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lectronic Enclosure 의 냉각시스템 설계

        이종신,이충구 ( Jong Shin Lee,Chung Gu Lee ) 충북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1995 산업과학기술연구 논문집 Vol.9 No.2

        Abstract_Roman Electronic components and electronic systems are rapidly shrinking in size while ther complexity and capability continue to grow at an amazing rate. This has produced a dramatic increase in the power density, resulting in rapidly rising te

      • < 구두-E-06 > 고밀도 무기질 재료를 기재로 사용한 바닥재의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이종신 ( Jongshin Lee ),이태준 ( Taejun Lee ),김덕호 ( Dukho Kim ),정재희 ( Jaehee Jeong ),최광식 ( Kwangsik Choi ),이승환 ( Sunghwan Lee ),김성준 ( Seungjun Kim ),김경태 ( Gyeongtae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19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1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분쟁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바닥재 종류 별 층간소음 저감 실태를 조사한 결과, 목질계 바닥 마감재의 경우 경량충격음 저감 효과는 있으나(최대 31%에서 최소 21%), 중량충격음에 대해서는 전혀 효과가 없어 목질계 바닥 마감재에 의한 중량충격음 저감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운 수준인 것으로 조사, 보고된 바 있다(2013,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제품 안전실태조사 보고). 본 연구에서는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바닥재 개발을 위하여 석재(대리석 등 8종) 및 타일류(벽타일과 바닥타일 5종) 등의 고밀도 이종재료를 기재로 사용하고, 그 위에 활엽수 무늬목을 접합시켜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영림목재(주)의 바닥충격음 측정 시설을 이용하여 KS F 2865 방법에 따라 각각의 제조 시험체를 대상으로 경량 및 중량충격음을 측정하여 충격음 저감 효과를 조사하였다. 8종의 석재류 중에서 국토교통부의 차단성능 기준이 50dB 이하를 충족시킨 것은 현무암(50dB)과 고흥석(49dB) 등 2종 이었으며, 타일류의 경우에는 1종의 벽타일을 제외하고 4종(47~50dB) 모두 기준을 충족시킨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중량충격음 저감 효과가 우수했던 석재 및 타일류에서 차단성능 기준(58dB) 이상의 경량충격음을 나타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슬라브 위에 접합할 때 고무 또는 코르크 칩을 바닥재와 슬라브 사이에 사용한 결과, 차단성능 기준 이하의 경량충격음을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중량충격음 저감 상승효과도 나타났다. 특히 제품명 모자이크 타일의 경우에는 가장 우수한 차단성능을 보여 각각 경량충격음은 49~50dB, 중량충격음은 48dB의 바닥충격음을 나타냈다.

      • KCI등재

        혼합화소를 이용한 IKONOS 영상의 감독분류정확도 평가

        이종신(Lee, Jong-Sin),김민규(Kim, Min-Gyu),박준규(Park, Jun-Q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6

        위성영상을 이용한 감독분류에서 훈련집단의 선택은 분류정확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훈련집단 의 특징이 명확한 순수화소를 선택할 경우 전체 정확도가 높은 반면, 저해상도 영상이거나 식별이 불분명하여 혼합화 소를 선택하면 정확도는 저하된다. 그러나 실제 영상분류를 수행할 때 순수화소만을 훈련집단으로 선택하는 것은 매 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혼합화소를 훈련집단으로 선택하였을 경우 적합한 분류기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를 위해 소수의 순수화소를 훈련집단으로 선정하여 분류정확도를 산출하고 같은 수의 혼합화소를 이용한 분류결과와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혼합화소를 사용한 분류기법들 중 SVM의 정확도가 가장 높았으며, 순수화소를 이 용한 분류결과와도 가장 작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훈련집단으로 혼합화소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건물 및 녹지 혼합지역에서는 SVM을 이용한 영상분류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Selection of training set influences the classification accuracy in supervised classification using satellite imagery. Generally, if pure pixels which character of training set is clear were selected, whole accuracy is high while if mixed pixels were selected, accuracy is decreased because of low-resolution imagery or unclear distinguishment. However, it is too difficult to choose the pure pixels as training set actually. Accordingly, this study should be suggested the suitable classification method in case of mixed pixels choice. To achieve this, a few pure pixels were chosen as training set and classification accuracy was calculated which was compared with classification result using an equal number of mixed pixels. As a result, accuracy of SVM was the highest among the classification method using mixed pixels and it was a relatively small difference with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using pure pixels. Therefore, imagery classification using SVM is most suitable in the mixed area of construction and green because it is high possibility to choose mixed pixels as training set.

      • KCI등재

        스카라 로봇 암의 최적화 설계 및 시뮬레이션

        이종신(Jong Shin Lee)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9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5 No.6

        This study is concerned about the optimal design of the arm 1 and arm 2 in the SCARA robot. The mass and inertia moment of the arm 1 and arm 2 in a SCARA robot is greatly affected on the performance such as a cycle time, and torques loaded on 1<SUP>st</SUP> axis and 2<SUP>nd</SUP> axis. To reduce the mass and inertia moment, this study carried out optimal design by FEM analysis using parametric variables, which is a width, a height of the rib and a thickness of arm in the arm. The rib is adapted instead of reducing the thickness in the ann. And the simulation by computer was conducted on two given paths in X direction and Y direction. After optimal design, the result showed that maximum torque of 1<SUP>st</SUP> axis and 2<SUP>nd</SUP> axis reduced to maximum 9.5% on a given path.

      • 레스토랑 실내 디자인이 고객 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종신(Jong-Sin Lee),함형만(Hyung-Man Ham) 한국식공간학회 2007 식공간연구 Vol.2 No.1

        Customers concern about a restaurant's design and interior a lot with a food service industry is growing up. Restaurant is not just a place to eat. Customers take a restaurant which has the subject of food. So, restaurant is a marketing tool. A food service industry is a typical service industry to make it satisfy customers basic needs. A food service industry has tried give satisfaction to customers changeable needs. One of the reason people go to a restaurant, is for abiological sufficiency and social sufficiency.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people go to restaurant is that they need to feel the restaurant service, food taste and atmosphere. The customers going to have a clear image through the restaurant mood. This is why restaurant decorations are very important. It could change customers propensity to consume and revisit. This report is based on <Patterns of restaurants design and the characteristic> by Keng Suk Kim (2004). It's showing consumers preferences through the restaurants design. Especially, that which makes consumers decide revisit the restaurant.

      • Landsat 위성의 열 센서를 이용한 비오톱 유형별 지표온도의 시계열 분석

        이종신(Jong-Sin Lee),윤희천(Hee-Cheon Y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최근 친환경 공간 및 자연환경 관리수단의 새로운 주제도로 비오톱 지도를 각 지자체별로 제작하여 보급 및 활용하고 있다. 이 비오톱 지도는 환경분야 뿐만 아니라 도시개발 및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오톱의 열환경적인 활용을 위해 비오톱 유형 자료와 영상 열밴드를 조합하여 비오톱 유형별 지표온도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비오톱 유형별에 따른 지표면 평균온도를 효율적으로 산출이 가능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정한 가반 하중이 작용하는 스카라 로봇에 대한 신경망을 이용한 기계적 처짐 오차 보상 제어

        이종신(Jong-Shin Lee)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9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5 No.7

        This paper presents the compensation of mechanical deflection error in SCARA robot. End of robot gripper is deflected by weight of arm and pay-load. If end of robot gripper is deflected constantly regardless of robot configuration, it is not necessary to consider above mechanical deflection error. However, deflection in end of gripper varies because that moment of each axis varies when robot moves, it affects the relative accuracy. I propose the compensation method of deflection error using neural network. FEM analysis to obtain the deflection of gripper end was carried out on various joint angle, the results is used in neural network learning. The result by simulation showed that maximum relative accuracy reduced maximum 9.48% on a given working area.

      • KCI등재

        탁도에 의한 구리ㆍ알킬암모늄화합물계 목재방부제(ACQ)의 농도 예측

        이종신 ( Jong Shin Lee ),김경태 ( Kyoung Tae Kim ),최광식 ( Gwang Sik Choi ) 한국목재공학회 2016 목재공학 Vol.44 No.5

        균일한 품질의 방부처리 목재 생산을 위해서는 방부약액의 농도관리가 필요하다. 아직까지 목재방부처리 현장에서 농도관리를 위하여 간편하게 방부약액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ACQ 목재방부제를 대상으로 비교적 손쉽게 측정할 수 있는 탁도를 이용하여 농도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탁도가 현저하게 작은 알칼리성의 ACQ 약액에 20%의 인산 용액을 첨가하면 백색의 현탁 물질이 생성되며 탁도가 증가한다. 인산 용액의 최적 첨가량은 약액의 탁도가 최고치에 도달하는 pH 7 수준이며, 첨가량이 많아지면 약액의 산성화와 함께 탁도가 급격하게 떨어지고 약액은 투명해진다. ACQ 약액의 농도와 탁도 간에는 정(正)의 상관을 가지며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농도와 탁도로부터 유도된 회귀방정식을 사용하여 산출한 현장 채취 약액의 예측 농도 값과 적정법으로 측정한 실측 농도 값 간의 농도 차이에는 t 검정 결과,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탁도와 회귀방정식을 이용하여 ACQ 현장 약액의 농도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concentration control of wood preservatives is necessary to produce a preservative treated wood having a uniform quality.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of wood preservatives to be easily used in the field has not been developed yet. This study examined the way to estimate the concentration from turbidity of ACQ wood preservative that can be relatively easily measured by using a portable turbidity meter. The addition of phosphoric acid solution in an alkaline ACQ solution having a very low turbidity is created a suspension of the white substance and the turbidity suddenly increased. The optimum amount of addition of the phosphoric acid solution is until the pH of ACQ solution reaches 7, the turbidity of the ACQ solution reaches maximum value. Excessive addition of the phosphoric acid solution results in a turbidity decrease with acidification of the ACQ solution. Also ACQ solution becomes transparent. The high significance was recognized wit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and the turbidity of the ACQ solution. From the t-test,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ly measured concentrations and the concentrations predicted by the regression equation for industrial ACQ solutions was not recognized. Thus,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concentration prediction and control of industrial ACQ solution using the turbidity and a regression equation. Therefore, using the regression equation and turbidity is expected to be able to management the concentration of ACQ solution in the industrial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