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증상 췌장낭성종양 환자에서 추적검사의 종료시기는 언제가 적절한가?

        이윤석 ( Yoon Suk Lee ),조광범 ( Kwang Bum Cho ) 대한소화기학회 201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9 No.2

        2015년 미국소화기학회(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AGA)에서 무증상 췌장낭성종양(pancreas cysticneoplasm)에 대한 진료지침을 발표하였고, 5년 동안 적절한 추적검사를 시행하였으나 특별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다면 추적관찰을 중단할 것을 권고하였다.<sup>1</sup> 그런데, 췌장낭성종양의 자연경과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5년이 경과한 후에도 악성화의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무증상 췌장낭성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 추적관찰을 시행하여 췌장암의 발생률 및 전 원인 사망률(all-cause mortality)을 알아보고자 하였다.<sup>2</sup> 저자들은 2002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총 4개의 의료기관에서 후향적 다기관연구를 수행하였다. 내시경초음파검사(endoscopic ultrasonography, EUS)를 통하여 췌장낭성종양이 확인된 시기를 추적관찰의 시작으로 정의하였고, 5년이상의 추적관찰이 이루어진 환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시작시점으로부터 5년 이내에 췌장암이 발생하였거나, 췌장수술을 받았거나, 췌장염에 의한 가성낭종 및 만성 췌장염이 동반된 경우는 제외하였다. 총 310명의 환자가 최종 등록되었고, 추적관찰 기간의 중앙값(median)은 87개월, 범위(range)는 최소 60개월에서 최대 189개월이었다. 2015년 AGA에서 제시한 3가지 고위험소견(high risk feature; cyst size >3cm, dilated pancreatic duct, mural nodule) 중 최소한 한가지 이상의 소견을 보이는 환자는 총 98명이었으나, 3가지소견이 모두 관찰된 환자는 없었다. 오직 1개의 고위험소견만 확인된 환자는 85명이었고, 이 환자들 중에서는 1명(1%)에서 침윤성 암종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2개의 고위험소견이 동시에 확인된 환자는 13명이었고, 이 환자들 중에서는 2명(15%)에서 침윤성 암종이 발생하였다. 좀 더 세분하여 살펴보면, 췌장낭성종양의 최대직경이 3 cm을 초과하는 83명의 환자중에서는 3명(3.8%)에서 침윤성 암종이 발생하였고, mural nodule 또는 고형종괴(solid component)가 확인된 7명의 환자 중에서는 1명(14%)에서 침윤성 암종이 발생하였다. 또한, 췌관직경이 10 mm보다 증가한 5명의 환자 중에서는 1명(20%)에서 침윤성 암종이, 다른 1명에서는 고도 이형성증이 발생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추적관찰기간 동안 최종 사망환자는 모두 29명(9.4%)이 확인되었는데, 오직 3명의 환자에서만이 췌장암으로 사망을 하였고, 26명의 대부분의 환자에서 췌장낭성종양과 관련이 없는 질환에 의해 사망하였다. 심장질환이 11명(3.5%)으로 가장 많았으며, 췌장 이외의 종양성질환이 6명(1.9%)으로 그 다음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저자들은 2가지 이상의 고위험인자가 확인된 환자에서는 지속적인 추적관찰 및 필요 시 수술을 고려해야 하겠지만, 고위험인자가 1가지 이하인 경우에는 악성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1% 미만으로 매우 낮기 때문에 5년이 지나도록 특이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다면 추적검사의 중단을 고려해야 한다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해설: 최근 영상검사기기의 발달로 인하여 췌장낭성병변(pancreas cystic lesion)의 우연한 발견이 증가하고 있고, 그유병률은 적게는 2.5%에서 많게는 19.8%까지 보고되고 있다.3-5 췌장낭성병변은 종양성(neoplastic)병변과 비종양성(non-neoplastic)병변으로 구분이 되며, 종양성 병변의 경우, 특히 췌관내 유두상 점액종양(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neoplasm, IPMN) 및 점액성 낭성종양(mucinous cystic neoplasm, MCN)에서 악성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sup>6</sup> 그런데, 종양성 병변의 감별과 악성화 유무는 수술적 절제를 통해서만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술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악성화에 대한 위험도 분류 및 적절한 추적관찰은 임상진료에서 매우 중요하고 도전적인 과제가 되고 있다. 최근 들어 여러 진료지침들이 발표되고 있는데, 2006년에 IPMN과 MCN에 대한 국제적 합의 진료지침(international consensus guidelines)이 발표되었고, 2012년에 개정판이 발표되어 현재까지 많이 이용되고 있다.<sup>7,8</sup> 또한, 최근 2015년에는 AGA에서 무증상 췌장낭성종양에 국한하여 새로운 진료지침을 발표하였다.<sup>1,9</sup> 이번 AGA진료지침의 특징은 췌장염 또는 황달과 같은 증상이 존재하거나 주췌관형IPMN에 대해서는 진료지침의 대상에서 제외하였다는 것이고, 고형 가유두상 종양(solid pseudopapillary neoplasm), 신경내분비 종양(neuroendocrine tumor), 췌장암의 낭성변질(cystic degeneration of adenocarcinoma)도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뿐만 아니라, 추적관찰의 종료시점에 대해서 명확하게 제시하였고, 다음의 2가지 경우에는 추적관찰을 종료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첫 번째는, 5년 동안 추적관찰을 하였지만 의미 있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 경우이며, 두 번째는 수술적 치료의 위험성이 더 높아서 수술적 치료대상(surgical candidate)이 되지 않는 경우이다.<sup>1</sup> 그런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췌장낭성종양의 자연경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특히 5년 이상의 장기간 추적관찰을 시행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고, 연구대상 수도 적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진료지침에 대한 근거수준은 매우 낮음(very low quality evidence)으로 측정되어 있다. 그런데, Kwong 등<sup>2</sup>에 의한 이번 연구결과로 본 진료지침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총 310명의 연구대상환자 중에서 오직 3명(1%)의 환자만이 침윤성 암종이 발생하였고, 고위험인자가 전혀 확인되지 않았던 212명의 환자에서는 침윤성 암종은 발생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1개의 고위험소견을 보인 85명의 환자 중에서는 오직 1명(1%)의 환자만이 침윤성 암종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Kwong 등2은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5년이 경과한 후에는 췌장낭성종양의 악성화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번 연구만으로 충분한 근거를 제시한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후향적 연구라는 제한점으로 인해서 각 의료기관에서의 추적관찰 방법이 동일하지 못하였다. 또한, 가성낭종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서 급성 췌장염의 병력이 있던 환자도 제외하였는데, 급성 췌장염은 worrisome feature 중의 한 요인으로 worri-some IPMN이 연구에서 함께 제외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추적관찰 시작지점에서 EUS를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worrisome 또는 high-risk feature를 좀 더 일찍 발견하게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연구 종료 시점의 모든 환자에게서 수술을 통한 병리학적 소견을 확인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초기의 췌장암은 발견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제한점이 존재하더라도 장기간 추적관찰을 통한 췌장낭성종양의 자연경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추적검사의 중단시기를 결정하는 것에 있어서 또 하나의 고려사항은 기대여명일 것이다. 최근 건강검진의 활성화로 인해서 비교적 젊은 나이에 췌장낭성종양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20년 이상의 기대여명이 예상되는 건강한 환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진료지침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오히려 지속적으로 추적관찰을 하는 것이 이득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임상의사는 각각의 환자를 대상으로 가능한 모든 사항을 종합하여 환자의 특성과 상황에 맞는 추적관찰 방법과 중단시기를 선택해야 하겠다. 또한, 앞으로 10년 이상의 장기간 추적관찰 기간을 보이는 추가적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것을 기대하며 적절한 방법 및 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환상동화 몬스터 캐릭터의 조형적 특징에 따른 아동 반응 연구

        이윤석 ( Yoon Suk Lee ),조윤주 ( Youn Joo Cho ) 한국예술교육학회 2009 예술교육연구 Vol.7 No.1

        환상동화의 몬스터 캐릭터는 그림책의 등장인물로 종종 사용되곤 한다. 이러한 몬스터는 환상동화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환상성과 극단적인 카테고리인 악, 추에 속함으로 강한 캐릭터성이 표현된다. 이 연구는 이론적 문헌을 통해 추출한 몬스터의 악, 추, 환상성을 기반으로 아동들의 관점에서 보여 지는 몬스터에의 악, 추, 환상성에 대한 조형적 특징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캐릭터의 조형적 요소를 잣대로 각 몬스터 캐릭터 마다 조형 요소들을 추출한 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 대입하여 아동들이 선호하는 혹은 선호하지 않는 몬스터 캐릭터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설문은 아동들이 `좋아하는/싫어하는`, `예쁘게 생긴/못생긴`, `재미있게 생긴/재미없게 생긴` 몬스터 캐릭터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설문이 이루어 졌으며 이는 이론적 배경에서 언급한 몬스터의 특성인 `악`, `추`, `환상성`을 토대로 하여 만들어진 문항들이다. 분석 결과 아동들은 과반수의 몬스터를 `싫어` 하지만 몬스터에 대해 `흥미`는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환상동화의 등장인물로서 아동들에게 `흥미`롭게 교훈적 내용을 전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아동들은 과하게 사실적인 묘사나 어른의 신체, 추상적인 신체의 비율을 가진 몬스터에게서 부정적인 시각을 가진다. 이러한 결과로 그림책 일러스트레이터에게 몬스터 캐릭터를 표현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monster characters in the fantastic fairy tales are occasionally used in the picture books. The characteristics of monsters are described very strongly because they belong to fantastic nature, the core elements of fantastic fairy tales and wickedness & ugliness, the ultimate category. This study is on a formative distinguishing mark on fantastic nature of wickedness and ugliness on monsters from children`s views based on them drawn out from theoretical document. This researcher extracted formative elements from each monster character and then analyzed formative distinguishing mark of the favoured/disfavoured monster. characters by children subject to a questionnaire. For the questionnaire, the children were set to criminate the monster characters they like/dislike, beautiful/ ugly/funny looking/ unfunny looking, all those items of the which were made on the basis of `wickedness`, `ugliness`, fantastic nature` of monster characteristics out of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hildren `disliked` majority of monsters, it`s for sure that they are `interested` in them. The fact indicates that they deliver children educational contents `in interesting way. Besides, children have negative view against excessively realistic description adults` bodies, and the monsters with bodies of abstract rate. For that reason, I hope to be helpful for the picture book illustrators in describing monster characters.

      • KCI등재

        진행성 결장직장암과 조기 위암의 이중암을 가진 환자에서의 복강경 병합절제술

        이윤석(Yoon Suk Lee),김진조(Jin Jo Kim),이인규(In Kyu Lee),이근호(Keun Ho Lee),오승택(Seung Taek Oh),오세정(Se Jung Oh),박승만(Seung Man Park),김준기(Jun Gi Kim),김영하(Young Ha Kim) 대한외과학회 2007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ASRT) Vol.72 No.6

        Performing laparoscopic surgery for colorectal cancer and early gastric caner has recently been rapidally increasing. We report here on our experiences of 3 cases of laparoscopic combined resection for synchronous colorectal cancer with early gastric cancer. Case 1) An 87-year-old male had synchronous right colon cancer along with early gastric cancer, and he underwent laparoscopic right colectomy with laparoscopic assisted distal gastrectomy. Case 2) A 49-year-old male had synchronous rectal cancer with early gastric cancer, and he underwent laparoscopic abdominoperineal resection and totally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with delta anastomosis. Case 3) A 76-year-old female had synchronous sigmoid colon cancer with early gastric cancer, and she underwent laparoscopic low anterior resection with laparoscopic assisted distal gastrectomy. The laparoscopic approach for synchronous cancer can be a treatment option for selected cases.

      • KCI등재

        충수돌기 게실증과 동반된 성인의 장중첩증

        이윤석(Yoon Suk Lee),이인규(In Kyu Lee),김진조(Jin Jo Kim),이근호(Keun Ho Lee),오세정(Se Jung Oh),박승만(Seung Man Park),김영하(Young Ha Kim),오승택(Seung Taek Oh),김준기(Jun Gi Kim) 대한외과학회 2007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ASRT) Vol.72 No.4

        Diverticulosis of the vermiform appendix is an uncommon entity with incidence of 0.2∼2.0% in surgical pathologic specimens. Inflammation, perforation, and hemorrhage will be complications of appendiceal diverticulum. Without these complications, appendiceal diverticulum is asymptomatic. Authors experienced intussusception combined with appendiceal diverticulu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춘향전>에 들어 있는 『대장청도도(大將淸道圖)』

        이윤석(Lee, Yoon-suk) 국어국문학회 2012 국어국문학 Vol.- No.161

        Most versions of Chunhyang Jeon includes the scene of Governor Byun"s ceremonial march as a Namwonbusa. However, even the researchers have not been able to understand the exact meaning of this scene where the flags and musical instruments are enumerated. Recently, in "A Study on Pansori Cheongdogi Episode", Bae Yeonhyung has pointed out that this scene is related to Daejangcheongdodo(大將淸道圖) of Byeonghakjinam(兵學指南).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respective Daejangcheongdodos on Byeonghakjinam(兵學指南) and Jixiao-xinshu(紀效新書), since Byeonghakjinam is an abridged edition of Jixiao-xinshu written by Chinese general Qi ji-guang(戚繼光). Also,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tents of Daejangcheongdodo among various versions of Chunhayng Jeon, it was made clear that in the variant of the rental book version those contents were reflected exactly the same way. But the other versions had more of abridgement and modification. Examining the Daejangcheongdodo would mean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process of Chunhyang Jeon.

      • KCI등재

        구운몽의 작자와 원본 재론

        이윤석(Lee, Yoon-Suk)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0 동방학지 Vol.190 No.-

        고소설 연구자들 사이에서 『구운몽』의 원작이 한글본인가 한문본인가 하는 논란은 계속되고 있으며, 많은 이본 가운데 어떤 것이 원본에 가장 가까운가에 대해서도 여러 의견이 있다. 기존의 『구운몽』 이본 연구는 을사본, 서울대본, 강전섭본 등 세 종의 이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세 종의 이본 사이의 몇몇 단어나 문장의 비교만으로 『구운몽』 원본을 찾아내기는 어려우므로, 원본을 찾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다룬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이본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특히 세책으로 유통된 한글본에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 필자는 이재(李縡)의 『삼관기』에 나오는 『구운몽』 관련 기록을 검토해서, 1689년 이전에 이미 한글본 『구운몽』이 서울의 부녀자들 사이에서 유행했다는 것을 밝혀냈고, 아울러 김만중이 선천(宣川)에 유배되었던 기간(1687.09-1688.11)에 『구운몽』을 썼다는 학계의 통설이 잘못임을 지적했다. 이재는 『구운몽』의 작자를 김만중이라고 말한 최초의 인물인데, 그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어떠한 증거도 제시하지 않았다. 그런데 김만중을 『구운몽』의 작자라고 지목한 조선시대의 기록은 대부분 『삼관기』를 그 전거로 삼고 있다. 이처럼 『구운몽』의 김만중 창작설은 믿을 만한 근거가 없으므로, 『구운몽』의 작자와 원본에 관한 논의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It is still controversial whether the original work of Kuunmong, a representative work of the Korean old novel, is a Hangul version or a Chinese version. The original is not yet confirmed among the various versions. The previous studies of the different versions of Kuunmong was conducted mainly on three different versions. Because those studies only tried to find the original work with only a few different versions, the attempt to find the original of Kuunmong has not been successful. It is difficult to find the original by comparing some words or sentences between the three versions. In order to find the original of Kuunmong,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many more different versions. An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Hangul version distributed by lending library.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records related to Kuunmong in Lee Jae s Samgwangi, and found that the Hangul Kuunmong was already popular among women in Seoul before 1689. And I pointed out that the academia s popular belief that Kim Man-Jung wrote Kuunmong in 1687, when he was exiled to the Seoncheon district was wrong. Lee Jae is the first person to note that the author of Kuunmong is Kim Man-Jung, but he did not offer any solid evidence to support his claim. Some of these facts tell us that there is no reason to believe that the author of Kuunmong is Kim Man-jung. Therefore, the discussion about the author and the original of Kuunmong must be restarted from the beginning.

      • KCI등재

        방각본 <조웅전>의 원천

        이윤석 ( Yoon Suk Lee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동방학지 Vol.166 No.-

        <조웅전>은 다른 고소설과 마찬가지로 작자 와 창작시기는 알 수 없다. 현재 여러 종의 경판 본과 완판본 이본이 있고, 수많은 필사본이 전하 며, 활판본도 상당수가 있다. 이렇게 많은 이본 이 있다는 사실은 <조웅전>의 높은 인기를 반영 하는 것인데, 이 작품이 세책으로도 유통되었는 지에 대해서는 그동안 알려진 바가 없었다. 근래 세책 장부의 조사를 통해 적어도 9책 이상인 세 책 <조웅전>의 존재가 알려졌고, 또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에는 전체 7책 중 한 책만 남은 세책도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 세책을 검토해서 최초의 <조웅전>은 서울의 세책집에서 만든 것 이고, 경판본과 완판본은 세책을 축약해서 제작 한 것임을 밝혔다. 그리고 1910년대에 간행된 활 판본 <조웅전>은 완판본을 저본으로 만든 것이 라는 점도 확인했다. 지금까지 경판과 완판 <조 웅전> 각각의 계통을 밝힌 연구는 있었지만, 경 판본과 완판본의 원천이 무엇인가를 찾아보려 는 연구는 없었다. 경판본과 완판본 <조웅전>의 원천이 세책이라는 것이 밝혀졌으므로, 이 논문 의 결과를 다른 고소설로 확대시킨다면, 방각본 의 원천이 세책이라는 점이 분명해질 것이다. Jowoong-Jeon, one of the old novels written in Korean, has been handed down in numerous forms. Its writer and the time of writing have been unknown alike the cases of other old novels. There remain several types of Gyeongpan and different versions of Wanpan, a large number of manuscripts, and a considerable number of typographic versions. Such a large number of different versions indicates the popularity of Jowoong-Jeon. Nevertheless, there has been no light shed on its relationship with lending library until recently. However, the existence of lending library version of Jowoong-Jeon which was composed of nine volumes at least, has become known by recent research on the account books of lending library. Also, there remains one volume (out of seven in total) of lending library version in the Dankook University Yulkok Memorial Library. By examining these lending library versions, this paper has succeeded in elucidating the following points; Firstly, Jowoong-Jeon was written by lending library in Seoul. Secondly, the Gyeongpan and Wanpan of the piece are the abridged versions of lending library book in Seoul. Lastly, the original text of the typographic version in the 1910`s was the Wanpan. Until now, there have only been researches which focused on explaining each branches of the Gyeongpan and Wanpan Jowoong-Jeon, but the question on their origin has never been asked. This paper has made it clear that the origin of the Gyeongpan and Wanpan Jowoong-Jeon is lending library book. By amplifying this result to the other cases of old novels, it would become evident that the origin of commercial woodblock book was lending library b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