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극기(克己)의 의미 변용과 근대성

        이일래 동양사회사상학회 2024 사회사상과 문화 Vol.27 No.1

        원래 극기(克己)는 논어의 극기복례(克己復禮)에서 유래된 말로 폐쇄적 자아로서 나를 초극해서 사랑을 행하는 이타심을 추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이와는 다른 의미로 많이 쓰이는데 금욕이나 인내를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의미 변화에서 각각 원래 의미는 무엇이며 어떤 연원에서 비롯되는지 살펴볼 뿐 아니라 두 의미 간의 차이와 변화가 놓여있는 사회적 맥락과 기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변화가 지닌 의미를 짚어봄으로써 우리에게 근대성이란 무엇인지 성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의미 변화는 그리스철학의 아파테이아나 기독교의 모르티피카티오를 극기로 번역하면서 비롯되었다. 이후 그 의미는 더욱 확장되어 교육이나 스포츠 등 다양한 사회영역에서 인내 특히 육체적 인내를 의미하거나 이를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극기를 기르기 위한 극기훈련 등도 학교나 기업에서 많이 실행된다. 전통적 극기의 의미는 두 가지로 변화하였다. 먼저 금욕으로서의 극기로 육체적 욕망을 정신의 통제 하에 두는 것이다. 이는 그리스 철학이나 기독교 사상의 영향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밑바탕에는 서구 심신이원론의 부정적 신체관이 자리한다. 둘째, 목표지향적 행위로서의 극기다. 학교, 스포츠, 기업 등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으로 자신의 개인적 목표를 위해 현재의 욕구를 참고 이기는 것을 말한다. 전자의 경우 그래도 유가와 마찬가지로 도덕적 수양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으나, 후자의 경우 이러한 의미는 완전히 사라지고 더 큰 자신의 이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적 행위로 수행된다. 오늘날 극기는 자본주의적 인간과 생활태도를 확립하고 확산하기 위한 구호이자 장치라고 할 수 있다. 베버의 행위분류를 원용하자면 극기는 원래 이타성을 지향하는 가치합리적 행위에서, 오늘날에는 이기성을 추구하는 목적합리적 행위로 변화하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심신이원론은 서구에서는 근대 이전부터 지배적이었고 근대 이후로도 이어져 온 흐름이기 때문에 극기의 의미가 금욕으로서의 극기로 변화한 것을 서구화로, 목표지향적 행위로 변화한 것을 근대화로 볼 수 있다. Originally, ‘guek-ki(self-overcoming)’ was the concept of Confucianism and the pursuit of altruism. Today, however, it has changed to mean abstinence or patience. In this study, we concretely investigated what the original meaning and what the changed meaning. And we also found out where it originated. Above all, we identified the social context and function in which the difference and change of the two meanings are located. Currently, it is used in a different sense, and it is accepted to mean abstinence or patience. It originated from the translation of the Greek philosophy of apartheid or the Christian Mortipicatioin into guek-ki. Currently, the East Asian meaning of guek-ki has changed into two patterns. First, as guek-ki as abstinence, it puts physical desire under the control of the mind. Second, it is guek-ki as a goal-oriented behavior. It is common in schools, sports, and companies, and refers to enduring and overcoming current desires for one’s personal goals. Finally, guek-ki became a means to satisfy one’s selfishness from pursuing the goal of altruism. Guek-ki can be said to be a slogan and a device for establishing and spreading capitalist humans and living attitudes in Modern society. The change in the meaning of guek-ki to abstinence can be seen as Westernization, and the change to goal-oriented behavior can be seen as modernization.

      • KCI등재

        전통의 공간적 재현과 사회적 변화: 민속촌, 민속마을,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이일래 지역사회학회 2023 지역사회학 Vol.24 No.2

        In recent years,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is also growing with Korean popular culture. The visitors to traditional spaces h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is article, we tried to look at ‘Minsokchon’(Korean folk village), ‘minsokmaul’(folk villages), and ‘hanokmaul’(hanok villages) among the traditional spaces. First, we summarized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village. Minsokchon is an artificial village and can be said a theme park for tourism. Minsokmaul has been established for the preservation of tradition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an outdoor museum. Hanokmaul, an urban hanok area built in Japanese colonial era, is a commercial district that is not related to tradition and is like a street shopping mall. The characteristics of each village are related to the social changes. When the tradition disappeared in the 1970s, Minsokchon was intended to be built for preservation. However, due to the economic situation in Korea and the emergence of modern leisure, Minsokchon was developed as a tourist destination. In the 1980s, minsokmauls were designated, and Around 1990, with the spread of private cars, the era of public leisure opened, and minsokmauls attracted attention. Meanwhile, the cultural heritage exploration boom also affected this. Around 2010, Hanok Village began to become popularity. At this time, urban regeneration emerged as a social agenda, and Hanokmaul was proposed as an urban regeneration plan through tradition. Hanokmaul got attention as a representative successful case. Minsokmauls are regulated by laws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ies. On the other hand, Hanok Village is closely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policies in that it is regulated by ordinance. 근래 들어 한국 대중문화의 성장과 함께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아울러 전통적 공간에 대한 방문객도 크게 늘었다. 이 글에서는 전통을 재현하는 공간 중 민속촌, 민속마을, 한옥마을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먼저 각 마을의 등장과정과 특징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민속촌은 인위적 마을로서 관광을 위한 테마파크라 할 수 있다. 민속마을은 전통의 보존을 위해 설정한 곳으로 야외박물관의성격을 지닌다. 일제강점기에 만든 도시한옥구역인 한옥마을은 전통과는 관련 없는 상업지구로서 거리형 쇼핑몰과 같다. 마을들이 각각 지닌 특성은 시대적 변화와 관련된다. 1970년대 전통이 소멸되어가자 보존을 위해 민속촌을 건립하고자 했다. 그러나 한국의 경제적 상황과 근대적 여가가 등장하던 시기가 맞물려 민속촌은 관광지로서 개발되었다. 1980년대 민속마을이 지정되었고, 1990년 무렵 자가용의 보급과 함께 대중여가의 시대가 열리면서 민속마을이 관심을 끌었다. 한편 문화재 답사 열풍도 이에 영향을 미쳤다. 2010년을 전후로 해서 한옥마을이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이 무렵 도시재생이 사회적 화두로 떠올랐고 한옥마을은 전통을 매개로 한 도시재생방안으로 제기되었다. 한옥마을은 대표적 성공사례로 주목을 받았다. 민속마을이 문화재 보호와 관련한 법률에 의해 규정되는 반면, 한옥마을은 조례로 규정된다는 점에서 도시재생정책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 KCI등재

        극기(克己)의 의미 변용과 근대성

        이일래 동양사회사상학회 2024 사회사상과 문화 Vol.27 No.1

        원래 극기(克己)는 논어의 극기복례(克己復禮)에서 유래된 말로 폐쇄적 자아로서 나를 초극해서 사랑을 행하는 이타심을 추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이와는 다른 의미로 많이 쓰이는데 금욕이나 인내를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의미 변화에서 각각 원래 의미는 무엇이며 어떤 연원에서 비롯되는지 살펴볼 뿐 아니라 두 의미 간의 차이와 변화가 놓여있는 사회적 맥락과 기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변화가 지닌 의미를 짚어봄으로써 우리에게 근대성이란 무엇인지 성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의미 변화는 그리스철학의 아파테이아나 기독교의 모르티피카티오를 극기로 번역하면서 비롯되었다. 이후 그 의미는 더욱 확장되어 교육이나 스포츠 등 다양한 사회영역에서 인내 특히 육체적 인내를 의미하거나 이를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극기를 기르기 위한 극기훈련 등도 학교나 기업에서 많이 실행된다. 전통적 극기의 의미는 두 가지로 변화하였다. 먼저 금욕으로서의 극기로 육체적 욕망을 정신의 통제 하에 두는 것이다. 이는 그리스 철학이나 기독교 사상의 영향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밑바탕에는 서구 심신이원론의 부정적 신체관이 자리한다. 둘째, 목표지향적 행위로서의 극기다. 학교, 스포츠, 기업 등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으로 자신의 개인적 목표를 위해 현재의 욕구를 참고 이기는 것을 말한다. 전자의 경우 그래도 유가와 마찬가지로 도덕적 수양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으나, 후자의 경우 이러한 의미는 완전히 사라지고 더 큰 자신의 이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적 행위로 수행된다. 오늘날 극기는 자본주의적 인간과 생활태도를 확립하고 확산하기 위한 구호이자 장치라고 할 수 있다. 베버의 행위분류를 원용하자면 극기는 원래 이타성을 지향하는 가치합리적 행위에서, 오늘날에는 이기성을 추구하는 목적합리적 행위로 변화하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심신이원론은 서구에서는 근대 이전부터 지배적이었고 근대 이후로도 이어져 온 흐름이기 때문에 극기의 의미가 금욕으로서의 극기로 변화한 것을 서구화로, 목표지향적 행위로 변화한 것을 근대화로 볼 수 있다. Originally, ‘guek-ki(self-overcoming)’ was the concept of Confucianism and the pursuit of altruism. Today, however, it has changed to mean abstinence or patience. In this study, we concretely investigated what the original meaning and what the changed meaning. And we also found out where it originated. Above all, we identified the social context and function in which the difference and change of the two meanings are located. Currently, it is used in a different sense, and it is accepted to mean abstinence or patience. It originated from the translation of the Greek philosophy of apartheid or the Christian Mortipicatioin into guek-ki. Currently, the East Asian meaning of guek-ki has changed into two patterns. First, as guek-ki as abstinence, it puts physical desire under the control of the mind. Second, it is guek-ki as a goal-oriented behavior. It is common in schools, sports, and companies, and refers to enduring and overcoming current desires for one’s personal goals. Finally, guek-ki became a means to satisfy one’s selfishness from pursuing the goal of altruism. Guek-ki can be said to be a slogan and a device for establishing and spreading capitalist humans and living attitudes in Modern society. The change in the meaning of guek-ki to abstinence can be seen as Westernization, and the change to goal-oriented behavior can be seen as modernization.

      • KCI등재

        놀이의 동양적 사유와 전자게임

        이일래 ( Lee Yillae ) 동양사회사상학회 2020 사회사상과 문화 Vol.23 No.1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게임은 특정 세대에만 국한된 문화가 아니라 전세대가 즐기는 보편적 놀이가 되고 있다. 그러나 게임이 확산되는 만큼문제적 사용도 커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게임중독’이나 ‘게임 과몰입’으로 일컬어지는 이러한 현상에 대한 이해와 대안의 단초를 동양사상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전통사회에서 놀이를 표현하는 말은 여러 가지가 사용되었다. 희(戱), 유(遊), 완(玩), 예(藝) 등이 쓰였는데, 여기에는 놀이문화가 지향하는 바가 담겨있었다. 희는 놀이를 대표하는 글자이며, 유는 자유로움이라는 놀이 정신을 잘 보여준다. 완은 서양학자들에 의해서 동양의 놀이와 문화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글자로 여겨진다. 또한 예라는 표현은 놀이에 대한 올바른 마음가짐과 관련이 된다. 역사적으로 놀이는 신분과 성별에 따라 다르게 전개되었고 각자에 맞게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였다. 왕실차원에서는 정치적으로, 지배층에게는 도덕적으로, 평민들에게는 경제적으로 긍정적 기능을 가졌다. 동양에서는 놀이를 무조건 부정적으로 보지 않았다. 놀이속에 도가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 판단했다. 즉, 놀이가 덕성함양에 도움이 되는지 해가 되는지에 따라 달리 해야 한다고 보았다. 오늘날 게임에 대한 부정적 담론들은 주로 기술결정론에 기초해 있다. 반면 놀이 자체가 아니라 놀이하는 자의 자세에 초점을 맞추는 동양적 사유는 사회적 구성주의와 통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놀이에 대한 동양적 사유를 현재의 게임현상에 적용시켜 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완물(玩物)의 개념이다. ‘게임 과몰입’은 완물상지(玩物喪志)로 볼 수 있으며, 건전한 게임을 위해서는 완물적정(玩物適情)의 태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동양사상에서 즐거움과 욕망을 보는 관점에 바탕한다. 유가에서는 인간의 과욕(寡慾)을 강조할 뿐 무욕(無慾)을 주장하지 않는다. 즉, 지나침을 경계하는 것이다. 게임에 있어서도 ‘과몰입(중독)’현상은 게임에 편벽되게 집착하여 나타나는 것이다. 탐닉하지 않는 절제를 통하여 낙이 불음(樂而不淫)이라는 바른 즐김의 세계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not only younger people but also older people are playing digital game. As much as digital game become popular, its negative affect is growing. Thus In this paper, the explanation and alternative of ‘addiction’ or ‘over-immersion’ in game was investigated in traditional thoughts. In traditional society of east asia, various words had been used as terms of play. There are difference not only in expression, but also in philosophical perspective. The culture of play in Korean history, it has positive functions politically, morally and economically. Game was not prohibited unconditionally, was judged by being instructive to striving after virtue or not. Actually people had played from royal family to commoner. Today, ‘Wan-mul 玩物’ can apply in the social phenomenon in gaming. We could say that over-Immersion in game is ‘Wan-mul-sang-ji 玩物喪志’ and that sound gaming is ‘Wan-mul-juk-jung 玩物適情’. It is based on the Confucian thoughts about human pleasure and desire. The Confucian thinkers did not assert abstinence, emphasized restraint. They are vigilant on the blind and excessive pursuit of enjoyment. Like this, ‘Over-Immersion’ is to be partial to play and to be abnormally obsessed with game. By the restraint not to indulg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ethics of game as aphorism ‘enjoy but be not corrupt(樂而不淫)’.

      • KCI등재
      • KCI등재

        매체 환경과 마니아 문화

        이일래(Lee, Yil-Lae)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5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45

        As the mania of popular culture in Japan, Otaku were making in the mass media. The isolated character of Otaku is of relevance to the nature of mass media. In comparison, Pain, the mania of popular culture in Korea were making in the information media. The Sociality of Pain is of relevance to the nature of information media. The similar feature appear in gaming culture. In the japanese game industry, video game is the main stream. Otherwise online game has the biggest share in the korean game market. People can play video game alone, but online game need others to play. Therefore, there is the correlation of media environment with mania.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latform of electronic game and mania is too.

      • KCI등재

        대학가(大學街)의 역사적 변동과 공간의 재현을 둘러싼 갈등 : 부산대 ‘정문 앞 거리’를 중심으로

        이일래(Lee, Yil-Lae) 지역사회학회 2021 지역사회학 Vol.22 No.1

        부산대학교 앞에는 ‘정문 앞 거리’라고 불리는 길이 있다. 이 거리는 부산대 정문부터 버스가 다니는 도로까지 70~80미터 길이의 길이다. 이곳은 도로를 막으면 제법 넓은 공간이 만들어져 한때 일 년에 수십 차례 문화공연이 개최되던 곳이었다. 그러나 2012년 하반기부터는 이곳에서 열리는 문화행사는 거의 사라지다시피 하고 있다. 정문 옆 대학 구내에 들어선 백화점이 통행을 위해 도로를 막고 집회나 공연을 하는 것을 반대하면서 갈등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갈등이 나타나게 되는 사회역사적 과정을 살펴보았다. 학생운동이 활발하던 시절 한국의 대학은 권력으로부터 자유로운 해방구였다. 학생 시위와 문화공연을 통해 ‘정문 앞 거리’는 역공간으로서의 기능과 의미를 지녔다. 그러나 대학의 상업화로 인해 백화점이 들어서면서 이러한 성격은 사라지면서 갈등이 시작되었다. 이 갈등은 세르토가 말하는 공간과 장소와의 긴장이며, 르페브르가 말하는 공간적 실천과 공간 재현의 충돌로 볼 수 있다. 아울러 여기에는 자본주의적 도시의 변화도 영향을 미쳤다. 도시가 확장되면서 대학가는 거대한 상업지역으로 성장하였고, 재개발로 인한 젠트리피케이션은 ‘정문 앞 거리’가 가진 역공간으로서 기능을 제한하고 상실시켰다. 그러나 도시공간을 둘러싼 모순은 갈등과 저항을 일으키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There is ‘the street at front gate’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The street is 70~80 meters long. Dozens of cultural performances had been opened in the street blocked the road. From the second half of 2012, there has been few events in the street. It is due to the oppose of the department store beside the front gate. The strife appears through the social process of Korean modern history. When the student movement was active, the campus was liberation zone from the political power. During these periods ‘the street at front gate’ became a liminal space through political demonstrations and cultural performances. But the department store was built in the commercialization of university and ‘the street at front gate’ was lost the liminality. In that context the conflict has arisen. This strife is the tension between space and place what Certeau says. Also conflict between spatial practice and representation of space what Lefebvre calls. At the same time, the change of capitalist city influence on the strife. The university town has been grown a massive commercial area with urban expansion. ‘The street at front gate’ lost the liminality by the gentrification of residential redevelopment around the campus. Contradiction of urban space still have potential of resistance and confli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