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의 전자 소통, 소셜 미디어 사용 현황과 지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조민호(Minho Jo),이원혜(Wonhye Lee),황태연(Tae-Yeon Hwa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20 사회정신의학 Vol.25 No.1

        목 적 : 소셜 미디어 등 웹서비스의 사용이 증가하며 임상 현장에서 의사-환자 관계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신건강 의학과 의사들의 환자와의 전자 소통, 소셜 미디어 사용 현황을 알아보고 의료 정보의 제공과 소통의 기회를 확대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올바른 소셜 미디어의 사용에 관한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하여 조사를 진행했다. 방 법 :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총 243명의 설문지가 수거됐다. 설문지에는 환자나 타인과 이메일 또는 문자 메시지 소통, 소셜 미디어 사용 및 개인정보 접근 제한 등과 환자와의 온라인 소통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필요성 등이 포함됐다. 설문지 문항에 대한 기술통계분석과 연령별, 경력별, 근무지 형태별 차이를 분석했다. 결 과 : 응답자의 31.3%가 환자와 이메일로 소통하였고 이 중 5.3%만이 서면 동의를 받았다. 환자와 문자 메시지로 소통한다는 응답자는 39.1%였다. 반면 환자로부터는 이메일 소통 요청을 45.7%가 받고 있었다. 응답자의 26.7%는 환자의 사적인 정보를 인터넷으로 검색 하고 있었고 온라인 포스팅을 하고 있는 응답자는 51.0%였으나 20.2%는 개인정보 접근 제한을 전혀 하지 않았다. 개인정보 접근 제한은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었다. 응답자의 83.5%가 학회나 협회 차원의 전자 소통, 소셜 네트워킹 등 온라인 상 환자와의 소통에 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이 임상현장에서 환자와 많은 전자 소통이나 소셜 미디어 사용을 하지 않고 있으나, 환자들의 소통 욕구는 증가하고 있었고, 개인정보 보호와 비밀 유지, 정확한 의료 정보교환 등을 위해 향후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준수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 The use of social media and other web services is increasing, and it is affecting doctor-patient relationships at the clinical situa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Korean psychiatrists’ usage of social media, electronic communication with patients and colleagues and to develop guidelines to prevent possible negative effects. Methods : The questionnaire included e-mail or text messaging with patients or others, social media usage and privacy restrictions, and the need for guidelines for online communication with patients.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hrough on-off line to psychiatrists and a total of 243 replies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questions and additionally, non-parametric tests were conducted to analyze differences in age, career, and type of work for questionnaire questions. Results : 31.3% of the respondents communicated with patients via e-mail, and only 5.3 percent of them received written con-sent. 39.1%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communicate with patients via text messages. 26.7% of the them were searching for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on the Internet. Before psychiatric interview, while 51.0% of respondents were posting online, 20.5% did not restrict access to personal information at all. Restrictions on personal information ac-cess differed by age group. 83.5%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need guidelines on online communication with patients. Conclusion : This study shows that psychiatrists in Korea are not so much using email and social media while they are communicating with their patients in the clinical setting even though they are observing the patients’ demands are increasing. Many psychiatrists agreed to develop and follow the guideline for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and social media usage with patients and colleagues, which include privacy and personal data protection, medical information provision and transfer.

      • KCI등재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 불안이 질병 경과에 미치는 영향 : 전향적 추적관찰에 대한 중간분석

        김수정,김소정,송혜현,이원혜,전명욱,남윤영,박동연,Kim, Soojeong,Kim, So Jeong,Song, Hye Hyun,Lee, Wonhye,Chon, Myong-Wuk,Nam, Yoon Young,Park, Dong Yeo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21 생물정신의학 Vol.28 No.1

        Objectives Despite growing attention to anxiety in bipolar disorder (BD), little research has assessed anxiety symptoms in the course of BD. The current prospective follow-up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subjectively and objectively measured anxiety symptoms on the course of BD. Methods A total of 49 patients with BD were followed-up prospectively for average of one year at an average of four months interval. The Korean version of the Beck Anxiety Inventory (K-BAI), the Hamilton Anxiety Rating Scale, heart rate variability (HRV) were used to measure anxiety subjectively, objectively and physiologicall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high and low anxiety groups based on their K-BAI scores.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recurrence of mood episode, suicide attempt, emergency room visit, and psychiatric hospitalization between two groups. Mediators were investigated with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s. Results Compared to the low anxiety group, the high anxiety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impulsiveness (p = 0.016) and lower high frequency component on HRV (p = 0.007) after controlling for severity of BD. Regarding survival analysis, the high anxiety group showed hastened depressive episode recurrence (p = 0.048) and suicidal ideation was the mediator of the hazard ratio (HR) 1.089 (p = 0.029) in the Cox model. Moreover, the high anxiety group showed a tendency of accelerated suicide attempt (p = 0.12) and impulsivity was the risk factor of suicide attempt (HR = 1.089, p = 0.036). Conclusions This interim analysis of prospective study suggests that high anxiety level in BD may anticipate unfavorable cours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multifactorial mechanism of anxious bipolar patients.

      • 비자의 입원에 관련된 주요 요인에 대한 입원적합성심사 위원들의 의견 분석

        이원선(Won Sun Lee),심아림(Ah Rim Sim),이원혜(Wonhye Lee),전진용(Jin Yong Jun),박동연(Dong Yeon Park),황태연(Tae-Yeon Hwa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23 사회정신의학 Vol.28 No.2

        목적 : 2016년 개정된 정신건강복지법에 따라, 정신과적 비자의 입원 적합성 심사를 위해 입원적합성심사 위원회(이하 입적심)가 2018년 6월부터 운영되었다. 입적심 제도의 검토와 보완을 위해 비자의 입원 심사 현황을 파악하고자 입적심 위원들의 심사기준, 주요 쟁점 사안 및 입적심 운영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방법 : 2020년 6월부터 7월까지 국립정신건강센터 입적심 위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총 74명의 설문지가 수거되었다. 설문지에는 비자의 입원의 적합성에 대한 주요 심사사항, 심사기준 및 위원회 운영에 관련된 내용들이 포함되었고, 세부질문으로 구성된 4개 영역의 선택형 문항과 서술형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 내용에 대한 기술적 분석에 추가하여 설문 문항에 대한 연령, 나이, 직역, 소위별 응답의 차이를 카이제곱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입원 적합성 심사 시 고려 사항의 우선순위는 ‘자·타해 위험성’(81.1%), ‘입원 필요성’(56.8%), ‘이송 강압성’(54.1%) 순이었으며, 이송 시 강압성에 대해서는 ‘신체 강박’(83.8%), ‘이송침대에 강박’(68.9%), ‘강압적 분위기’(32.4%)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항목에 대한 참여자의 사회 인구학적 인자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심사 견해에 있어서는 사회 인구학적인자와 유의미한 연관성은 두드러지지 않았으나, 알코올, 청소년 문제와 같은 특수 상황에 대한 심사에는 직군별 차이를 보였다. 아울러 위원들은 자·타해 위험성에 대한 세부 기준 및 위원별 심사 기준의 통일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 마련을 제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입적심 위원들의 심사 견해에 대한 국내 수도권 지역 자료를 확보하고 분석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입적심 운영 및 제도를 보완하고 개선한다면 공정하고 일관된 비자의 입원 심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Mental Health and Welfare Act of June 2016, the Involuntary Admission Review Committe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mmittee”) has been established since June 2018 to assess the suitability of involuntary admission of psychiatric patients. To examine and improve the committee system, this study surveyed the assessment criteria, major issues, and opinions on the operation of the committee, with a focus on the assessment of involuntary hospitalization. Methods: From June to July 2020, a survey was distributed to 74 members of the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s committee for the assessment of involuntary hospitalization. The survey consisted of multiple-choice and open-ended questions regarding the major assessment criteria, standards, and operation of the committee in relation to the suitability of involuntary admission.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s to examine differences in responses based on age, job position, and other demographic variables. Results: The prioritized considerations in assessing the suitability of involuntary admission were ‘risk for suicidality/homicidality’ (81.1%), ‘necessity of hospitalization’ (56.8%), and ‘coercive transport’ (54.1%). Regarding the use of coercion during transport, ‘physically coercion’ (83.8%), ‘restraint on a stretcher car’ (68.9%), and ‘coercive atmosphere’ (32.4%) were the most commonly considered factor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demographic variables and overall assessment opinions,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assessment of special situations such as alcohol use and adolescent issues based on job position. The committee members suggested measures to increase uniformity in assessment standards for the risk of harm to oneself or others and individual assessment standard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the domestic data on the assessment opinions of committee members for involuntary hospitaliz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expect that fair and consistent assessment of involuntary admission of psychiatric patients can be achieved through improvements and revisions in the committee system and 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