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냉동치료가 망막색소상피세포의 국소유착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이준교,허장원,정흠,Jun-Gyo Lee,Jang Won Heo,Hum Chung 대한안과학회 2005 대한안과학회지 Vol.46 No.2

        Purpose: In the pathogenesis of proliferative vitreoretinopathy (PVR), retinal pigment epithelial (RPE) cells do not undergo apoptosis after separation from the basement membran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by which RPE cells resist apoptosis in PVR, the expression of focal adhesion kinase after cryotherapy was studied. Methods: After lensectomy and vitrectomy was performed on rabbit eyes, a retinal tear was created. Cryotherapy was applied to the tear site one week after the tear creation. Rabbits were sacrificed at 1, 4 and 7 days after the tear formation and 30 minutes, 1, 4, 7, 9, 21 days after cryotherapy. Eyes were stained with anti-focal adhesion kinase (FAK) antibody. Results: Expression of FAK increased after the tear formation and remained increased until 21days after cryotherapy. Conclusions: These data show that creation of a retinal tear and cryotherapy increases FAK expression and may contribute to resistance to apoptosi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변액보험의 자본시장법상 ‘투자성’ 쟁점과 금융소비자보호법 도입에 따른 관련 쟁점의 해소가능성 연구 - 설명의무와 적합성 원칙을 중심으로 -

        이준교(Lee, Jun Kyo)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서강법률논총 Vol.10 No.1

        변액보험의 자본시장법상 투자성 평가에 따라 변액보험의 적용법률이 보험업법인지 아니면 자본시장법 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어 왔다. 이러한 논의가 중요한 이유는 판매 과정상에서 투자자에게 이행하여야할 설명의무 내지 적합성 원칙을 적용함에 있어 어떤 법률에 따라 이행하여야 하는지가 상이해지기 때문이다. 설명의무는 법체계상 보험업법과 자본시장법이 중첩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며, 적합성 원칙의 경우에는 보험업법상에 자본시장법상의 금융투자상품을 명시적으로 배재하고 있어 중첩적용될 여지는 없다. 그러나 변액보험에 대하여 자본시장법상 투자성(원본손실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예외적용론’과 ‘실질적용론’하에서 설명의무와 적합성 원칙을 적용하기 위한 법률이 상이해질 수 있음을 검토하였다. 하지만, 설명의무 내지 적합성 원칙은 어떤 법규를 적용하더라도 실무적으로는 유사하게 이루어져 그 적용방법에 대한 쟁점보다는 당해 의무 위반시 법률적 효과가 상이함에서 촉발될 수 있는 쟁점이 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짚어보았다. 설명의무 위반에 따른 법률효과 측면에서는, 보험업법에 비하여 자본시장법이 보다 강화된 소비자보호 기제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적합성 원칙의 경우는 서로 다른 법률이 적용되더라도 그 위반에 따른 사법상의 법률효과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 2021년 3월 금소법이 시행되면서 모든 금융상품에 대한 영업행위규제가 동법에 따라 일관되게 규제될 수 있어 그간의 변액보험과 관련된 쟁점들이 상당부분 해소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변액보험에 대한 투자성 평가 자체에 대한 쟁점은 해소될 수 없더라도 실제 투자자보호측면에서 문제되는 설명의무 내지 적합성 원칙 부문은 더 이상 쟁점으로 부각될 여지는 없거나, 적어도 현저히 줄어들었다고 판단된다. 본고에서 금소법과 관련하여 몇 가지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였다. 금소법상에서 모든 보험상품을 ‘보장성 상품’으로 일괄분류하기 보다는 보험상품의 주된 기능에 따라 분류시키는 기능적․포괄적 규제방식으로 전환할 필요성, 적합성 원칙 대상상품의 확대 방안 모색, 개별 영업행위규제 위반시 상이한 법률효과의 일치 필요성, 설명의무 대상을 권유계약으로만 제한하지 않는 방안 등은 금소법의 하위규정 제정 또는 향후 금소법 개정시 충분한 논의를 거쳐 보다 발전적인 방향으로의 입법개선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It has been debated which regulation, either Insurance Business Law(hereafter. ‘IBL’) or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 Act(hereafter, ‘CMA’), applies to variable insurance(hereafter, ‘VI’) given that it contains investment characteristics, namely, possibility of loss on principal amount, as well as risk-protection ones. This discussion is meaningful and important because it decides which regulation will be applied for effecting the duty of explanation and the suitability rule in the course of soliciting VI products to consumers. This paper explains that both regulations will apply to VI simultaneously with respect to the duty of explanation because it has protection function like traditional insurance and investment one as well. On the other hand, when it comes to the suitability rule, only one specific regulation, namely, either IBL or CMA, is applied to because the IBL explicitly exclude financial investment instruments under the CMA from IBL’s application. Therefore, it is critical how to evaluate VI’s attribute about the possibility of loss on principal amou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MA. The paper addresses two theories, one is exception-based and the other substance-based one, in an effort to assess whether the VI is financial investment instruments under the CMA or not, and also studies how to be differently applied the duty of explanation and the suitability rule under each theory. The paper points out that the difference of legal effects from violation of the duty of explanation and the suitability rule is much more important issue rather than the difference of application method and practice relating to the two duties of each regulation. Regarding the legal effect against the duty of explanation, the CMA might be more effective and powerful to protect consumer interest than the IBL. In terms of the suitability rule, however, it does not seem to have a meaningful and practical difference between two regulations. Meanwhile, sinc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hereafter, ‘FCPA’) will come into force from March 2021, market conduct regulations to almost all financial products, including insurance, will be applied by this Act in a consistent and inclusive manner. Hence, the paper reviews whether the above issues related to VI can disappear, and then provisionally concludes being resolved or reduced significantly under the FCPA with respect to the two duties,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issue itself regarding the possibility on loss of principal amount in VI is not resolved. This paper also suggests some deeper-dive discussion area and direction in the process of setting sub-regulations of or revising the FCPA in the future to accomplish FCPA’s main purpose, specifically, enhancing consumer protection in an inclusive and consistent way among financial instruments; firstly, transition from classifying all insurance products to ‘protection-type instrument’ to distinguishing ‘investment-type instrument’ from ‘protectiontype instrument’ based on the main or pivotal function of insurance product. Secondly, enlargement of applying suitability rule to other insurance products in addition to VI. Thirdly, enhancing the consistency of legal effects on market conduct violations. Lastly, application of the duty of explanation to unsolicited or non-advisable insurance contracts.

      • KCI등재

        재난안전법 개정 전에 체결된 보험계약(약관)의 초과전보조항에 대한 해석 및 임차자가 가입한 보험 관련 주요 쟁점에 관한 연구 : 서울중앙지법 2020. 4. 29. 선고 2018가단5119004 판결을 중심으로

        이준교(Lee, Jun Kyo) 한국보험법학회 2020 보험법연구 Vol.14 No.3

        다수의 손해보험약관에는 의무보험 가입대상자가 가입하여야할 의무보험에서 보상하는 손해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보상하겠다는 취지의 ‘초과전보조항’이 존재한다. 이 약관조항을 해석함에 있어, 보험가입시에는 의무보험 가입대상이 아니었으나 관련 법률 개정으로 보험가입 의무가 새롭게 생긴 경우에도 기 체결된 보험약관내의 초과전보조항이 적용될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최근 실제 소송사건인 본고의 대상판결에서는 동 약관조항에 대한 설명의무 위반 법리를 통하여 이를 해결하고 있으나 약관의 객관적 해석원칙을 적용하여 해결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고 논리적일 수 있다는 점을 검토하였다. 또한, 2017년 5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은 임차공간에서의 화재로 임차 외 부문에 손해가 발생한 경우, 임차건물뿐만 아니라 임차 외 부문까지도 임차자의 책임으로 귀속시키려면 이를 주장하는 측, 즉 임차 외 건물의 소유자는 사고에 관한 계약상 내지 법률상 책임이 임차자에게 있음을 입증하여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다. 이는 임차자의 책임을 폭넓게 인정해왔던 대법원의 기존 입장을 변경한 것이다. 본고의 대상판결에서도 위 대법원 판결과 같이 임차자의 책임범위를 획정하였는데, 이러한 변경된 판례태도에 따라 향후 보험자의 보상 및 구상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아울러, 동일건물에 소유자와 임차자가 보험을 가입하여 초과중복보험이 형성된 경우에 임차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화재사고가 발생한다면, 소유자 보험자의 보험자 대위권 행사에 따른 임차자의 보험가입실익이 축소되는 결과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마련된 약관개선방안을 평가하고 임차자의 보험가입에 대한 실익이 어떻게 보장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A wide range of non-life insurance policy forms has an excess of loss insurance clause intending to only cover the loss exceeding any legal amount required by the law which asks some group of people to buy a compulsory insurance for compensating 3rd party’s property damage and bodily injuries due to their liabilities. When it comes to interpreting this clause, it seems to be debatable whether the clause will be applied to the pre-existing contract whose policyholder was not liable to compensate and to buy an insurance product at the time of signing the existing contract, but later on he or she becomes responsible for compensating 3rd party liability and buying an appropriate insurance product in the wake of related law’s revision. The recent lawsuit on this issue has not approached by using the principle of objective interpretation on the clause itself but violation of insurer’s duty of explanation on the clause. This article has discussed whether it can be addressed by any alternative way to solve this issue in an effort to apply this clause in a consistent and reasonable manner, such as, applying the general principle of objective interpretation In addition, the article has reviewed the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as of May 2017, on how to resolve the scope of lessee’s liability in a case where the fire, originated from a leased property, damaged to both the leased and the unleased property owned by lessor at the same time. Since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the lessor has to prove lessee’s breach of contractual or legal duty as of tenant in order to ask for damage compensation on the non-leased property, insurers should take this into consideration with respect to compensation based on insurance contract and enforcement of subrogation right against responsible 3rd parties including lessee. Moreover, the article also pointed out why lessee’s insurance benefit might be reduced or disappeared in a case where a property owner and a lessee signed same kind of fire insurance contract, respectively, resulting in double-insurance, namely, exceeding its contractual insurance amount in total over the fair and insurable value of the insured property. The article has reviewed how the recently revised terms and conditions of the Standard Fire Insurance Form can solve this problem in an effective way toward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