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손주연(Ju Yeon Son),김시정(Si-jeoung Kim),이장재(Jang-Jae Lee)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1
본고는 다양한 이유로 단절된 남북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과학기술의 역할과 이를 추진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을 중심으로 남북과학기술협력에 대해서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대적으로 정보가 제한적이고 정보의 신뢰성이나 정확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북한연구에 대한 제약요인을 극복하고자 통합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설문조사와 FGI조사 그리고 전문가 회의 등을 활용하여 남북협력에 대한 추진전략과 협력과제를 도출하였다. 설문조사와 FGI결과를 종합한 결과 향후 협력분야로 농·축·임업분야, 전기·에너지 분야, 정보통신분야, 보건·의약분야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협력분야보다 중요한 것은 앞으로 어떻게 남북과학기술협력에 접근할 것인가라고 할 수 있다. 우선 과거와 같이 정부중심의 단기적 접근방법에서 벗어나, 남북과학기술협력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제3국이나 INGOs를 포함한 다자협력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북한과의 과학기술협력을 추진할 때, 한 분야나 우선과제를 선정하더라도 그것이 북한이 직면한 다른 문제와 연계된다는 점에서 포괄적인 프로그램 기획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북한과의 정보 비대칭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반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남북과학기술협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련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는 북한에 대한 연구제약을 보완하고자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하였음에도 여전히 결론을 도출하기 위한 관련 자료가 부족하다는 근원적인 한계를 지닌다. 이와 더불어 결과로 제시한 협력분야나 추진전략도 북한의 직접적인 입장이나 의견을 수렴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한계는 지속적으로 북한 관련 전문정보를 확보하고 관련연구를 축적함으로써 극복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suggest South-North Korea’s S&T cooperative strategies and priority areas using mixed-methodology. First,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understanding of scientists how they think about these issues. We surveyed scientists whose names are on the KOFST mailing list and analyzed 485 questionnaire responses. After that, experts who are participating in FGI discussed more deeply about the survey results and suggested the feasible strategies and projects. The results suggest some findings about priority cooperation area, new projects and strategies. Priority areas of S&T cooperation are following; agriculture, electricity & energy, and health care. However, more important thing than these priority areas is how to approach the inter-Korean S&T cooperation. More strategic approach is needed while promoting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s with north-korea. Also more long-term approach is needed to maintain the sustainability of this S&T cooperation.
손주연(Son, Ju Yeon),이장재(Lee, Jang-Jae),김시정(Kim, Si-jeou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5 기술혁신학회지 Vol.18 No.3
본 논문은 녹색성장 정책의 도입과 집행과정에서 주요 행위자와 이들의 관계를 정책네트워크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정책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전략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한국에서 녹색성장 정책은 대통령과 직속 기관을 중심으로 도입되고 추진되었으며, 단시간 내에 관련 법·제도 정비가 이루어지고 관련 조직이 설립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는 주요 행위자로서 대통령과 직속기관을 중심으로 역할이 수행되고 영향력이 집중되었기 때문이다. ‘녹색성장’이라는 정책문제에 대한 대통령의 관심과 인식변화로 녹색성장은 국정 최우선 과제로 설정되었으며, 정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자원의 재분배와 전략 수립, 관련 규범과 규칙 등에서의 변화를 수반했다. 결과적으로 새로운 법과 정책, 규제와 정부조직이 나타났으며, 이명박 정부에서 녹색성장은 매우 적극적이고 원활하게 수행 되었다. 그러나 민간과 하위 정책행위자의 참여가 부족한 상황에서 상위 정책행위자 중심의 정부 주도로 정책이 추진됨에 따라 정책의 지속성이 약하다는 한계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결국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후, 대통령의 관심과 우선순위가 변경됨에 따라 녹색성장 정책은 주된 추동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This study applies policy network theory to examine the main policy actors and their relations in the green growth policy making process. Also the development of and changes in South Korean government’s green growth strategy are analyzed.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esident and the presidential council were the key players to introduce and to push green growth policy in a short time. Policy influence and key roles were concentrated on them. The development of green growth policy were initiated from the president’s change in perceived problems and preferences. He set green growth policy on the government’s top priority. These changes lead to another changes in strategies, rules, norms and resources within the network. As a result, the president-led green growth policy established new laws,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governmental structures to facilitate the policy implementation. Green growth policy, however, was almost stopped after new presidential election in 2013. Because new government has a different national agenda, the previous governmental agenda lost its status as national priority.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government-led green growth in Korea has policy consistency problem after administration was changed by presidential election. Former president-led green growth policy making under the situation of the lack of policy participation from the private sector led to discontinuities in policy after a presidential term was over.
이장연(Lee Jang-Yeon)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0 한국전산유체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0 No.10
Hypersonic analysis on the KSR-Ⅲ payload configuration has been performed using an axisymmetric Navier-Stokes code. A numerical code based on the Harten and Yee' s upwind TVD scheme with simplified curve fits in the equilibrium chemically reacting air was developed. The carbuncle phenomenon on detached shock in front of the payload is controlled by using pressure gradients to tune the dissipation. Equilibrium chemically reacting computations for reentry flight conditions of Mach no. 10.2, 8, 4.9 are present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calorically perfect gas.
이산 웨이블릿 변환 기반 디-노이징 필터를 이용한 향상된 음원 위치 추정 연구
황보연(Bo-Yeon Hwang),정재훈(Jae-Hoon Jung),이장명(Jang-Myung Lee)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5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21 No.12
In this paper, a study of advanced sound source localization is conducted by eliminating the noise of the sound source using the discrete wavelet transform. And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that the mobile robot follows sound source stably. In addition, we compare the position estimation performance by applying a discrete wavelet transform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sound signal.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 that the de-nosing filter which removes the noise component in sound source can make the performance of position estimation more precisely and help the mobile robot distinguish the objective sound source clearly.
이원중(Lee, Wonjoong),최선우(Choi, Sun-Woo),이장연(Lee, Jang-Yeon)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3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1 No.1
항공기용 왕복엔진은 라이트 형제의 동력비행 이래 가스터빈 엔진 출현까지 약 40여 년간 발전해온 동력장치로서, 현재는 물론 앞으로도 계속 많이 사용될 것이다. 최근에는 기존 디젤엔진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이 재 부각되면서 새롭게 소형항공기 시장의 관심을 끌기 시작하였다. 현재 소형항공기용 디젤엔진은 기존의 가솔린엔진 대비 높은 성능과 효율을 목표로 상용화 수준의 엔진을 개발 중이거나 일부는 FAA(혹은 EASA) 인증 획득 후 판매에 나서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형항공기에 적용되는 추진기관 중에서 디젤 왕복엔진을 중심으로, 개발동향 그리고 기존 엔진과의 장·단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The reciprocating engine for aircraft had been used largely and developed for forty years since "Wright Brothers Powered Flight" until the advent of gas-turbine engines. Recently the diesel engine arouse the international maket"s interest by setting off the diesel engine"s merits against it"s weakness. Currently the diesel engine development projects for small aircraft are in progress. Furthermore some engines are on the market after the acquisition of FAA(or EASA) certification. In this paper the technical trends of aircraft diesel engine development are investigated, and the diesel engine"s strength and weakness compared with gasoline ones are reviewed in ad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