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고려시대 평기와 제작기법의 변천

        이인숙(Yi In-suk) 중부고고학회 2007 고고학 Vol.6 No.1

        고려시대 평기와는 문양은 다양한 반면, 형태나 제작 속성에는 큰 차이가 없어서 편년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17종류의 고려시대 연호명 평기와의 제작기법 변화를 통해 이 시대 평기와의 편년을 시도해 보았다. 그 결과, 고려시대 평기와에서 편년적으로 의미있는 속성은 수키와의 평면형태와 암키와 내면의 윤철흔의 유무이다. 즉 수키와는 평면형태가 제형의 토수기와에서 장방형의 미구기와로, 암키와는 윤철흔이 없다가 새로이 출현하는 변화를 보인다. 고려시대 평가와 제작기법의 변천 과정은 모두 3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 (965~1027년)는 토수기와와 내면에 윤철흔이 없는 암키와, Ⅱ단계(1028~1112년)는 미구기와와 내면에 윤철흔이 없는 암키와, Ⅲ단계(1113년 이후)는 미구기와와 내면에 윤철흔이 있는 암키와가 조합된다. 이 두 가지 속성은 Ⅲ단계부터 정형화되어 더 이상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시기 이후 평가와를 편년하기 위해서는 문양이나 윤철흔의 형태뿐만 아니라 연호명막새, 가마 출토 기와를 통한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re is difficulty with dating roofing tiles of the Goryeo period because the patterns are various, while no great difference with attributes concerned with form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So, this study intended to establish a chronology on roofing tiles in question through examining variation of manufacturing techniques of 17 Goryeo roofing tile which have chronological era inscription. Attributes which have chronological significance include form of plan in convex roofing tile and existence of horizontal hollow(輪綴痕) in concave roofing tile. That is to say, the form of convex rooting tiles is transformed from ladder form to rectangle form. And concave roofing tile took horizontal hollow newly which had never been before. The transition process in manufacturing techniques of roofing tile of Goryeo period could be divided into 3phases. Ⅰ phase(A.D.965~A.D.1027): combination of ladder form convex tile and concave tile which has no horizontal hollow. Ⅱ phase(A.D. 1028~A.D.1112): combination of rectangle form convex tile and concave tile which has no horizontal hollow. Ⅲ phase(A.D.1113-): combination of rectangle form convex tile and concave tile which has horizontal hollow. These two attributes had been standardised after Ⅲphase and had no variation after that phase. So, tiles at the edge of eaves that have chronological inscription and roofing tiles excavated from kilns as well as the patterns and existence of horizontal hollow should be examined together to date roofing tiles after that period.

      • KCI등재

        경복궁 출토 청기와의 제작 시기 및 사용 건물 검토

        이인숙(Yi, Insuk) 중부고고학회 2012 고고학 Vol.11 No.3

        이 글은 최근 경복궁(景福宮)에서 출토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청기와(靑瓦)의 출토 정황과 제작기법을 살펴보고 이를 문헌 기록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경복궁에서 청기와가 실제로 사용된 건물 및 청기와의 제작 시기를 추론하고자 한다. 경복궁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청기와는 수키와 미구면(尾口面)의 조정 유무(有無), 암키와 와통(瓦桶)의 형태에 따라 두 가지 제작 기법이 확인된다. 이처럼 청기와의 제작 기법이 명확하게 구별된다는 것은 청기와의 제작 시기 차이 또는 제작 공인이나 공방의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당시 청기와가 철저히 국가의 주도 하에 생산되고 있던 상황임을 고려하면 청기와 제작기법의 차이는 제작 시기 차이를 반영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된다. 청기와의 제작 시기와 사용 건물에 대한 기록은 주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보인다. 기록에 의하면 청기와의 제작 시기는 15~16세기 초와 17세기 초로 구분되며 경복궁에서 청기와가 사용된 건물은 근정전(勤政殿)과 사정전(思政殿)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경복궁 발굴조사에서는 근정전과 사정전 이외 여러 건물지에서 청기와가 출토되고 있다. 그러나 경복궁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청기와의 출토 정황을 통해 볼 때 청기와가 출토되는 건물이 청기와의 실제 사용처를 나타내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실제로 경복궁에서 청기와가 사용된 건물은 근정전과 사정전뿐이며 이 건물에 사용된 청기와가 제작된 시기는 15세기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xplored location of excavation of blue roof tile and its manufacturing skill - recently examples of excavation of blue roof tile are on the rise in Gyeongbok Palace. By comparatively examining this with documentary and historical materials, this study tried to infer manufacturing time of blue roof tile excavated in Gyeongbok Palace and construction where the tile was used. Blue roof tile excavated in Gyeongbok Palace has two manufacturing skills according to whether upper surface(尾口面) of convex roofing tiles was adjusted or not, form of container of concave roofing tiles(瓦桶). Thus, as there were two kinds of blue roof tile so that manufacturing skills are clearly divided, differences in manufacturing period, workmen or workmen's shop can be shown. But considering situation that then, blue roof tile was produced through government's through lead, difference in manufacturing skill of blue roof tile would likely reflect difference in manufacturing period. Records for manufacturing period of blue roof tile excavated in Gyeongbok Palace and construction where the tile was used are shown in 『Annals of the Dynasty of Joseon(朝鮮王朝實錄)』. According to records, manufacturing period of blue roof tile is early 15th~16th century and early 17th century. Constructions where the tile was used in Gyeongbok Palace are only Geunjeongjeon(勤政殿) and Sajeongjeon(思政殿). Nonetheless, in the excavation survey of Gyeongbok Palace, blue roof tile was excavated in constructions other than Geunjeongjeon(勤政殿) and Sajeongjeon(思政殿). But when seeing excavation results of blue roof tile excavated in sites of several constructions of Gyeongbok Palace, points where blue roof tile was excavated are not exactly places where blue roof tile was actually used. Accordingly, constructions where blue roof tile was used are only Geunjeongjeon(勤政殿) and Sajeongjeon(思政殿). It is thought that the manufacturing period of the blue roof tiles used in Geunjeongjeon(勤政殿) and Sajeongjeon(思政殿) is 15th century.

      • KCI등재

        4~6세기 포항·울진 지역의 고분 문화

        이인숙(Yi, In-Suk) 한국고대사학회 201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3

        이 글은 신라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비석인 울진 봉평리 신라비, 포항의 냉수리 신라비와 중성리 신라비의 연구 성과를 본격적으로 논의하기에 앞서 이 비석들이 발견된 포항과 울진 지역의 고고학적 성과를 짚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 3개 비석들은 5~6세기 신라 지방에서 발생한 사건 또는 갈등에 신라 중앙이 개입하여 이를 해결한 기록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신라고고학에서는 4~6세기, 경주와 그 외 영남지방에서 보이는 물질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주로 신라 중앙의 영역 확장 과정과 지방 지배 방식의 변화로 설명하고 있다. 신라 중앙의 물질문화는 묘제(신라식목곽묘 → 적석목곽분 → 횡혈식석실분), 신라토기, 금공품 등으로 대표되는데 이것이 지방에서는 출현 또는 확산, 소멸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에 여기서는 발굴조사된 4~6세기 포항과 울진 지역의 묘제와 그 출토품을 대상으로 중앙과 지방 간의 관계를 규명해 온 기왕의 고고학적 연구 성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았다. 포항 지역에서는 3세기대부터 신라 중앙인 경주와 유사한 무기류가 다량 부장되지만 5세기대에는 다른 지역과는 달리 고총이 조성되지 않는다. 이는 5세기대에 중앙의 영향력이 직접 지배에 가까울 정도로 컸음을 반영한다 하겠다. 그러나 6세기에는 오히려 대형의 횡혈식석실묘가 축조되고 심엽형의 세환이식, 유리제 목걸이 등 신라 위세품이 부장된다. 이 시기까지도 포항은 여전히 중앙에서 관심을 기울인 지역임을 알 수 있다. 울진 지역에서는 읍남리나 덕천리에 고총을 조성하고 위세품을 부장하는 등 신라 중앙의 관심이 컸던 곳임은 분명하다. 경주로부터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하는 울진 지역은 5세기 이후에야 신라의 간접지배를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덕천리고분군에서 수장급 피장자임을 드러내는 금동관 편이 5세기 말부터 7세기 후엽까지 3차례에 걸쳐서 부장된 점, 읍남리고분군에서 금동 삼엽환두대도 장식과 함께 황남대총 북분 출토품과 유사한 금동 태환이식이 부장된 점을 통해 방증된다. 4~6세기 포항, 울진 지역은 신라와 고구려와의 대치 관계 속에서 지리적으로 신라 중앙에서 중시하였던 지역임에는 틀림없다. 중앙의 지배방식은 포항에서는 중앙의 영향력이 강한 직접 지배, 울진에서는 상대적으로 중앙의 영향력이 약한 간접지배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rcheological results of Pohang and Uljin areas before discussing the research results of Silla steles found in Bongpyeong-ri, Uljin and in Naengsu-ri and Jungseong-ri, Pohang, which are important monuments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Silla. What these three monuments have in common is that they are records indicating how the central Silla intervened and resolved incidents or conflicts that occurred in the provincial Silla during the 5<SUP>th</SUP> and the 6<SUP>th</SUP> centuries of the Silla Kingdom. Archeological literature of Silla explai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material culture between Gyeongju and other Yeongnam provinces in the 4<SUP>th</SUP> to the 6th centurie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and the province and mainly as the process of territorial expansion and change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province. This is grounded in the phenomena of representative material culture of Silla such as the burial system (Silla-style wooden coffin tomb → tomb with wooden coffin covered with stone → corridor- style stone chamber tomb), pottery and gilt bronzed artifacts appearing and disappearing or proliferating in the provinces. Accordingly, this study summarizes the results of existing archaeological studies that m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and provincial Silla in reference to the 4<SUP>th</SUP> to the 6<SUP>th</SUP> centuries tombs in Pohang and Uljin areas and their artifacts that have been excavated and investigated. In the Pohang area, a lot of weapons similar to those found in Gyeongju, the center of Silla, were buried along with the body from the 3<SUP>rd</SUP> century. However, unlike other regions, huge mound tombs were not built in Pohang in the 5<SUP>th</SUP> century. This is probably because the influence the central Silla exerted over the provincial Silla in the 5<SUP>th</SUP> century was close to direct control. While the corridor-style stone chamber tomb from the 6<SUP>th</SUP> century in this area is large and shows elements different from that in the central Silla, it is believed that Pohang was considered important even during this period, because Silla grave goods such as glass necklaces and leaf-shaped hoop earrings were buried along with the body. In the Uljin area, huge mound tombs were built in Eupnam-ri and Deokcheon-ri and grave goods were buried along with the body, indicating that these areas were places of interest for the central Silla. Uljin, which is relatively far from Gyeongju, seems to have been indirectly controlled by the central Silla only after the 5<SUP>th</SUP> century. This is evidenced by the inscription on the stele, which refers to the royal family of Silla directly intervening and punishing the people involved in an incident in Uljin, as well as the artifacts found in tombs such as the gilt bronzed crowns buried three times from the 5<SUP>th</SUP> to the 7<SUP>th</SUP> centuries in the Deokcheon-ri tombs and the gilt bronzed hoop earrings and Silla-style gilt bronzed ring pommel sword decorated with three leaves buried in the Eupnam-ri tombs. The artifacts found in Eupnam-ri tombs, in particular, are similar to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north mound of Gyeungju Hwangnam Daechong (grand mound tomb). Based on the archeological evidences, it is surmised that Pohang and Uljin were geographically important areas for the central Silla from the 4<SUP>th</SUP> to the 6<SUP>th</SUP> centuries considering the confrontational relation between Silla and Goguryeo at the time. It is also presumed that the method of control over the provinces opted by the central Silla differed for Pohang and Uljin: with control over Pohang more direct, while control over Uljin more indirect.

      • KCI등재

        고려시대 조운로에서 출수된 기와의 의미

        이인숙(Yi, Insuk) 중부고고학회 2021 고고학 Vol.20 No.2

        지금까지 수중 출수 유물에 대한 연구는 수량도 많고 잔존 상태가 양호한 도자기에 집중되었다. 그와 정반대의 이유로 주목받지 못한 유물 중에 기와가 있다. 기와는 본래 지붕을덮는 건축 부재로 한꺼번에 많은 양이 필요하다. 바닷속에서 출수되는 기와가 소량이면서파편 상태인 점을 보면, 일반적인 건축부재로서 운송된 것은 아닌 듯하다. 주로 육상으로 운송되었을 기와가 고려시대 조운로 상에서 발굴되었다. 안산 대부도선, 태안의 태안선과 마도 2호선, 마도해역 일대, 그리고 군산 야미도와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이그에 해당한다. 적게는 1~2점에서 많게는 100여점의 기와들이 출수되었다. 이에 어떠한 연유로 조운로에서 기와가 출수되었는지 그 배경을 다음의 두 가지로 규명하였다. 먼저 선박용 노지 시설로 사용되었다가 침몰된 경우로 마도 2호선 출수품이 대표적이다. 마도 2호선에서는 선박 중앙부에 기와편 200여 점을 깔아 만든 노지 시설이 발견되었다. 이 기와들은 공통적으로 흑색 그을음이 부착되었거나 색조가 회색에서 회흑색으로 변모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노지 주변에는 선원들의 취사 행위와 관련된 솥, 시루, 수저, 그릇 등이 공반되었다. 다음으로 건물용 특수 재화로서 운송 중 침몰된 경우로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에서 출수된 청자기와가 대표적이다. 청자기와는 개경 왕실 소용의 특수 지붕 부재로서 강진에서 출항한 배가 인근의 진도에서 침몰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마도해역 출수 한성기 백제 기와는 하나의 용도로 특정할 수는 없으나 충남지역 또는 특정 지방의 최상위 계층 소용의 지붕 부재로서 운송 중 침몰했을 가능성이 있다. 동시에 선박용의 노지나 저장 용기의 뚜껑, 특정 용도의 건축 부재로서 재활용하기 위해 운송된 폐기와였을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다. Studies of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sea until now have been concentrated on the ceramics excavated in large quantities which remain in a good condition. Roof tiles, on the other hand, are one type of artifact to which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due to the opposite reason. Roof tiles are architectural elements that functioned as roof coverings, and large quantities were needed at once. Given that the roof tiles excavated from the sea have been found in small quantities and fragmented conditions, it appears that they were not transported as general architectural material. Roof tiles that were usually transported over land have been excavated along the sea routes (Joun-ro) of the Goryeo Period. They have been recovered from the Daebudo Shipwreck off Ansan, the Taean Shipwreck and Mado Shipwreck No. 2 off Taean, the entire area of Mado, Yamido, Gunsan, and the sea area around Myeongnyang Daecheop-ro Road near Jindo. One or two piece(s) to about 100 pieces of roof tiles have been excavated at these sites.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llowing two backgrounds concerning the reason why roof tiles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sea routes. First, some of the roof tiles appear to have sank after being used as a hearth facility for the ships, represented by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Mado Shipwreck No. 2. Observed at the center of the vessel of Mado Shipwreck No. 2, a hearth facility that had been made by laying down about 200 fragments of roof tiles were. These roof tiles had black soot attached or the color had commonly changed from gray to charcoal gray. The hearth facility was accompanied by pots, steamers, cutlery, and bowls related to cooking. There were also the roof tiles that sank while on passage as special commodities for buildings, such as the celadon roof tiles excavated from the sea area around Jindo Myeongnyang Daecheop-ro Road. Celadon roof tiles are special roof materials that had been used by the Royal Family in Gaegyeong (present-day Gaeseong), and it seems that the ship, which had set sail from Gangjin, had sunk in Jindo, nearby. On the other hand, it is not possible to specify a single use for the Hanseong Baekje roof tiles excavated from the Mado sea area; however. They may have sunk while on passage as roof material used by members of the highest class of the Chungnam region or a certain province. O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y may have been waste roof tiles used to build the hearth facility, or as the lids of storage containers, or they may have been intended for recycling as architectural material with a specific us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DACUM법을 이용한 숲태교 산림치유지도사의 직무분석 및 교육과정 개발

        이인숙(Lee, Insook),김성재(Kim, Sungjae),방경숙(Bang, Kyung-sook),이윤정(Yi, Yunjeong),이수진(Lee, Sujin),김다솜(Kim, Dasom),장상윤(Jang, Sang-Youn)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0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DACUM법을 적용하여 숲태교 산림치유지도사의 직무를 분석하고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과정을 통해 숲태교를 담당하는 산림치유지도사의 직무를 정의하였고 4개 직무(숲태교 대상자 이해, 숲태교 전문성 함양, 숲태교 프로그램 운영, 자기계발)와 12개의 작업을 추출하여 모형으로 구조화 하였다. 숲태교를 진행해 본 경험이 있는 산림치유지도사 12인으로 DACUM 위원회를 구성하여 각 작업의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를 밝혔다. 수행빈도가 가장 높은 직무인 ‘숲태교 실행 및 평가’는 중요도와 난이도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숲태교 산림치유지도사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직무에 숙달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출된 직무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론 12시간, 실습 4시간의 총 3개 교과목(숲태교의 이해, 임신과 태아의 이해, 숲태교의 실제)의 10개 강좌로 구성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이에 대해 실무자 10인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전체 내용타당도가 0.8로 나타나 타당한 과정으로 평가되었다. 숲태교 산림치유지도사의 직무에 대한 심도있는 고찰을 바탕으로 작성된 본 교육과정은, 숲태교 산림치유지도사가 숲태교 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심화 교육과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uties of Forest healing instructor in charge of Forest Taegyo by applying the DACUM and develop the curriculum.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we defined the duties of Forest healing instructor in charge of Forest Taegyo and structured them into models by extracting four tasks (Understanding a person to be serviced Forest Taegyo, Fostering professionalism about Forest Taegyo, Implementing Forest Taegyo programs, Self-development) and 12 tasks. The DACUM Committee was formed as a working-level staff of 12 Forest healing instructor in charge of Forest Taegyo to reveal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each task. Forest healing instructor in charge of Forest Taegyo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task is a real thing to do on the ground, but they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y were in trouble as they had not yet mastered those tasks. Based on this, a 10-lectures curriculum consisting of a total of 3 subjects (The understanding of Forest Taegyo, The understanding of pregnancy and fetus, and The practice of Forest Taegyo) was developed for 12 hours in theory and 4 hours in practice. The content feasibility test was conducted among 10 working-level employees, and the overall content feasibility level was 0.8, which was evaluated as a reasonable proces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curriculum prepared based on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duties of Forest healing instructor in charge of Forest Taegyo can be used as a advanced education course for Forest healing instructor for professional implementation of Forest Taegyo program.

      • KCI등재

        숲 태교의 개념 분석

        이인숙(Lee, Insook),방경숙(Bang, Kyung-Sook),이윤정(Yi, Yunjeong),김성재(Kim, Sungjae),김다솜(Kim, Dasom),장상윤(Jang, Sang-Youn),문민지(Moon, Minji)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8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는 임부와 태아를 위한 ‘숲 태교’의 개념을 정의하고 명확한 속성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혼종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첫째, 이론적 단계로 2017년 4월 10일부터 5월 15일까지 MEDLINE, EMBASE, Cochrane CENTAL, DBpia, RISS, KISS 데이터베이스에서 총 510건의 문헌 중 선정기준에 해당하는 58건의 전문을 분석하여 숲 태교의 차원, 선행요인, 결과, 속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잠정적 정의를 제시하였다. 둘째, 현장연구단계에서는 7개월 이상 임부 혹은 첫아이가 24개월 미만인 모성 10명, 조산사 또는 산전교육담당 간호사 5인, 숲태교지도사 혹은 산림치유지도사 6인을 대상으로 태교와 숲 태교에 대한 심층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셋째, 최종단계에서 이론적 단계와 현장단계를 종합하여 분석하고 개념을 재정의하였다. 숲 태교의 개념은 전인적 자기 건강관리 행위, 믿음과 소망(태교에 대한 믿음, 건강한 아기를 바라는 소망), 감각 자극을 통한 태아발달과정 지지, 부모–태아 상호작용, 가족결합력 강화, 자연환경의 치유적 활용의 속성을 가진다. 궁극적으로는 본 연구의 숲 태교 개념 정립을 통하여 임부 및 태아 건강증진에 효과적인 숲 태교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and clarify the concept of ‘Forest taegyo’ for pregnant women and fetus applying the hybrid model. First, on the theoretical stage, the study analyzed 58 full texts meeting the standard among 510 pieces of literature from MEDLINE, EMBASE, Cochrane CENTRAL, DBpia, RISS and KISS from April 10 to May 15, 2017 and suggested a provisional definition of forest taegyo after figuring out the dimensions, predisposing factors, results and attributes of forest taegyo. Second, on the on-site survey stag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on taegyo and forest taegyo with 10 mothers who are pregnant for more than 7 months or have their first child aged under 24 months, 5 midwives or prenatal education nurses and 6 forest taegyo instructors or forest therapists. Third, it redefined the concept of forest taegyo after synthesizing and analyzing the theoretical and on-site survey stages. The concept of forest taegyo has the following attributes. Holistic self health management behavior, Faith and hope(Belief in taegyo, hope for having a healthy baby), Supporting fetal development process through sensory stimulation, Parental-fetal interaction, Strengthening family cohesion, Utilizing forest environment for healing.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forest taegyo intervention programs that prove the effectiveness of health promotion of pregnant women and fetus based on the established concept of forest taegyo in this study.

      • KCI등재

        아연, 산화 아연 나노 입자가 오이에 미치는 독성 및 생물이용성

        송이레(Yi Reh Sohng),남윤선(Yoon Sun Nam),이인숙(In Sook Lee) 大韓環境工學會 2009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1 No.7

        Seedling 성장 실험은 나노입자에 대한 독성 평가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오이에 대한 나노 아연과 나노 산화 아연의 독성을 filter paper방법과 phytagel방법을 통해 평가해 보았다. 비교 결과 phytagel방법이 불용성인 나노아연, 산화 아연의 침전을 방지했다. 오이 seedling 길이는 노출된 나노 아연, 나노 산화 아연의 농도에 따라 filter 방법에서 음의 관계를 나타냈다. 나노 아연과 나노 산화 아연에 대한 오이의 EC50값은 598, 600 mg/L로 나타났다. Filter paper방법에서만 아연의 오이 내 생체 축적량은 노출된 나노 아연, 나노 산화 아연의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관찰 결과 filter paper방법이 phytagel 방법보다 더 좋은 protocol로 나타났다. Seedling growth test is used to assess toxicity of nanoparticles (NPs). This study evaluates toxicity of zinc, zinc oxide NPs on Cucumis sativus using two methods; phytagel and filter paper. From the comparison, phytagel method prevents precipitation of water insoluble NPS. Seeding length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exposed concentration of Zn, ZnO NPs in filter method. The median effective concentrations (EC50) for C. sativus exposed to Zn, ZnO NPs were estimated about 598, 600 mg/L in filter method. Bioaccumulation increased with the exposed concentration of Zn, ZnO NPs in only filter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ilter paper method was much better protocol than phytagel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