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한강 영월지역의 떼꾼에 관한 연구

        이한길 ( Han Kil Lee ),이승철 ( Seung Cheol Lee ) 한국도서학회 2013 韓國島嶼硏究 Vol.25 No.3

        The existence of raft carrier (dde-ggu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life style in Yeoungwol region, the south of Han River waterway, were studied. Until now, the different definitions of raft men were not unified. Thus terms related to raft men were arranged and unified. The raft men`s route of south Han River starts from Yeoungwol and Joungsun, passing through Danyang and Choongju, Yangpyoung, Yeoju, Paldang and duckso, finally arriving in Seoul. Thus the work and life style of raft men in the Yeoungwol region would contain characteristics of all the regions throughout the moving route. The felling operation ritual ceremony, waterway pattern, method of raft making and everything related to the water route of raft are likely to differ from the North. In this sense, our work has limitations in that it only discovers the characteristics involved in south Han River waterway. Thus if both the south and north Han River raft men are observed and analyzed, the complete story of raft men in Gangwon province will be known.

      • 경포(鏡浦) 고찰

        이한길(Lee, Han-kil)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21 아시아강원민속 Vol.36 No.-

        강릉의 유명한 호수 경호가 있다. 그런데 그동안 경호가 아니라 경포호라고 잘못 읽혀져 왔다. 그 원인을 찾아보니 1940년대 이후로 추측된다. 본시호는 호수이지만, 포는 바닷가 항포구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와 호를 같이 사용하기는 어렵다. 이 글에서는 이런 논리로서 호수는 경호가 맞고, 바닷가는 경포가 맞다고 밝혔다. 이 개념이 서면 한송정곡의 해석도 달라진다. 한송정곡 기존 해석은 호수를 생각하고 해석했다. 그러나 필자의 생각으로는 호수가 아닌 바닷가를 염두에 두고 해석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경포대의 위치를 비정해 보았다. 그동안 방해정 뒷산에 최초의 경포대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강릉시에서는 그곳에 표지판까지 세워놓았다. 그러나 필자의 생각으로는 그곳은 아닐 것으로 추측한다. 그리고 대안으로 지금 씨마크호텔이 있는 곳이 최초의 경포대 정자가 있었을 것으로 추론한다. There is a famous lake, which was once called Gyung-ho(mirror lake) but is well known as Gyung-po-ho(mirror inlet lake) recently in Gangneung city. With thorough literature study, this article finds out that the name of the lake, Gyung-po-ho has been used just after 1940’s, and argues that we should reclaim its original name, Gyung-ho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s of letters, “ho” (湖) referring to lake, and “po”(浦) to inlet or small harbor respectively. Given meanings of the letters, it seems awkward to use both letters in a word like Gyung-po-ho. Therefore, this article suggests to designate Gyung-ho for the lake and Gyung-po for the inlet. This argument can give new insights to interpret Han-song-jung-gok and to estimate the original location of the Gyung-po-dae(pavilion). First of all, it rather suggests that the poetic narrator of Han-song-jung-gok might look at around and express his mind from inlet than the lake, which the existing interpretations have usually presumed. Furthermore, this argument gives a theoretical basis to challenge previous estimation of the original location of the Gyung-po-dae. The previous thoughts have assumed the location of it near the Banghae-jung and the municipal authority made tourist information on that. However, if we consider Gyung-po as inlet, an alternative estimation of its original location can be around the Seamarq hotel.

      • KCI등재
      • KCI등재
      • 〈강릉농악〉연구사 검토와 진단

        이한길(Han Kil Lee)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09 아시아강원민속 Vol.23 No.-

        강릉농악은 국가가 지정한 중요무형문화재이다. 주요한 민속예술로서 국가가 공인한 작품이므로, 강릉시민은 이 작품을 잘 갈고 다듬어 후세에 전승 할 책무가 있다. 강릉단오제 또한 국가가 지정한 중요무형문화재로서 2005년에는 세계가 인정한 무형문화유산으로 성장했다. 강릉농악은 자체적으로도 활발하게 활동을 하고 있지만, 강릉단오제가 열리는 기간 중에는 특히 활발하게 활동을 하여 강릉농악 없는 강릉단오제는 생각할 수 조차 없게 만들었다. 그런데 그 실상을 천착해보면 문제점들이 드러난다. 강릉단오제는 그 위상에 걸맞게 수많은 학술조사보고를 통하여 그 전승의 기반을 탄탄하게 다져가고 있는 반면에 강릉단오제와 함께 발 맞추어 가야 할 강릉농악은 기예의 연마에만 치우친 나머지 학술적인 발전을 등한시 해오고 있음을 이번 연구사 검토를 통하여 찾을 수 있었다. 이제 강릉농악은 스스로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정체성을 확고히 하기 위해서라도 학술적인 연구를 등한시하여서는 아니 된다. 전통은 시대의 정신을 먹고사는 유기체이다. 오늘날 시대의 정신을 잘 생각하여 과거의 전통을 기반으로 하여 새롭게 나아가기 위해서는 관계자들의 분발이 촉구된다. Kangnung Nongak i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In consideration of its significance as a major folk art to this extent, Kangnung citizens might have the responsibility to refine and polish it before handing it down to their next generation. The Dana Festival of Kangnung, which is also a primary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uthorized by the government, has grown to world recognized historic asset. Independently and widely performed by many people, Kangnung Nongak is loved by even more people especially during the Dana Festival period to the extent that Kangnung Dano Festival without Kangnung Nongak is unimaginable. However, its behind story reveals somewhat different aspects. The Dano Festival in Kangnung has been grown on a strong foundation for transmission to its reputation through a countless number of academic survey reports but Kangnung Nongak, of which principles have been inclined to only the practicing of its arts, has been ignored in term of its academic development, as this study shows. As far as Kangnung Nongak concerned, we must get out this kind of attitude to ignore its academic significance, at least in order to reestablish its standing and secure its identity. Tradition can probably be defined as an organism that lives on the sprit of an era. The officers concerned with this matter of tradition might have to make more of an effort in leading Kangnung Nongak to a new era based on the past traditions, by taking deep consideration of today’s messages it delivers.

      • KCI등재
      • 민속과 문학의 교섭 양상 고찰 - 류재만의 바다시를 대상으로 -

        이한길 ( Lee¸ Han-kil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20 강원문화연구 Vol.42 No.-

        최근의 연구경향은 인접학문 간의 연구다. 이를 통하여 상호 이해를 북돋우고 또 이를 통하여 자신을 돌아보는 성찰을 할 수가 있다. 이 글은 이런 점에 착안하고 문학 속에 민속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텍스트는 강원작가회의에서 활동하고 있는 류재만 시인의 시편이다. 우리들 밥상에 오르는 반찬 중에 멸치가 있다. 이 멸치를 잡는 전통어법 중에 후리질이란 어업이 있다. 어촌 출신들은 누구나 해보았을 것이지만, 도시농촌 사람들은 알 수가 없다. 멸치떼가 들어오면 어촌 마을에선 바닷가 높은 곳에 망대를 설치하고 몇몇이 돌아가면서 망을 본다. 이 사람을 망지기라 한다. 어느 날 멸치가 들어오면 갈매기가 무수히 날아오고 망지기가 마을에 소리친다. 멸치떼가 들어왔다고. 그러면 어부가 배를 몰고 나가 후리그물로 멸치를 잡으려 그물을 치고, 모래사장에선 주민들이 나와 후리그물을 잡아당긴다. 이렇게 잡은 멸치가 해변 모래사장에서 햇볕에 말리어 우리들 식탁 위로 올라왔다. 옛날의 전통방식이었다. 이를 류재만은 문학 속에, 시라는 표현양식을 빌어 창작했다. 그러면서 갖가지 문학적 의장을 사용했으며, 음양의 양분법적 사고를 통한 생산의 개념마저도 집어넣었다. 시를 통하여, 즉 문학을 통하여 멸치 후리질이란 민속을 소개하였고, 더불어 생생력까지도 담보하였다. 필자는 바다와 어촌과 어민에 관한 일련의 시편들을 ‘바다시’라 명명했다. 류재만의 시편도 필자가 명명한 바다시편에 해당한다. Considering that recent studies tend to be carried out between adjacent disciplines, which leads to more mutual understanding and each discipline's reflecting itself, this article tries to examine how folk culture could be expressed in literature.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collections of poems by Ryu Jaeman, a member of the Gangwon Artists Conference. The anchovy, one of the familiar side dishes on our table, would be caught by a traditional fishing method called Hurijil(fiishing with a net) among many ones. Anyone from fishing villages might experience it, even if people from urban or rural areas do not know it. During the season of anchovy fishing, there was a watchtower set up high on the beach in a village, and some of village people called Mangjigi(net-watcher) took turns watching a net for fishing. When a shoal of anchovy came near, countless seagulls flew over, and a Mangjigi signaled its approaching to the village by yelling. Then, the fishermen took a boat out and laid Huri-nets, which other village people coming out to sandy beaches would pull. The anchovies caught in this way were dried in the sun on the sandy beach and served onto our table. It was the old traditional way of anchovy fishing. Ryu Jaeman represents this fishing culture in his works in the form of poetry. He gives various literary description and illustrates the concept of production based on yin and yang's dichotomous thinking. Through poetry, one of literary genres, Ryu Jaeman pictures the folklore culture of anchovy Hurisil, surely, along with its literary vividness. I regard Ryu Jaeman's works as sea poetry, which I named for a series of poems about the sea, fishing villages and fisher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