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마을사회 여성 리더의성장과 정치적 의미 - 연지3리 여성 이장의 사례 -

        이중구(Lee, Jung Gu)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20 民俗硏究 Vol.0 No.41

        이장은 마을의 공식적·비공식적 책무와 권한이 집중된 상징적 인물이며, 대내외적으로 마을의 대표성을 띠기 때문에 마을사회의 리더로서 위상을 갖는다. 남성 중심의 마을 운영과 가부장적 정치질서의 전통은 여성 이장의 배출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연지3리의 경우 2011년 여성 이장이 배출됐다. 주민 투표를 통한 여성 이장의 선출 과정은 한쪽에서는 남성 원로들에 의한 불신과 불안이 작용했고, 다른 한쪽에서는 여성들의 지지가 있었기 때문에 마을정치의 장으로 확대됐다. 결국 여성들의 지지를 등에 업고 임춘옥 씨가 이장으로 당선됐으며, 2년 동안 이장직을 수행하면서 마을의 시내버스 노선 유치와 마을회관의 정비를 추진함으로써 주민들의 복지 수준을 향상시켰다. 연지3리에서 여성이 마을의 리더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배경은 지방자치제 시행 이후 세력화된 여성단체 활동이 긍정적인 이력으로 작용했으며, 사회활동을 통해 형성한 인맥을 통해 필요한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었기 때문이다. 또한 마을사회에서는 산업화 이후 여초현상을 보이는 마을의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라 여성들의 정치적 영향력이 커진 점도 중요한 요인이었다. 여성들은 자신들의 권익을 보호받기 위해 여성 리더를 전면에 내세움으로써 정치적 힘을 발휘했다. 여성 리더의 선출과 활동을 통해 읽을 수 있었던 의미는 여성 주체성과 여성 리더십의 발현으로 요약할 수 있다. 여성들에 의해 기획된 마을의 변화에 대한 요구는 기존 남성 중심의 마을 운영체계와 정치질서를 전복시킴으로써 여성 주체성을 표출했다. 이렇게 모습을 드러낸 여성 리더는 주민들의 생활에 더욱 밀착한 행정적 역량을 펼침으로써 여성 리더십을 실현한 것으로 평가된다. The head of the village is a symbolic figure with official and unofficial responsibilities and authority of the village concentrated, and as an internal and external representative of the village, the position of leader is granted. The tradition of male-centered village management and patriarchal political order served as a factor that made it difficult for female heads to be produced. In the case of Yeonji 3-ri, a female head was produced in 2011. The process of selecting a female head through a local referendum was expanded to the village politics as distrust and anxiety of male elders played a role on one side and women’s support on the other. In the end, Lim Chun-ok was elected as the head with the support of women, and while serving as the head of the village for two years, she improved the welfare level of the residents by bringing in the city bus routes and pushing readjustment of the town hall. The reason why the woman was able to become a leader of the village in Yeonji 3-ri was that women’s group activities, which became a force after implementation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played a positive role and successfully led necessary projects through networks formed through social activities. Another important factor in the village community was the increased political influence of women due to the change in the population structure of villages, as it showed a gender imbalance with the higher women population after industrialization. Women, to protect their rights and interests, made an action with their political power by putting a female leader at the forefront. The meaning we can find from the election and activities of a female leader can be summarized as a manifestation of female self-reliance and women leadership. The demands for change in the village planned by women expressed female self-reliance by overthrowing the existing male-dominated village operating system and political order. The female leader is evaluated to realize female leadership by engaging in administrative capabilities that ar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residents.

      • KCI등재

        1970~1980년대 동해안 어촌사회의 권력구조 변화

        이중구(Lee, Jung-gu) 실천민속학회 2020 실천민속학연구 Vol.36 No.-

        이 글은 경북 울진군 평해읍 거일1리를 사례로 1970~80년대 어촌사회의 권력구조 변화 양상과 그 의미를 파악한 것이다. 거일1리의 권력구조는 197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집중화에서 분권화 단계로 변화했다. 1970년대 중반 이전에는 노반계가 의사결정 주도, 자치제도제정, 동유자원의 관리, 공동체제의 주관, 대외적 분쟁 해결 등 마을 내 주요 역할을 독점했다. 특히 사회질서를 해치고, 공유경제의 가치를 훼손하는 행위에 대해 물리적 제재와 심리적 제재를 가하면서, 권력을 공고히 할 수 있었다. 1970년대 중반 이후에는 다양한 사회조직이 결성되면서, 노반계의 입지가 좁아졌다. 바다와 관련해서는 어촌계의 성장이 두르러졌다. 어촌계에서는 노반계와 갈등을 빚으며, 1종 공동어장의 분할 운영을 실현했고, 이웃마을과 어장 관련 분쟁을 해결하면서 위상을 높였다. 내륙의 문제와 관련해서는 새마을운동의 영향으로 개발위원회 등 행정조직의 영향력이 강화됐다. 한편 1970년대 중반 이후에는 어업종사자의 수적 증가와 어업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지면서 노반계는 계승의 문제와 마주하게 됐다. 1980년대 어업활동에 지장을 초래하는 동임에 대한 기피 현상과 젊은 남성들의 도시 이주로 인해 노반계의 계승이 단절될 위기에 처했다. 이에 노반계에서는 회유와 압박을 통해 권력 유지를 꾀했지만 상황은 나아지지 않았다. 결국 사회조직의 역할 분담과 주민들의 경제적 실리 추구,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라 노반계의 입지가 약화되면서 마을의 권력구조는 변화한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shifts in the power structure and its meaning in fishing towns from the 1970s to 1980s based on the case of Geoil1-li, Pyeonghae-eup, Uljin-gun, Gyeongsangbuk-do. The power structure of Geoil1-li changed from centralization to decentralization starting from the mid-1970s. Before the mid-1970s, Nobangye dominated the major roles in the town by leading decision-making, establishing its system of self-government, managing the town’s resources, supervising the community system, resolving external conflicts, etc. In particular, it could consolidate its power by impos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sanctions on the acts that undermine the social order and damage the value of sharing economy. As different social organizations were established after the mid-1970s, Nobangye started to lose its ground. Regarding the sea, the growth of the fishing town was notable. As having conflicts with Nobangye, the fishing town realized the separate operation of first kind common fishing ground and raised its status by resolving the dispute over the fishing ground with a neighboring village. Regarding the inland issues,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like the development committee gained its influence due to the influence of Saemaul Undong. Meanwhile, after the mid-1970s, Nobangye faced the problem of succession as the number of fishers and the level of engagement on fishery increased. In the 1980s, the succession of Nobangye was in danger of getting severed due to the avoidance of being town executives which interfered with fishing activities and the migration of young males to the cities. Nobangye tried to maintain its power through conciliation and pressure but the situation did not improve. In the end, the power structure of the town changed as the influence of Nobangye became weaker due to the role allocation of social organizations, the residents pursuing economic benefits, and the change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 KCI등재후보

        어업활동을 통해 본 경북 동해안지역 어업노동요의 사설과 기능

        이중구(Lee, Jung-gu)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2 民俗硏究 Vol.0 No.25

        이 글은 어민들의 어업활동을 속에서 동해안 지역의 어업노동요를 살피려고 했다. 첫 번째 장에서는 동해안 어업노동요의 전승양상을 살폈고 두 번째 장에서는 어업활동의 각 단계마다 부른 어업노동요의 사설을 분석했으며 마지막 장에서는 동해안 지역 어업노동요가 갖는 기능을 살펴봤다. 먼저 동해안 지역 어업노동요가 갖는 특징은 서남해안 지역과 비교를 통해 노래의 종류와 수, 창자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드러냈다. 다음으로 어업활동과 어업노동요 사설의 관련성은 출어단계, 생산단계, 정박단계로 나누어서 살폈는데 자연환경과 신앙적 대상, 희망을 가져다주는 인물 등이 중요한 소재로 등장한다. 이어서 경북 동해안 지역 어업노동요의 흐름을 정서적, 자연환경적, 경제적, 신앙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폈다. 정서적인 측면에서는 어두운 내용의 사설에서 점차 희망적인 사설로 옮겨가며 마침내 정박단계에서는 적극적으로 희망을 노래한다. 자연환경적 측면에서는 바람과 산이 중요하게 등장하며 경제적 측면에서는 생산과 분배, 판매 순으로 사설이 옮겨간다. 끝으로 신앙적 측면에서는 성주와 용왕 등 신앙의 대상에 대한 찬양과 섬김의 내용을 담고 있다. 자연환경과 어업방식, 문화적 특성의 영향 속에서 생성되고 전승된 동해안 지역 노동요의 사설은 어민들의 삶 속에서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 피부에 와 닿는 내용을 통해 힘든 어업활동을 순조롭게 진행하고 더 많은 생산을 얻으려고 한 것이 동해안 지역 어업노동요의 사설이 갖는 실제적 기능인 것이다. This article was trying to find the finish men’s work songs of the east coast region through the activities of fishermen. In the first chapter, looked into the traditional aspects of the east coast fisheries work songs, in the second chapter, the analysis at each stage of the fishing activities of the editorial fisheries work songs sang and the last chapter looked at fisheries work songs’ features in the eastern coastal areas. First of all, the features of fishery in the East Coast of work songs with the type and number of the songs, the south-western coast and through comparison reveal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singer. Next, looked into the fishing activities and fishing of relevance of editorial stage, production stage, and settled down stage in each divisio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person that bring hope and faith-target that emerged such as important materials. Follow by, Kyungbuk East Coast regional Fisheries work song flow of work songs, emotional, natural and environmental, and economic aspects of faith, as I studied in each division. In the editorial of the emotional aspects, dark side contents gradually moved to hopeful as editorial, finally hopeful work songs actively sang in the settled down stage. Natural environmental aspects the wind and mountain appeared to be important and economic terms,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ales in the order of the editorial aspects moved. At the end, it contained the contents that the subject of faith and praise and service in term of religio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fishing method, the influence of cultural characteristics that are being created in the tradition in the East Coast of the work songs of the editorial of fishermen lives that can be explained enough. Tough fishing activities through the contents with the skin feels, trying to get more production, fishing goes smoothly and it is actually a feature of the editorial East Coast regional fishery work songs such as “Harambee.”

      • KCI등재

        인접 마을 간의 관계성 변화

        이중구(Lee, Jung-Gu) 비교민속학회 2021 비교민속학 Vol.- No.73

        이 글은 자원의 운영과 외부자본의 유입이라는 변수에 따라 인접한 마을 간의 관계성이 변화한 양상을 살피고, 그것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마을은 외부세계와 상호작용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유동성이 강한 공간이다. 전통적으로 마을사회는 ‘생존’이라는 공동의 목적을 토대로 공동체성을 보였고, 부족한 물자와 노동력은 주민들 간의 연대를 통해 확보했다. 서로 살을 맞대고 있는 삼척과 울진의 한 어촌마을에서는 역사적 · 문화적 기억을 공유하고, 종교적으로 연합하며 한 마을로 인식됐다. 이런 두 마을의 전통적 관계성은 1980년대에 정치망어업의 운영과 1990년대 이후 발전소와 쓰레기매립장 등의 공공개발 사업이 시행되면서 변화했다. 이 과정에서 불균등한 생산과 자본의 배분이 이뤄졌고, 이해관계의 충돌로 인해 주민들이 분열하고 공간은 분절화했다. 이와 같은 양상은 국가의 전략과 주민들의 대응, 어업의 호황과 노령화와 같은 어촌사회의 사회경제적 현실들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결과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ing villages depending on the variables of resource operation and inflow of external capital and to analyze its meaning. The village is a highly flexible space that is constantly changing in interaction with the outside world. Traditionally, the village community has shown community character based on the common purpose of ‘survival,’ and insufficient supplies and labor has been secured through solidarity among residents. The fishing villages in Samcheok and Uljin, where they are close together, were recognized as a single village by sharing historical and cultural memories, forming a ritual community, and sharing discourse supporting the excellence of seaweed. As conflicts over the fishing ground operation took place in the 1980s and public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power plants and garbage dumps were implemented since the 1990s, a large-scale external capital has flowed into the village. In this process, uneven production and allocation of capital were achieved, and the trad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illages has changed. This aspect can be said to be a result of socio-economic realities combined, such as the national strategy and residents’ response, boom of the fishing industry, and the aging of fishing society.

      • KCI등재

        동성마을의 기념비적 역사와 성씨집단의 대립적 해석

        이중구(Lee, Jung-gu),김태홍(Kim, Tae-hong) 실천민속학회 2021 실천민속학연구 Vol.37 No.-

        이 글은 동성마을의 기념비적 역사가 구성되고, 복수의 유력 성씨에 의해 대립적으로 해석되는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동성마을의 기념비적 역사는 많은 인물과 사건 속에서 대표성을 지닌 선조들의 학문적 업적, 관직 진출 등 상징적 역사를 함축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기념비적 역사는 유력 성씨의 가치가 개입하면서 선택과 배제에 의해 배열된 사회적 구성물이다. 그것은 고정된 실체가 아니기 때문에 힘의 원리에 따라 얼마든지 전복될 수 있는 성질을 갖고 있다. 특히 복수의 유력 성씨가 자리 잡은 동성마을의 기념비적 역사는 유력 성씨들의 위치에 따라 구성된 것이며 겉으로는 질서적이지만, 그 이면에는 성씨 간 대립적 해석이 펼쳐지는 장으로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경북지역의 한 동성마을을 사례로 유력 성씨들의 입장을 반영해서 기념비적 역사를 구성하고, 위세 경쟁 속에서 대립적으로 해석하는 양상을 살펴볼 것이다. 이 마을의 역사는 겉으로 보기에 경북 유교문화권 동성마을의 유서가 깃들어있다. 하지만 그 역사는 힘의 원리에 의해 채택된 것이며 양 성씨 간 대립적 해석이 이뤄진다. 이런 대립적 해석은 자기 조상들의 업적을 내세우는 반면 상대 성씨에 대한 견제 장치로 이용되기 때문에 마을의 주도권을 둘러싼 역동성을 잘 드러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aspect of the monumental history of lineage villages composed and confrontationally interpreted by multiple influential family names. The monumental history of lineage village implies symbolic history, such as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advancement of representative ancestors into government posts in many characters and events. This monumental history is a social construction arranged by choices and exclusions as the value of a powerful family name intervenes. Because it is not a fixed entity, it has the property of being able to be overturned as much as possibl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ower. In particular, the monumental history of lineage village, where multiple influential surnames are located, is organiz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influential surnames, and it is orderly on the outside, but it can be seen as a venue for confrontational interpretations between surnames. In this article, we will look at an instance of a lineage village in Gyeongsangbuk-do province to compose monumental history reflecting the position of influential family names and interprets it in a confrontational manner along with the competition for power. The history of the village is seemingly filled with the will of a lineage village with a Confucian culture district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However, history was adopted by the principle of power and confrontational interpretation takes place between the two families. This confrontational interpretation can reveal the dynamics surrounding the village’s leadership, as it is used as a check against the other family while promoting the achievements of their ancestor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