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중학생 반장의 역할개념과 역할수행방식에 대한 질적 분석

        이정순(Lee Jung Sun),마정건(Ma Jung Kun),이재규(Lee Jae Kyu)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7 교육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중학생 반장의 역할정체감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중학생 반장의 역할개념과 반장역할수행방식을 탐색하고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 H군 소재 3개 중학교 3학년 반장 1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질문지 및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근거 이론적 관점에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합의적 질적 분석에서처럼 4인의 토론과정과 2인의 감수자의 감수를 통해서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이 수행하고 있는 반장역할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부담임교사, 교사의 보조자 역할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이 수행하는 반장역할의 추가적 범주로는 중재자, 봉사자, 지도자, 모범, 상담자 순으로 초등학생 반장역할에서 나타나지 않은 중재자, 지도자, 상담자 역할이 새로운 역할로 부각되었다. 셋째, 중학생 반장들의 역할 수행방식은 역할에 따라 사전 예방보다는 사후 대처적 접근, 체계적 접근보다는 대응적 접근, 일방적 지시, 솔선수범, 또래간의 인간관계 중시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상담 실제와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는 첫째, 중학생 반장들이 겪고 있는 역할갈등과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도록 스트레스 대처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중학생 반장역할에서 새로이 부각되고 있는 중재자, 상담자, 지도자 등의 역할수행을 위하여 상담기법을 활용한 반장역할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d understand the role concept and its performance methods of the middle school classroom-peer-leaders to provide their role-identity education. For this, 10 middle school group leaders who were 9th grade in H Gun, Chungnam were questioned by open-ended questionnaire and were interviewed in-depth for collecting data. And consensual qualitative analyses were performed to take the credibility and the validity of analysis by grounded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a) the middle school group leaders perceived the first their role as vice-teacher, teacher assistant. (b) the middle school group leaders performed their role as intermediator, leader, model, counselor, volunteer. (c) their role performance methods were precedency, mandate, and harmonious personal relations. I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the further study suggested as (a) the middle school group leaders need to discipline to overcome their role conflict and stress (b) newly mentioned roles as leader, intermediator, counselor which didn’t perceive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leader brought us the importance of the middle school group leaders’ role education.

      • 중학교 학급반장의 역할수행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이정순(Lee Jung Sun),마정건(Ma Jung Kun),이재규(Lee Jae Kyu)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교육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중학교 학급반장의 역할교육과 리더십 계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성공적인 반장 역할수행에 작용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 H군 소재 3개 중학교 3학년 반장 1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 및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근거 이론적 관점에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을 채택하여 4인의 토론과정과 2인의 감수자의 감수를 통해서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이 수행하고 있는 반장역할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부담임교사, 교사의 보조자 역할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이 수행하는 반장역할의 추가적 범주로는 중재자, 봉사자, 지도자, 모범, 상담자 순으로 초등학생 반장역할에서 나타나지 않은 중재자, 지도자, 상담자 역할이 새로운 역할로 부각되었다. 셋째, 참여자들은 역할수행과정에서 통솔 스트레스, 중재 스트레스, 역할과중 스트레스, 역할자아와 개인자아 간의 갈등 등을 겪고 있었다. 넷째, 문제중심 대처 행동,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 등 적극적인 대처를 하는 참여자들은 반장 역할수행 경험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정서중심 대처나 회피중심 대처를 자주 사용하는 참여자들은 반장 역할수행 경험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상담 실제와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는 첫째, 중학생 반장들이 겪고 있는 역할갈등과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도록 스트레스 대처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중학생 반장역할에서 새로이 부각되고 있는 중재자, 상담자, 지도자 등의 역할수행을 위하여 상담기법을 활용한 반장역할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main factors of successful role-performing experiences of the middle school class-peer-leaders. Participants were 10 middle school class-peer-leaders who were in the 9th grade of middle school. They were asked using open-ended questionnaire and were interviewed in-depth to collect data. And consensual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to take the credibility and the validity of analysis. The analysis was based upon grounded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a) the middle school class-peer-leaders perceived their main roles as vice-teachers, teacher assistant. And they performed their roles as leaders, intermediators, counselors and helpers (b) their roles performing styles were rational persuasion, personal appeal, legitimation, pressure, human resource utilization and model, (c) participants had leading stress, mediation stress, role overload, conflict between role-self and personal-self, (d) the class-peer-leaders that perceived positive ones their roles managed task-oriented coping and social support pursuit coping behaviors, but the class-peer-leaders that perceived their roles negative ones managed emotion-oriented coping and avoid-oriented coping behaviors. I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the further study suggested as (a) the middle school group leaders need to discipline to overcome their role conflict and stress (b) newly mentioned roles as leader, intermediator, counselor which didn’t perceive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leader brought us the importance of the middle school group leaders’ role education.

      • 폴리에스테르 직물에 대한 인간 감각,감성의 분석

        이선영 ( Sun Young Lee ),이예진 ( Ye Jin Lee ),이현영 ( Hyun Young Lee ),이정순 ( Jung Soon Lee ),홍경희 ( Kyung Hi Hong ) 한국감성과학회 1998 추계학술대회 Vol.1998 No.-

        본 연구에서는 고감성 의류상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들 제공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직물에 대한 감각·감성을 1, 2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1단계에서는 얇은 여성 외의용 폴리에스테 24종을 사용하여 감성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제요인에 대해 검토하였다. 즉, 감각·감성측정시 기준직물과 그 평가치 제시 유무, 제시방법(blind/ open eye test), 환경과 직물 종류에 따른 효과를 조사하였다. 2단계에서는 1단계의 결과를 토대로 폴리에스테르 10종을 이용하여 환경에 따른 감각·감성과 물성 변인간 관계를 규명하였다. 1. 1단계의 연구결과, 기준직물 제시유무에 따라 감각·감성에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유색직물의 평가시에는 blind/open eye test에 따라서 몇가지 평가용어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직물의 색에 따른 감각·감성에 유의차가 없었다. 2. 감각용어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표준환경에서 1요인으로 두께, 무게(두껍다. 폭신폭신하다. 가볍다), 2요인으로 표면특성(매끄럽다. 부드럽다. 오돌도돌하다.), 3요인으로 강연성(뻣뻣하다. 보송보송하다)이 추출되었다. 고온다습환경에서도 유사한 결과였다. 3. 환경 효과는 고온다습환경에서 표준환경에서보다 더 눅눅하게, 덜 보송보송하게, 덜 차게 감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물의 효과는 모든 용어에서, 환경과 직물의 상호작용효과는 (차다. 보송보송하다. 뻣뻣하다. 하늘하늘하다. 촉감이 졸다.)에서 유의차가 나타났다. 4. 여러 통계기법에 의해 감각·감성 및 물성변인을 분석하여 종합한 결과, 표준환경에서 감성과 관련높은 용어는 (하늘하늘하다), 물성은 SMD로, 고온다습환경에서 감성과 관련 높은 용어는 (보송보송하다), 물성은 Contact area로 밝혀졌다. 폴리에스테르 직물에 대한 감성의 감각구조는 환경에 따라 상이하며 관련 물성 중 표면접촉특성은 환경에 관계없이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친환경 섬유소재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도 연구

        이선영(Sun Young Lee),이승구(Seung Goo Lee),김정화(Jung Hwa Kim),이정순(Jung Soon Lee) 한국생활과학회 2012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1 No.4

        In midst of growing interest and awareness towards sustainability and being “green”, there has been increased demand for sustainable clothing. In the purpose of boosting eco-friendly textiles industr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investigating environmentally-conscious cloth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and assessing their views on eco-friendliness of fibers. Thus, their awareness on recycled polyester fiber was evaluated.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surveying 257 university students residing in Daejeo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SPSS 19.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answered Disposing clothing in the clothing recycling container to reduce environmental impact. 2) Six factors of eco-friendliness of fiber were extracted as reutilization, unfinishedness, economics, environment preservation, natural materials, and slow fashion by using factor analysis. 3) Subjects scored organic cotton as most eco-friendly among various fibers. Recycled polyester fiber was graded less sustainable than natural fiber, but more eco-friendly than artificial one. 4) In assessment of subjects awareness of recycled polyester fiber, they highly valued on resource-reutilization and economics, but less valued on its hygiene, thermal insulation and health-functionalit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