐 아니라 신자유주의라는 사회적 맥락이 함께 작용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수용자와 방송과의 관계에 변화가 일어나면서 등장한 사적인 이야기 서술은 외형상 민주주의적인 절차와 평등함을 강조한다. 하지만 방송의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이라는 특성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며, 수용자와 방송과의 관계 역시 여전히 불평등하다. 오히려 신자유주의 시대가 요구하는 자기관리에 성실한 개인을 모범 시민상으로 제공 함으로써, 권력의 개입과 사회의 보수화에 기여하는 역할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적인 이야기 서술은 연예인이나 유명인들의 기존 문화 권력의 상품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고, 시청자들의 평등한 사회를 향한 욕망은 ‘샤덴프로이데’라는 집단적 정서로 표출되는 것에 그친다. 그러나 민주적이고 평등한 관계가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사적인 이야기 서술을 통제하거나 규제하는 것은 더 큰 권력에의 복종을 가져오게 된다. 사적인 이야기 서술보다 더 위험한 것은, 이를 규제함으로써 평등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믿는 헛된 바람이다. Since 1990s, television entertainment programs have been increasingly conversational: the connection between television and audiences are recontextualized in the ways which more personal emotions and confessions are publicized in the genres such as talk shows, reality shows, survival shows, etc. The conversationalized personal storytelling, however, neither weaken or challenge the already established power relations between broadcasting and its audiences. I argue, in this paper, that the seemingly democratic and individualized approach to the audience participation in entertainment programs are indeed a mere ‘demotic turn’, as Grame Turner rightly puts it. Rather, the conversationalized personal storytelling as a communicative form of broadcasting mediates the concept of ordinary people and the values of neo-liberalism. As portrayed in entertainment programs, the neo-liberal model of good citizenship, self-actualized individuals, is paradoxically materialized through the communicative form of private talk and confession. In a neo-liberal Korean context, such a paradox often leads to an expression of ‘schadenfreude’, which means pleasure derived from the misfortune of others. By contextualizing the conversationalized personal storytelling in neo-liberal capital society, this paper asks for the theoretical attention to the communicative and cultural meaning of audience participation, and relationship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phere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AI는 왜 여성의 목소리인가?

        이희은(Hee?Eun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90 No.-

        최근 인간의 목소리로 작동하는 소위 ‘인공지능’ 음성인식장치들이 상용화되면서, 디지털 환경에서 구성되는 인간과 테크놀로지의 관계가 새로운 사운드 정경을 형성하고 있다. 이 논문은 미디어와 테크놀로지의 인간 목소리 구현 기술을 살펴봄으로써,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인간과 기계의 관계를 문화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기계장치로 구현된 사운드가 단순한 물질적 대상이 아니라 문화적이고 역사적인 구성체임을 설명하기 위해, 최근의 음성인식장치에서 나타나는 젠더화된 사운드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살핀다. 먼저 테크놀로지와 문화연구에서 ‘사운드’가 왜 중요한지 논의하고, 인간과 기계가 사운드의 측면에서 맺는 젠더 관계를 살펴본 후, 젠더화가 진행되는 소리의 정경에 대한 문화적인 논의를 한다. 현재 우리의 일상에 스며든 기계의 목소리가 대부분 여성의 목소리 혹은 여성성을 재현하는 목소리라는 점은 중요하다. 음성인식장치 테크놀로지는 유비쿼터스 환경의 핵심으로 향해가는 과정이지만, 인간과 기계와의 관계, 그리고 테크놀로지와 젠더의 문제를 드러내는 문화적인 주요 국면이기도 하다. Attention to the sound as a cultural domain of critical inquiry has increased recently in media and cultural studies, philosophy of technology as well as arts. Sound, particularly the digitally multimediated voice, becomes a part of our corporeal experiences and a conceptually vexing yet productive category. The world is about to start sounding even more feminine, as smart speakers such as Siri pop up to be effective and affective interfaces. The voice mediated by the AI supported speakers in turn shape the already gendered social and cultural spaces. Three central themes emerge from the ways in which our soundscapes are getting gendered technologically: domestication, personalization, and invisibility. These recurring themes in ubiquitous environment lead us to reconsider the interstices between technology and gender.

      • KCI등재후보

        사회적 참사와 타인의 죽음

        이희은(Hee-Eun Lee) 한국문화연구학회 2023 문화연구 Vol.11 No.1

        이태원 참사는 희생자의 고통과 죽음을 구조적으로 배제하고 고립시킴으로써 더 큰 상처를 남긴 사회적 참사다. 이 글은 사회적 참사의 고통과 죽음이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배제되는 방식을 살피며, 사회적 참사에 대한 기억과 이야기를 드러내고 복원하기 위한 탐색의 목적을 지닌다. 현대사회의 죽음은 개인적이지만 타인과 연결되어 있으며, 사회적으로 매개된다. 그러나 이태원 참사는 희생자의 고통과 죽음을 일상 바깥으로 몰아냄으로써 사회적 죽음을 개인적인 것으로 환원하고 추모와 애도의 공적 성격을 약화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단순 기억 소멸이 아니라, 일상에서 타자의 삶과 기록을 지우려는 적극적인 차별의 한 형태다. 이태원 참사에서 개인의 고통과 죽음이 정치적으로 일상에서 제거되는 방식을 살펴보면서, 사회적 참사에 대한 애도와 기억은 일상과 중첩되는 시공간에서 실천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As a social disaster, the Itaewon disaster left more scars by structurally excluding and isolating the victim's pain and death.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suffering and death of social disasters are socially constructed and deconstructed, and has the purpose of exploring to reveal and restore memories and stories about social disasters. Death in modern society is deemed personal, but it is in fact related to others and is socially mediated. However, the Itaewon disaster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reducing the social death to a personal accident and weakening the public character of remembrance and condolence by driving the victim's pain and death out of everyday life. This is not a simple disappearance of memories over time, but a form of active discrimination to erase the lives and records of others in everyday life. Examining how individual pain and death are politically removed from our daily life in the Itaewon disaster, I suggest that mourning and memory for social disasters should be practiced in time and space overlapping with daily life.

      • KCI등재

        사이버네틱스의 이론적 위치와 '타자'의 의미

        이희은(Hee-Eun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3 언론과 사회 Vol.21 No.4

        사이버네틱스는 수학적 모델로 시작하였으나 정치, 사회, 기술, 문화, 예술 시스템을 분석하는 데 많은 영감을 준 과학적 발전 중의 하나다. 특히 정보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다학제적인 사이버네틱스에 대한 논의는 더욱 필요하다. 이 논문은 사이버네틱스의 창시자인 노버트 위너(Norbert Wiener)가 펼쳤던 논의를 중심으로, 사이버네틱스가 제시한 이론적 의미를 살펴본다. 특히 정보, 제어, 피드백의 개념이 오늘날의 현상을 분석하는 데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문화 이론의 핵심 주제인 "타자"의 개념을 집중적으로 탐색한다. 사이버네틱스에서 "타자"란 평등하게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주체의 상대 위치가 아니라, 주체와 함께 시스템의 유지와 진보를 이끌고 주체의 구성을 가능케 하는 커뮤니케이션의 필수 요소임을 밝힌다. 새로운 미디어 테크놀로지나 문화적인 현상들이 타자와의 거리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실제로 타자는 주체가 간접 경험하거나 연민을 베풀어서 쉽게 파악할 수 없는 잠재성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도 설명한다. 사이버네틱스의 논의를 적용하여 살펴본 "타자"는, 그 속내를 알 수 없으며 예측이 어려운 존재다. 사이버네틱스는 주체가 타자와 맺는 관계를 통해서만 시스템이 유지되고 커뮤니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음을 밝혔고, 타자와의 관계는 기능적 효율성이나 성공여부가 아니라 윤리적 태도에 기반하고 있어야 한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해 준다. The paper revisits Norbert Wiener"s cybernetics, which represents one of the seminal scientific approaches of the 20th century, in relation to communication and cultural theories. Cybernetics, coined and defined by Wiener as a study of "control and communication in the animal and machine," has never really caught on in social sciences. Cybernetic theory maintains that there are probability distributions of possible communication, which is at odds with the idea of communication driven by improbable understanding. This paper argues that cybernetics, by exploring the meaning of "otherness", provides a meaningful bridge between cultural theories and understanding of technology in modern societies. The significance of cybernetic core concepts such as information, control, and feedback are discussed, and then the concept of "enemy Other" in cybernetics is elucidated in comparison with other theories. The "Other," from a cybernetic perspective, is not a thing or an object but an attribute of the communication and control in the system, which is never deterministic or closed. In terms of cybernetic perspective, "Other" is in asymmetrical relation with subject.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is based not on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but on the empathy and ethical attitude.

      • KCI등재

        유튜브의 기술문화적 의미에 대한 탐색 : ‘흐름’과 알고리즘 개념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이희은(Hee?Eun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9 언론과 사회 Vol.27 No.2

        이 논문은 오늘날의 네트워크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변화 중 하나인 유튜브와 인터넷 및 스마트폰의 통합 사용 사례를 주목하고,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유튜브가 지닌 기술문화적인 의미를 이론적으로 탐색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미디어 테크놀로지로서 유튜브의 현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유튜브를 오늘날의 ‘테크놀로지이자 문화 형식’으로 파악함으로써 디지털 환경에서 유튜브가 일상과 맺는 관계를 탐색한다. 유튜브는 이용자의 사용 패턴을 알고리즘으로 재구성해, 전통적인 텔레비전이 담당하던 ‘흐름’으로서의 방송 역할을 재구성하고 있다. 유튜브는 미디어 플랫폼이자 디지털 매개자이기도 하지만, 이질적인 요소들의 흐름으로 일상을 압도하는 텔레비전 미디어의 역할을 수행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텔레비전에 대한 고전적 이론인 레이먼드 윌리엄스의 ‘흐름’ 개념은 오늘날의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유튜브가 지니는 물질적 조건과 네트워크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이론적인 유용함을 지닌다. 유튜브를 오늘날의 테크놀로지이자 문화적 기술 형식으로 파악하고 유튜브의 알고리즘이 ‘흐름’의 개념을 어떻게 재구성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유튜브가 재편하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를 이론적으로 탐색한다. In the digitally networked society, broadcasting media are no longer consecutive flows of formatted and programmed visual images. Rather, as shown in YouTube videos, the digital culture of current media experiences can be defined as discovering and contextualizing noise, error, and glitch in our networked information society. This paper focuses on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nges in the media market today, the use of YouTube and the Internet and smart phones, and aims to explore the technological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YouTube in the network society. To do this, I critically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YouTube as a media technology and explore YouTube’s relationship with daily life in a digital environment by identifying YouTube as today’s ‘technology and culture form’. I suggest applying the concept of “flow”, a classic theory by Raymond Williams that explains the television age, to today’s YouTube. It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of YouTube’s technology as a platform and digital intermediary, and explains that noise and algorithms are key to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YouTube as a technology culture format. The media landscape has dramatically changed, and yet the concept of flow is still important as a structuring mechanism and branding strategy of today’s media.

      • 성인학습자의 교육 참여동기 유형과 취업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이희은(Hee Eun Lee) 한국평생교육융복합학회 2022 평생교육융복합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교육 참여동기 유형(목표지향, 활동지향, 학습지향)이 취업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들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취업준비행동을 강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직업훈련기관 A에서 SW 직업교육에 참여한 27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여 성실하게 응답한 210부를 SPSS 28.0 프로그램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목표지향 및 학습지향 참여동기는 구직효능감을 매개로 취업준비행동에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지향 참여동기는 구직효능감을 매개로 취업준비행동에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구직효능감은 참여동기 유형별 취업준비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학습자의 참여동기를 고려하여 취업준비행동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구직효능감 향상을 위한 취업지원 교육과정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to strengthen job preparation behavior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motivation types (goal orientation, activity orient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on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earch efficacy in these relationships. A self-administrated survey was conducted on 270 people who participated in SW vocational education at SW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A, and 210 copies of the sincere response were finally analyzed with the SPSS 28.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tivation for goal-oriented and learning-oriented participation was found to be completely mediated in job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Job-Seeking efficacy, and the motivation for activity-oriented participation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in job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Job-Seeking efficacy. It was confirmed that job-seeking efficac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preparation behavior by type of participation motivation. Accordingly, it will be necessary to prepare a job support curriculum to improve the job-seeking efficacy so that job preparation behavior can be strengthened in consideration of learner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