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동해안 독도의 해조상 및 대황(Eisenia bicyclis) 부착기의 생물상

        박서경,이정록,허진석,안대성,이행필,최한길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6

        독도 해역의 해조류는 2013년 5월과 7월에 14개 정점에서 정성채집 하였으며, 대황의 생태학적 역할을 확인하기 위하여 7월과 11월에 23개체를 채집하여 부착기에 서식하는 해조류와 동물을 동정하였다. 대황의 줄기길이와 무게의 회귀식으로 생물량을 측정하였다. 해조류는 녹조류 18종, 갈조류 35종과 홍조류 75종을 포함하여 총 128종이 관찰되었으며, 성긴분기형이 47.66%로 가장 우점하였고 안정된 환경에 서식하는 ESG I그룹에 속하는 종이 91종(71.09%)이었다. 또한, R/P, C/P, (R+C)/P는 2.14, 0.51과 2.66으로 온대성과 혼합성 해조상을 보였다. 대황의 생물량은 23.74kg m-2이고 밀도는 64 fronds m-2로 확인되었다. 한편, 대황의 부착기에서 해조류 12종과 동물 83종(환형 15종, 연체 25종, 절지 34종, 극피 3종, 기타 6종)의 1,248개체가 동정되어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핵심종으로 확인되었으며, 넓은마디육질꼬리옆새우붙이가 538개체(43.11%)로 가장 우점하였다. 본 연구 결과 독도의 해조류 출현종수는 이전 연구에 비해 증가하였고 성긴분기형과 ESG I 해조류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까지 독도 연안의 환경은 매우 안정된 상태라고 판단된다. Seaweeds were identified after qualitative sampling at 14 stations of Dokdo coasts from May to July 2013 and seaweeds and animals inhabiting 23 Eisenia bicyclis plants were examined to evaluate its ecological role. Biomass was calculated by using regression between stipe length and weight of E. bicyclis. A total of 128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18 green, 35 brown, and 75 red algae. Coarsely branched form was dominant functional group occupying 47.66% and 91 species (71.09%) were in ESG I group, growing in stable environmental coast. Also, R/P, C/P, and (R+C)/P were 2.14, 0.51, and 2.66, respectively showing temperate and mixed flora. Biomass and density of E.bicyclis were 23.74kg m-2 and 64 fronds m-2. Twelve seaweeds and 83 animal species (15 Annelida, 25 Mollusca, 34 Arthropoda, 3 Echinodermata, and 6 others) were observed from 23 holdfasts and Ericthonius pugnax was dominant taxon having 538 (43.11%) of 1,248 animal individua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bicyclis is a keystone species showing very important ecological role. In conclusion, the number of seaweeds increased because of intensive research and dominance of coarsely branched form and ESG I group seaweeds, representing that environmental condition of Dokdo is still intact.

      • KCI등재

        실용적이고 간단한 환경시료의 감마핵종 자체흡수보정 방법

        이완로,이행필,정근호,최근식,조영현,이창우,정형욱,이은주,소유섭,이종옥,Lee, Wan-No,Lee, Haeng-Pil,Chung, Kun-Ho,Cho, Young-Hyun,Choi, Geun-Sik,Lee, Chang-Woo,Chung, Hyung-Wook,Lee, Eun-Ju,Sho, You-Sup,Lee, Jong-Ok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06 방사선방어학회지 Vol.31 No.1

        A self-absorption correction is important issue for the exact radioactivity determination of gamma emitting radionuclides in environmental samples which have the range of apparent density from $0.3g/cm^3$ up to $1.5g/cm^3$. In this paper, a practical and simple method without radioactive standard solutions having various densities is proposed for the self-absorption correction of environmental samples by a developed outside beaker surrounding Marinelli beaker. For the densities of 0.8, 1.0, $1.3g/cm^3$, the corrected efficiencies by the new method and the measured those by radioactive standard solutions of the three densities showed good agreement within 4 %. $0.3g/cm^3$ 에서 $1.5g/cm^3$까지 다양한 겉보기 밀도를 갖는 감마방출핵종 환경시료의 정확한 방사능 분석을 위해서 자체흡수보정(self-absorption correction)은 중요한 문제이다. 방사선 표준선원을 밀도별로 제작할 필요없이 마리넬리 비커를 감싸는 외부용기를 새롭게 제작하여 실용적이면서 간단한 자체흡수보정방법을 본 논문에서 제시하였다. 밀도 0.8, 1.0, $1.3g/cm^3$ 대해서 새로운 방법을 이용하여 자체흡수보정을 한 효율들과 밀도별로 직접 표준선원용액을 만들어 측정한 효율값이 4 % 이내에서 일치하였다.

      • KCI등재후보

        수입 식품중의 방사능 오염실태 조사

        정근호,이행필,이은주,이종옥,정형욱,조영현,이창우,이완로,소유섭,김희령,최근식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06 방사선방어학회지 Vol.31 No.3

        2003년도 시중에 유통중인 수입식품에 대한 방사능 오염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시료는 핵실험 및 핵사고 (주변)국가나 원자력발전소를 보유한 국가에서 수입된 식품 중 허용기준치를 초과한 사례가 있는 식품류와 방사능 농도가 일반적으로 높다고 기존에 보고된 식품류 등으로 선정하였다. 모든 시료는 건조 후 분말화하여 사용하였으며, 방사능 농도는 감마핵종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003년도에 시장에서 구입한 수입식품 시료에서는 식품공전의 방사능 잠정허용기준에 명시된 핵종(Cs-137, Cs-134, I-131) 중 Cs-137만이 검출되었으며, 나머지 핵종 은 모두 최소검출방사능(MDA) 이하였다. 차가버섯을 제외한 수입식품의 방사능 농도는 17.0 Bq/kg이하 또는 모두 MDA값을 보였다. 그러나 러시아에서 수입된 차가버섯의 경우는 최대 131.25 Bq/kg으로 식약청의 식품 중의 방사능 잠정허용기준치인 370 Bq/kg 보다 낮은 값으로 나타났으나, 잠정허용기준치의 35%에 해당되었다. 따라서 전체 차가버섯 중 높은 방사능 농도를 보이는 비율을 낮지만, 국민의 방사능 오염에 대한 민감성을 고려할 때 지속적인 방사능 오염도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동해 극전선의 영양염류 순환과정 II. 1995년 동계 입자태 유기탄소 및 유기질소의 분포

        양한섭,문창호,오석진,이행필,YANG Han-Soeb,MOON Chang-Ho,OH Seok-Jin,LEE Haeng-Pil 한국수산과학회 1997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0 No.3

        본 연구는 부경대학교 해양탐사선인 탐양호를 이용하여 1995년 2월 14일에서 17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온, 염분 및 용존산소를 이용한 T-S diagram 및 $T-O_2$ diagram 으로부터 수괴는 5개의 Type으로 구분되었다. 특히 T-S diagram에서는 잘 구분되지 않았던 Type IV와 Type V는 $T-O_2$ diagram에서 뚜렷이 구분되었다. 하지만 기존 수괴와 명확히 일치하지 않는 것은 본 조사가 동계에 실시되어 표층수온의 감소로 인하여 수괴의 수직혼합이 강하게 일어나서 생긴 현상으로 사료된다. 영양염류의 수괴별 농도분포를 보면, Type I, Type II, Type III은 서로 거의 비슷한 농도를 보였지만 Type IV에서 Type V로 갈수록 증가되었다. 그리고 동일 수괴에서 농도범위가 넓게 나왔는데, 이는 수온약층의 약화로 인하여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N/P ratio은 모든 water type에서 Redfield ratio 이하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질산염이 식물플랑크톤 성장의 제한인자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chlorophyll $\alpha$의 농도는 $0\~8\;{\mu}g/\ell$의 범위로, Type I에서 최대였고 Type IV와 Type V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입자성 유기탄소와 유기질소의 농도는 각각 $0.49\~20.03\;{\mu}g-at/\ell$와 $0.09\~5.34\;{\mu}g-at/\ell$ 범위로서, 수심의 증가에 따라 그 농도가 감소하고, 연안에서 외양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Water type별 농도는 Type I > Type II > Type III > Type IV > Type V의 순서로 수심의 증가에 따라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즉 이들 입자성 유기물질은 수괴별로 어떤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으며, 수심에 따라서 농도가 변화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POC/PON의 원자비는 3.23으로 Redfield ratio 이하로 나타났다. 이것은 POC보다 PON이 더 난분해성이라 침강하는 동안 POC는 분해되지만 수직혼합에 의해 PON은 다시 재부유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POC/chlorophyll $\alpha$의 평균값은 1962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non-living detritus가 POC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chemical properties of water masses were investigated at 33 stations of the southeastern last Sea in February, 1995 on board R/V Tam-Yang. The water masses were not clearly distinguished due to the vortical mixing in winter. However, on the basis of the T-S and $T-O_2$ diagrams, water masses in the study area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Type I, Type II, Type III, Type IV, Type V). (1) $>9.0^{\circ}C,\;>34.35\;psu,\;5.08\~5.60m\ell/\ell$ at Type I, (2) $6.0\~9.0^{\circ}C,\;34.15\~34.35\;psu,\;5.60\~5.90\;m\ell/\ell$ at Type II, (3) $4.0\~6.0^{\circ}C,\;34.00\~34.15\;psu,\;>5.90m\ell/\ell$ at Type III, (4) $1.5\~4.0^{\circ}C,\;34.00\~34.05\;psu,\;5.40\~5.90\;m\ell/\ell$ at Type IV, (5) $<1.5^{\circ}C,\;34.05\~34.07\;psu,\;4.80\~5.40\;m\ell/\ell$ at Type V. In the vertical profiles of nutrients, the concentrations were very low in the surface layer and increased rapidly with depth. The highest concentrations occurred in Type IV, while the concentrations in Type I were the lowest. The N/P ratios were less than Redfield ratio, indicating that nitrogenous nutrients were the limiting factor tor phytoplankton growth. The concentrations of POC and PON were in the range of $0.49\~20.03\;{\mu}g-at/\ell\;and\;0.09\~5.34\;{\mu}g-at/\ell$, respectively. The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ccured in the surface layer of inner shore, showing that the concentration at each water mass followed the order Type I > Type II > Type III > Type IV > Type V, respectively. The C:N ratio in particulate organic matter was lower than the values reported in other region due to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PON in the study area. Relatively high ratios of POC to chlorophyll $\alpha$ during the study periods indicate that non-living detritus comparised most of the POC in the study area.

      • KCI등재후보

        토양중 137Cs과 90Sr의 깊이별 분포 특성

        최근식,강문자,정근호,이완로,조영현,이창우,박두언,박효국,이행필,신현상,차현주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04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9 No.3

        고리, 영광, 울진, 월성, 고성 및 제주의 6개 지역 토양에 대해 137Cs 방사능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고성 및 제주 지역 토양에 대해 90Sr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지역은 지리적 위치, 환경조건 및 생성 모암이 각기 다른 특징을 갖고 있으며 137Cs 농도는 불검출 ~ 185 Bq/kg의 범위를 보였으며 90Sr은 2.79 - 8.06 Bq/kg의 농도 범위를 보였다. 137Cs 및 90Sr 농도는 지역별로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표층에서 가장 높고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지역별 137Cs 농도분포는 강수량, 유기물함량 등의 요인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토양의 입도 및 점토함량과는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지역별로는 제주지역 토양의 137Cs 농도가 가장 높고 그 다음은 고성지역이었다. 제주지역의 137Cs 농도는 고성에 비해 2배 가량 높았으나, 토성의 차이로 인해 현존량은 두 지역이 비슷한 값을 보였다.

      • KCI등재

        한국 동해안 독도의 해조상 및 대황(Eisenia bicyclis) 부착기의 생물상1a

        박서경 ( Seo Kyoung Park ),이정록 ( Jung Rok Lee ),허진석 ( Jin Suk Heo ),안대성 ( Dae Sung An ),이행필 ( Aeng Pil Lee ),최한길 ( Han Gil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6

        독도 해역의 해조류는 2013년 5월과 7월에 14개 정점에서 정성채집 하였으며, 대황의 생태학적 역할을 확인하기 위하여 7월과 11월에 23개체를 채집하여 부착기에 서식하는 해조류와 동물을 동정하였다. 대황의 줄기길이와 무게의 회귀식으로 생물량을 측정하였다. 해조류는 녹조류 18종, 갈조류 35종과 홍조류 75종을 포함하여 총 128종이 관찰되었으며, 성긴분기형이 47.66%로 가장 우점하였고 안정된 환경에 서식하는 ESG I그룹에 속하는 종이 91종(71.09%)이었다. 또한, R/P, C/P, (R+C)/P는 2.14, 0.51과 2.66으로 온대성과 혼합성 해조상을 보였다. 대황의 생물량은 23.74kgm-2이고 밀도는 64 fronds m-2로 확인되었다. 한편, 대황의 부착기에서 해조류 12종과 동물 83종(환형 15종, 연체25종, 절지 34종, 극피 3종, 기타 6종)의 1,248개체가 동정되어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핵심종으로 확인되었으며, 넓은마디육질꼬리옆새우붙이가 538개체(43.11%)로 가장 우점하였다. 본 연구 결과 독도의 해조류 출현종수는 이전연구에 비해 증가하였고 성긴분기형과 ESG I 해조류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까지 독도 연안의 환경은 매우 안정된 상태라고 판단된다. Seaweeds were identified after qualitative sampling at 14 stations of Dokdo coasts from May to July 2013 and seaweeds and animals inhabiting 23 Eisenia bicyclis plants were examined to evaluate its ecological role. Biomass was calculated by using regression between stipe length and weight of E. bicyclis. A total of 128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18 green, 35 brown, and 75 red algae. Coarsely branched form was dominant functional group occupying 47.66% and 91 species (71.09%) were in ESG I group, growing in stable environmental coast. Also, R/P, C/P, and (R+C)/P were 2.14, 0.51, and 2.66, respectively showing temperate and mixed flora. Biomass and density of E.bicyclis were 23.74kg m-2 and 64 fronds m-2. Twelve seaweeds and 83 animal species (15 Annelida, 25 Mollusca, 34 Arthropoda, 3 Echinodermata, and 6 others) were observed from 23 holdfasts and Ericthonius pugnax was dominant taxon having 538 (43.11%) of 1,248 animal individua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bicyclis is a keystone species showing very important ecological role. In conclusion, the number of seaweeds increased because of intensive research and dominance of coarsely branched form and ESG I group seaweeds, representing that environmental condition of Dokdo is still int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