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최신판례분석 : 부합과 양도담보권의 효력 - 대법원 2016. 4. 28. 선고 2012다19659 판결 -

        이진기1 ( Lee Jin Ki ) 법조협회 2016 法曹 Vol.65 No.7

        대판 2016.4.28., 2012다19659(이하 대상판결)은 양도담보의 목적이 된 동산이 역시 양도담보의 목적이 된 물건에 부합된 사안을 다룬 판결례이다. 대상판결은 이 사건에서 [1] 집합물양도담보권의 문제를 언급하고, [2] 민법 제261조와 관련하여 지금까지대법원판결이 유지하는 첨부로 인한 보상청구권의 법리를 승인하고, 마지막으로 [3]양도담보권의 목적물에 제3자의 동산이 부합된 때에 담보권설정자가 실질적 이익의 귀속주체라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먼저 이 사건에서 대상판결이 길게 언급한 집합물양도담보권은 핵심쟁점이 되지 아니한다. 왜냐하면 어느 누구도 제3자 소유의 물건을 처분할 수 없고 양도담보권의 선의취득도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대상판결에 따르면, 부당이득에 관한 규정이 정하는 법률요건을 충족할때에 민법 제261조의 보상청구권이 성립한다. 그러나 이렇게 새길 때에는 제741조 이하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에 관한 제741조 이하의 규정만으로 첨부로 인한 보상청구권문제의 규율에 충분하고 제261조는 그 자체의 가치를 잃고 “첨부로 보상청구권이 성립할 수 있다.”는 선언적 장식규정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는 의문이다. 마지막으로 첨부로 인한 실질적 이익이 주된 물건의 양도담보권자가 아니라 담보권설정자에게 귀속한다는 대상판결은 일반 물권담보제도와 달리 담보권자가 외부관계에서 소유자로 나타나는 양도담보제도의 특수성을 왜곡할 수 있다. 양도담보권자는 단순히 담보목적물의 교환가치를 지배하는 것을 넘어 소유자로서 그의 권리를 행사한다. 이를 감안하여 대상판결은 기계적이고 편의적인 판단에 머무르지 않고 실질적 이익이 담보권설정자에게 귀속하는 이유를 자세히 밝혀야 했다. 여기에서 그 구조와 내용에서 유사한 사건을 다룬 대판 2009.9.24., 2009다15602이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대상판결은 원활한 법리의 전개가 아쉬운 판결로서 이는 선례의 부족에 기인한 탓으로 추측된다. 이에 덧붙여 선박을 담보목적물로 한 이 사건에서 선박을 바로 동산으로 취급하지 않고 그 성질을 먼저 논의한 다음 사건을 해결함이 나았을 것이다. In Korean Civil Law a security on movable property by means of transfer comes under the category of “real right granted by way of security.” However, the well-established decisions made by the Korean Supreme Court shows a consistent disapproval of good faith acquisition of security by means of transfer because constititum possessorium alone can never satisfy its condition. The situation fares worse when through attachment a movable property loses its characteristic as a separate entity and becomes part of another main entity, such as a building or a ship, which is already offered as a security by means of transfer. With regards to this case, another matter comes into question; who among the pledger who put down his possession, the creditor, or the holder of a real right granted by way of security acquire ownership of the attached entity? Korean Supreme Court Decision 2016.4.28., 2012DA19659 sat in judgment on this case in favor of the pledger for reasons that material benefit should be vested in him. The person who lost his property should claim the restitution based on unjust enrichment against the pledger, not the creditor. But as the creditor also appears externally as the owner of the security, the owner of the attached entity may argue that he is the person who should restitute the loss because he is riding a wave of the enrichment. Korean Supreme Court had to consider this aspect.

      • KCI등재

        태아의 권리능력에 관한 이론의 재평가

        이진기(Lee, Jin-Ki) 한국가족법학회 2013 가족법연구 Vol.27 No.3

        gehört der Rechtsstreit über Rechtsfähigkeit des nasciturus solchen Rechtstheorien, die für den Zweck der juristischen Ausbildung regelmäßig den Anfängerstudentinen und studenten am Angfang vorgestellt werden. Passend zum Gewicht hat er theoretisch vollständig und auch frei von dem Widerspruch zu sein, Aber es ist in der Rechtspraxis scheinbar nicht zu erreichen. Die bisherigen Rechtstheorien, nämlich sog. aufschiebende und auslösende Konstruktion, können nicht automatisch dem Rechtsfalle des nasciturus angewendet werden. Die Gesetzgeber hatten vor, die Fragen um die Rechtsfähigkeit des nasciturus einzel und kasuistisch au regulieren, denn es kam ihnen schwierig und gar unmöglich, sie mit einer einheitlichen Erklärung zu lösen. Das zeigt uns bereits, der Versuchkann nur gescheitert werden, die Rechterscheiung uniform mit Hilfe einer Theorie zu begründen. Das ist ein wichtiger Grund dafür, daß wir einen anderen Weg finden zu müssen. Einen Schlüssel bietet §858 KBGB, der die Anerkennung der Vaterschaft für den nasciturus. Wer den nasciturus anerkennt, der hat ihn Unterhalt gewähr zu leisten. Daraus folgt, der nasciturus auch Unterhaltsanspruch dem Vater gegenüber bekommt. Problmatisch ist dabei, daß weder aufschiebende noch auslösende Konstruktion dieses Phenomen vernünftig betrifft. Das sagt, der Versuch einer Begründung mit einer Konstruktion nie gelungen ist. Wichtig ist, die Lösung liegt bereits im Schutz und Fürsorge des nasciturus.

      • KCI등재

        개정민법 규정으로 본 성년후견제도의 입법적 검토와 비판

        이진기(Lee, Jin-Ki) 한국가족법학회 2012 가족법연구 Vol.26 No.2

        The provisions that are put into effect with the Amendment of the Korean Civil Code on February 18, 2011 seem unfit at the time of legislative process due to their struggle to protect the possibility for self-determination of disabled about their personal affairs. As a result, the legislation leads the Amendment into a conundrum. For the legal interpretation, the wording of each provision possesses the primary authority, followed by the system and construction of the provisions. The wording in Amendment, however, fails to fully disclose the legislative purposes. Furthermore, the legislators' intent is not principally considered. The Amendment, due to its ambiguity, incompleteness, complexity, and lack of harmony, is difficult to decipher and it is thus a challenge to prognosticate the results of its application. In conclusion, the Amendment can be described from the view of whole system of Korean Civil Code as a failed and unsuccessful legislation that should be revised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대리제도와 당사자에 관한 대법원 기본판결

        이진기(Jin Ki LEE) 한국비교사법학회 2013 비교사법 Vol.20 No.4

        지도적인 基本判決(leading case, model case)은 표지석이 되는 법원의 판결로서 중요한 새로운 법원칙 또는 법률개념을 확립하거나 이밖에 실정법의 해석을 본질적으로 변경하는 先例를 말한다. 제정법만이 법원이 되는 시민법국가에서도 법이론과 재판실무는 해석론 못지않은 비중을 가지며, 대법원이 법령의 해석과 적용의 최고법원이므로 그의 판결은 하급법원에 대하여 사실상 구속효를 가진다. 그러므로 기본판결은 대법원 판결 중에서 선정되어야 한다. 기본판결을 선정하는 기준을 보면: (1) 이해가 쉽고, 특정 법률제도(이 글에서는 "대리")를 통섭적으로 개관할 수 있는 판결인가? (2) 대리의 원칙이 될 수 있는 논리적이고 일관성 있는 기본이론을 내용으로 하는가? (3) 대리와 그의 하부제도(유권대리, 무권대리, 표현대리 등)의 상호관계의 이해에 기여하는가? (4) 마지막으로 기본판결로 선정된 판결이 별 다른 어려움 없이 법학교육의 현장에 이식ㆍ사용될 수 있는가? 이를 위하여 선정된 판결이 법이론적 다툼으로부터 자유로운 그러한 성질의 판결이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대판 1983.12.13., 83다카1489 (전원합의체판결)과 대판 1995.09.29., 94다 4912를 대리제도에 관한 기본판결로 고르고, 대법원판결례를 근거로 하여 이의 법리와 논점을 해설한다. 다만 이글은 특정판결의 평석이 아니라 기본판결의 해석과 교육적 적용을 논의의 주제로 하므로 연구논문의 일반형식을 따르지 아니한다. In line in any given Jurisdiction is the constitution and under it the laws passed bay the legislature. In spite of all these enactments, there are still many situations unccounted for that must subject to the interpretation of law. The development of the decisions is left to the court, especially to the Supreme Court of Justice. Even though one decision cannot be the precedent for subsequent ones in the most civil law countries, one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enjoys as a fact the highest authority based on art.8 of Civil Procedure Act. A representative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named as "leading case" can be adapted not only in legal practice but also for the purpose of legal education. The criteria are as follow: 1. Is a decision proper and adequate enough to show students the frame and contents of a certain legal institution? 2. Does it contain a rational and consistent basic theory? 3. Does it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 legal institution and an another one? 4. Is it easy to understand? 5. Is it free from theoretical contradiction? 6. can it function as a good material for educational purpose?

      • KCI등재
      • KCI등재

        상속의 이념과 방향

        이진기(LEE Jin Ki) 한국비교사법학회 2019 비교사법 Vol.26 No.1

        상속은 어느 누구도 비켜나지 못하는 문화현상(kuturelles Phänomen)이다. 상속법은 가족심리적 문제의 거울이며 동시에 사회현실의 거울이다, 현행민법 상속편은 민법개정의 풍파에서 비켜서서 제정민법의 원형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는 법역이다. 상속의 본질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핵심적인 의문은 1. 상속을 법률제도로 인정할 것인가, 그리고 인정한다면 그 근거는 무엇인가의 문제, 즉 상속의 근거와 2. 이때 누구에게 상속재산을 귀속할 것인가, 즉 상속의 귀속주체의 확정으로 요약된다. 2.는 1.을 전제로 하는 서로 차원을 달리하는 문제이다. 상속은 1. 재산소유자가 의도하여 남겼거나 특별한 의도 없이 쓰다가 남기거나 장래에 대한 불안 속에서 미처 쓰지 못한 殘餘[剩餘]財産, 즉 遺産의 處理를 본질로 한다, 다음으로 상속은 2. 권리자가 가졌던, 소유권을 비롯한 재산권의 내용을 구성하는 權能 자체 또는 그의 延長을 본질로 한다. 여기에서 유언은 재산소유자의 意思의 結果物이며, 유언이 없으면 그의 부존재가 바로 법률규정[법정상속]을 따르는 피상속인의 의사를 의제한다. 상속법의 개정에서도 현행 상속법의 원칙으로 이루는 사적 상속권, 가족상속, 유언자유와 재산의 당연 포괄승계는 고수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속환경의 변화 와 상속결과와 부양의 기존정신의 일치화가 이루어져야 하고, 이와 함께 특히 약자보호, 통일의 준비. 그리고 세계 속의 상속법의 이념이 실현되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제575조의 하자담보책임에 대한 비판적 논의

        이진기(Lee, Jin Ki) 한국재산법학회 2009 재산법연구 Vol.25 No.3

        Bevor in die Frage der Gewährleistungshaftung eingehen, scheint es vor allem sinnvoll zu sein, die Rechtsnatur dieser Haftung näher zu prüfen, denn sie gilt als in der Regel der Hauptschlüssel für die Anerkennung der Gewährleistungshaftung und die Entscheidung ihres Umfangs. Zu erwähnen ist jedoch, daß sie grundsätzlich eine Unterart der Haftung aufgrund der Leistungsstörung, aber das Verschulden des Verkäufers entbehrlich ist. Dabei handelt es sich lediglich um die Äquivalenz des Preis-Leistungsverhältnisses. Das koreanische BGB (KBGB) kennt die grobe Fahrlässigkeit des Käufers für die Ausschließung der Gewährleistungshaftung nicht. §575 KBGB, welcher die Rechtsmangelhaftung aufgrund des Vorhanden eines das Eigentum beschränkenden Rechts regelt, unterscheidet nur Gutgläubigkeit von Bösgläubikeit. Die Frage ist nun, ob im Falle der groben Fahrlässigkeit von der Seite des Käufers die Gewährleistungshaftung schadet. Das Gesetzeswortlaut des §575 KBGB spricht dagegen. Deshalb hat einen Umweg zu finden, Bösgläubikeit des Käufers möglichstens objektiv und weit auszulegen, so daß sich der Verkäufers von Wandlung bzw. Minderung befreien kann. Dieses Ergebnis kann um so mehr wichtig sein, weil §575 für die Fälle des §§580, 581 entsprechende Anwendung findet. D.h. die Auslegung des §575 wird der des §§580 und des 581 übertragen, die sich auf die Sachmangelhaftung bezihen. Damit kann eine einheitliche theoretische Konstellation, die gleichzeitig Recht- und Sachmangelhaftung deckt, erzielt werden.

      • KCI등재후보

        미국 우주전략에 대한 역사적 접근 - 우주의 군사적 이용에 대한 쟁점과 함의 -

        이진기(Lee, Jin-ki),손한별(Sohn, Han-byeol),조용근(Cho, Yong-geun)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20 한국군사 Vol.8 No.-

        본 연구는 ‘미국이 우주전략을 어떻게 발전시켜 왔는가’를 연구질문으로 하여, ‘우주의 군사적 이용’에 대한 이슈와 쟁점은 무엇이 있었는지를 역사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다. 미국은 우주의 군사적 이용에 대한 개념을 확대해오면서, 강대국의 우주전략을 발전시켜왔다. 미국의 우주전략은 상대적인 위협의 존재에 따라 미소 우주경쟁부터 단극의 지배, 다극간 경쟁을 거쳐 변용되어 왔다. 또한 우주의 군사화, 상업화, 민주화, 무기화를 중심으로 우주 개발의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이 과정에서 정치적, 전략적, 작전적 차원의 다양한 쟁점이 존재하였으며, 우주전략 발전의 장애물을 차례로 해결하며 우주의 역사를 새롭게 작성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우주전략 발전의 역사에 대한 이해는 한국의 우주전략이 새로운 도약기를 맞이하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issues related to the military use of space in historical perspective, while focusing more specifically on the attempts of United States to develop a space strategy. The U.S. has improved its space strategy for achieving great power status and expanded the concept of the military use of space. In its space race with the Soviet Union, the U.S. space strategy had changed from the unipolar dominance towards the multipolar competition by the existence of relative threats. The U.S. currently shows tendency to expand the use of space, namely militarization, commercialization, democratization, and weaponization of space.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its own space strategy the U.S. have confronted different political, strategic, and operational issues and challenges and eventually overcome those obstacles. We will begin a new era of space utilization. A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U.S. space strategy will provide numerous opportunities for the Republic of Korea, who has reached the point of takeoff where it can develop its own space strategy, to explore a direction for the future space strategy.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