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근침윤성 방광암 환자의 방광 보존적 치료 결과

        유정일(Jeong Il Yu),박원(Won Park),오동렬(Dong Ryol Oh),허승재(Seung Jae Huh),최한용(Han Yong Choi),이현무(Hyon Moo Lee),전성수(Seong Soo Jeon),임호영(Ho Young Yim),김원석(Won Suk Kim),임도훈(Do Hoon Lim),안용찬(Yong Chan Ah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5 No.2

        목 적: 근침윤성 방광암으로 진단받고 방광 보존적 치료를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종양 반응 정도 및 생존율을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9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방광암으로 진단 받고 방광 보존적 치료를 받은 환자 39명 중 편평상피암 환자 1명과 선암 환자 1명을 제외한 37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성별로는 남녀가 각각 33명, 4명이었으며 연령은 38∼86세(중앙값 67세)였다. 조직학적으로 모두 이행상피암이었다. 임상적으로 원발 병소 병기는 T2, T3, T4가 각각 19명, 13명, 5명이었다. 경요도방광절제술(TURB) 시 완전 절제와 부분절제가 각각 17명과 19명에서 시행되었고, 조직 검사만 시행된 경우가 1명 있었다. 항암화학방사선병용요법을 받은 환자가 24명, 유도 항암화학요법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가 8명, 방사선 치료만 받은 환자가 6명이었고 보조항암화학요법을 시행받은 환자가 18명이었다. 방사선 치료는 10∼15 MV 광자선을 사용하였으며 하루에 1.8∼2.0 Gy로 전골반을 대상으로 45∼46 Gy를 4문 조사한 후 방광에만 국한하여 3차원 입체조형치료로 10.8∼22.0 Gy (중앙값 19.8 Gy) 추가하여 총 55.8∼67 Gy (중앙값 64.8 Gy)를 조사하였다. 항암화학치료는 Cisplatin을 기본 으로 하여 2∼6회(중앙값 3회) 시행하였다. 각 변수 간의 상관 관계 분석은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다. 생존율 은 Kaplan-Meier 법으로 산출하였고 두 군 간의 비교는 Log-rank test 이용하였다.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의 다변량 분석은 Cox 비례위험 모델을 이용하였다. 유의수준 0.05 미만을 의미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치료 반응 평가는 치료 종료 후 3개월 전후에 시행한 요세포 검사, 방광 내시경 소견 및 복부골반 전산화단층촬영을 종합하여 판단하였는데, 완전 관해, 비완전 관해가 각각 16명(43%), 20명(54%)이었다. 대상 환자의 3년전체 생존율은 54.7%였고 중앙 생존 기간은 54개월(3∼91개월)이었다. 3년 무진행 생존율은 37.2%였다. 추적 관찰 중 24명(64.9%)이 재발하였는데 국소 재발이 17명(46%), 원격 전이가 6명(16%), 국소 재발과 원격 전이가 동시에 나타난 경우가 1명(3%) 있었다. 국소 재발의 구제 요법으로 근치적 방광절제술이 시행된 경우는 없었고 TURB만 시행하거나 항암화학치료가 병행되기도 하였다. 치료 후의 반응 정도가 전체 생존율(p=0.006)과 무진행 생존율(p=0.001)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인자였고, TURB의 정도가 전체 생존율(p=0.091)과 무진행 생존율(p=0.081), 방사선 조사선량이 무진행 생존율(p=0.07)에서 통계적 의의에 접근하였다. 결 론: 방광 보존적 치료 시 치료 후 반응 정도가 전체 생존율과 무진행 생존율에 있어 중요한 예후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TURB를 가능한 충분히 시행하고 병소 부위에 방사선 조사선량을 높이는 것이 방광보존 치료에서중요하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방광보존 치료 후 치료 반응 판정에서 완전 관해가 오지 않은 경우는 수술 등의 적극 적인 구제 치료가 필요하겠다. 향후 방광 보존을 위한 항암화학 방사선 병용치료 프로토콜에 따른 임상 경험을 더 쌓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tumor response, overall survival, progression free survival and related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subjected to bladder preserving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August 1995 and June 2004, 37 patients with muscle invasive (transitional cell carcinoma, clinically stage T2-4) bladder cancer were enrolled for the treatment protocol of bladder preservation. There were 33 males and 4 females, and the median age was 67 years (range 38∼86 years).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bladder (TURB) was performed in 17 patients who underwent complete resection. The median radiation dose administered was 64.8 Gy (range 55.8∼67 Gy). The survival rate was calculated by the Kaplan-Meier method. Results: An evaluation of the response rate was determined by abdomen-pelvic CT and cystoscopy at three months after radiotherapy. A complete response was seen in 17 patients (46%). The survival rate at three years was 54.7%, with 54 months of median survival (range 3∼91 months). During the study, 17 patients died and 13 patients had died from bladder cancer. The progression free survival rate at three years was 37.2%. There were 24 patients (64.9%) who had disease recurrence: 16 patients (43.2%) had local recurrence, 6 patients (16.2%) had a distant recurrence, and 2 patients (5.4%) had both a local and distant recurrence. The survival rate (p=0.0009) and progression free survival rates (p=0.0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compared to the response rate after radiotherapy. Conclusion: The availability of complete TURB and appropriate chemoradiotherapy were important predictors for bladder preservation and surviv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