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용자의 생태하천 어메니티 평가에 따른 관리전략 수립

        이용학 ( Lee-yong Hak ),강은지 ( Kang-eun Jee ),이대균 ( Lee-dae Gyun ),김용근 ( Kim-yong Geu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도시의 발달로 인해 토지이용 증대를 목적으로 도심 내 하천은 개발의 대상으로 개조되어 왔다. 그러나 인간 편의 중심의 하천사업 추진은 재해에 대한 취약 및 수질의 악화 등다양한 문제를 야기했다. 이에 최근 도심 내 하천을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리는 하천복원사업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 경제소득과 여가시간의 증대로 여가가 삶의 중요한 관심사로 등장되면서 하천의 새로운 활용 방안으로 자연성회복과 함께 이용과의 조화를 이룬 생태하천의 조성이 하천복원사업의 방향으로 강조되고 있다. 즉, 하천 관련 사업은 훼손된 하천의 물리적 형태 및 생태적 기능의 회복과정인 동시에 시민의 옥외여가활동공간 조성이 요구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생태하천 조성사업 효과에 대해 회의적인 견해가 제기되고 있고 복원사업의 효과를 일부 선행연구에서 검토하고 있으나주로 생태적, 기술적 측면의 진단만이 이루어질 뿐 이용자 측면에서의 생태하천 기능 제공에 대한 논의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용자 측면에서 생태하천 복원사업 내용에 대한 평가를 통해 생태하천의 향후 관리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도심 내 거주지와 밀접한 하천 지류전체를 대상으로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추진 및 관리하고 있는 서울시의 4개 지류 권역, 18개소 하천을 대상으로 이용측면의 관리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최근 하천의 이용자 평가를 위한 개념으로 하천 어메니티가논의되고 있으며,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이용측면의 내용은 하천으로의 접근성, 수질 및 수량 등의 자원성, 구조물의 주변경관과의 조화, 경관 저감시설의 관리, 이용시설의 공급 등의 물리적 요소, 생태관찰교육, 환경의식 등과 관련된 이용프로그램 요소, 편의 및 휴식기회의 제공, 체육활동 기회의 제공 등의 이용서비스와 관련하여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하천 관련 사업에서 이용 측면의 하천 어메니티가 고려된 관리방안을 수립하여 이용자의 만족증진과 재원배분의 조합을 위해 5점 리커트척도로 어메니티에 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더불어 생태하천에 대한 이미지 및 기능을 비롯한 사업성과와 추구해야 할 목표 관련 인식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는 2016년 5월 14일부터 7월 30일까지 총 8회에 걸쳐 이용객의 이용이 많은 주말에 시행하였고 표본은 편의추출방법으로 선정하여 일대일 면담을 통한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유효 표본은 중랑천 권역 367부, 탄천 권역 287부, 안양천권역 150부, 홍제천 권역 136부로 총 931부를 대상으로 코딩과정을 거쳐 사회과학 통계 프로그램인 IBP SPSS Statistics 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생태하천 어메티니에 관한 IPA Matrix 분석결과, 1사분면에 위치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높은 중요도와 만족도가나타난 항목으로 자원성 요인에는 하천의 자연성 활용, 접근의 용이, 생활환경 개선, 수질개선과 수량의 안정적 확보이었고, 물리적 요소는 안정성의 확보였다. 프로그램 요소는 하천 관리를 위한 이용객 의견 수렴 프로그램이었으며, 이용서비스 측면에는 편의 및 휴식기회 제공과 체육활동기회 제공이 해당되었다. 2사분면에 위치해 집중적으로 관리 및 투자되어야 할 항목은 전무하였다. 3사분면에 위치해 낮은 중요도와 만족도를 나타나 제한적인 투자가 요구되는 항목으로는 프로그램 요소 중 환경교육 프로그램, 생태관찰교육 프로그램, 지역문화 반영 프로그램이었고 이용서비스요인은 하천생태학습 기회, 축제 및 이벤트 참여기회, 레저활동 기회였다. 4사분면에 위치해 낮은 중요도에 비해 높은 만족이 나타난 항목은 물리적 요소 중 공간의 적정계획, 주변 경관과의 조화 항목이었고, 프로그램 요소 중에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마련이었다. 종합하여 볼 때,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될 항목의 대부분이 하천의 자연성과 관련된 어메니티였으며, 제한적인 투자가 필요한 부문은 하천의 자원성, 물리적 요소, 프로그램 요소, 이용서비스 측면 등 어메니티 요인 모두에서 나타났다. 따라서 생태하천에 과도한 투자보다는 적정한 공간 및 서비스 제공이 이용자에게 생태하천 어메니티니에 대한 기대에 대한 만족이 충족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물리적인 공간규모의 설계 및 경관 등 물리적 요소 관련 어메니티에 대하여 현 상태에 대한 높은 만족이 성립되므로 과잉 투자 및 개발보다는 현 상태 유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생태하천이 추구해야 할 기능에 대한 인식분석 결과, 수질정화기능이 5점 만점 중 4.2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자연경관의 제공이 4.10, 재해로부터의 안전성 확보가 4.01로 생태하천이 추구해야 할 매우 중요한 기능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친수기능의 경우 3.81로 높은 편이지만 가장 낮은 중요도였다. 복원사업이 추구해야 할 목표에 관한 가중치 분석결과, 이용자를 위한 여가공간 및 체험프로그램 마련보다는 수질의 개선 및 유량의 확보와 자연재해의 예방 및 인공적 공간의 자연적 친화의 점수가 높았으므로 이용보다는 자연성 회복을 위한 사업의 추진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용서비스 및 프로그램 관련 어메니티에 대한 낮은 중요성 인식과 결부된다고 판단되므로, 이용자의 위락과 휴양을 위한 투자보다는 친자연적 하천조성과 적정한 이용서비스의 제공 중심의 사업추진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자연휴양림과 체험마을 연계를 위한 이용객의 선택속성 인식 연구

        이용,조영은,강은지,김용근,Lee, Yong-hak,Cho, Yeong-Eun,Kang, Eun-jee,Kim, Yong-Geun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1

        본 연구는 자연휴양림과 체험마을 이용객의 여가목적지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로 이용객의 이용행태를 파악하여 자연휴양림과 체험마을의 연계 당위성을 확인하고 여가목적지 선택을 위한 물리적 선택소성, 프로그램 선택속성, 서비스 선택속성의 인식차이와 중요도-만족도분석(IPA 분석)을 통해 연계방안을 도출하였다. 주요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휴양림은 가족단위의 이용객이 휴식 및 정서함양을 위해 방문하고 단순 산림공익적 기능을 활용한 체험프로그램 경험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체험마을은 가족, 친구 및 동료, 단체 및 동호회 등이 연중 다양한 프로그램을 경험하고 지역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방문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다변화한 국민의 여가수요 충족을 위한 자연휴양림과 체험마을의 연계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단순 휴식이 주 방문목적이었던 자연휴양림 이용객에게 체험마을과 연계 시 긍정적인 방문의향이 나타났으며 체험프로그램 참여, 자녀교육, 안전한 숙박시설 확보 등 다양한 이용이 예측되었다. 즉, 자연휴양림과 체험마을의 연계는 실질적 수요와 이용객의 수준 높은 산림휴양활동을 야기하는 대안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자연휴양림 이용객의 경우 모든 선택속성에 대하여 중요도보다 사후 만족도가 낮았으므로 전반적인 개선 필요했다. 특히, 프로그램의 다양성, 유익성, 홍보, 지역성(테마성)의 개선과 숙박 및 편의시설의 공급, 예약시스템 및 지역특산물 구입 체계 구축을 위한 노력, 운영관리인의 전문성 확보가 필요했다. 반면, 체험마을의 프로그램 선택속성의 만족도는 높았으므로 체험마을 프로그램 속성이 자연휴양림 이용활성화를 위한 주요 연계대상임을 알았다. 넷째, IPA 분석에서 이용객의 높은 기대와 만족을 주는 숙박 및 편의시설과 인근 관광지와의 적절한 연계는 유지해야 할 속성이었고 소득창출이 주요 목적인 체험마을의 목적을 달성하고 방문객의 예약시스템 및 특산품 판매기회 만족 증진을 위한 공동의 노력이 요구됐다. 이 외에 자연휴양림 이용요금 체계의 유지, 체험마을 프로그램의 다양성 및 지역성의 유지가 이용객의 여가목적지 선택유도를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 고찰되었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leisure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of persons who use recreational forests and rural tourism villages. This researcher investigated the use patterns of users to identify the ground for connection between recreational forest and rural tourism village, analyzed their recognition differences in physical selection attribute, program selection attribute, and service selection attribute in order for leisure destination selection, and conduct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analysis) to draw a plan for connection. The main results and suggestion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recreational forests were visited by family users in order for rest and emotional cultivation and provided experience programs using simple public interest function of forest, whereas rural tourism villages were visited by family users, friends and co-workers, groups and club members to experience a variety of annual programs and understand regional cultures.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connect natural forest with rural tourism village in order to meet the leisure needs of the people changed in diversified ways.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connection between rural tourism village and recreational forest visited mainly for simple rest led to positive visit intention of users. It wa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various kinds of uses, including experience program participation, child education, and safe accommodations security. 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between recreational forest and rural tourism village is an alternative to trigger actual demands and recreational forest activities with high quality. Thirdly, in the case of users of recreational forests, their performance of all selection attributes was lower than their importance of them. Therefore, overall improvements were needed. In particular, needed were the diversity, benefit, and promotion of programs, improvements in locality(themes), supply of lodges and convenient facilities, booking system, the purchase system of local special products, and professional skills of operators and managers. On contrary, the performance of program selection attribute of rural tourism village was high. Therefore, it was found that program attribute of rural tourism village was the main connection factor to activate recreational forest use. Fourthly, according to IPA analysis, the proper connections between loges, convenient facilities, and nearby touristattractions, which give high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to users, needed to remain. And it was required to make common efforts to accomplish the goal (income creation) of rural tourism village and improve booking system for visitors and performance of local special products sales opportunity. In addition, the essential factors to induce users' leisure destination selection were found to be maintenance of the use fee system of recreational forest, diversity of rural tourism village program, and retention of locality.

      • KCI등재

        유전 및 육종 :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한 육질 우수 버크셔 계통 조성에 관한 연구

        이용화 ( Yong Hwa Lee ),권슬기 ( Seul Gi Kwon ),박다혜 ( Da Hye Park ),권은정 ( Eun Jung Kwon ),조은석 ( Eun Seok Cho ),방우영 ( Woo Young Bang ),박화춘 ( Hwa Chun Park ),박범영 ( Beom Young Park ),최종순 ( Jong Soon Choi ),김철욱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1 한국축산학회지 Vol.53 No.2

        본 연구는 버크셔종의 육질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국내 돈육시장에서의 적합성을 확인하고, MS marker를 이용한 육질 우수 개체 선발의 효율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버크셔 323두를 동일 사양조건에서 사육하고 도축하여 육질형질을 분석하고, 혈액으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하여 50개의 MS marker에 대한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버크셔종은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듀록, 요크셔, 랜드레이스 종보다도 육질에 있어서 더욱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도축 24시간 후 pH 값은 평균 5.88±0.01로 대단히 높게 나타났고, 지방함량의 경우에도 2.878±0.06로 확인되었다. MS marker와의 연관성을 확인한 결과, 14개 MS marker가 육질형질과 연관성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특히 pH24hr와 지방함량에서는 가장 높은 값을 가지는 대립유전자집단이 가장 낮은 집단에 비해 최고 0.55, 2.04%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을 버크셔종의 육질 우수 개체 선발에 이용한다면 육색, 지방함량, pH24hr, 가열감량, 드립감량, 그리고 보수성에서 육질 형질값의 높은 개량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efficiency of microsatellite(MS) markers for pork quality was examined and further, their suitability to domestic pork industry also was verified, by measuring meat quality parameters of Berkshire breeds. A total of 323 pigs of Berkshire breeds were slaughtered and subjected to meat quality evaluation. In addition, the genomic DNAs from blood samples of slaughtered pigs were used for genotyping analysis of 50 MS markers. The results revealed that Berkshire breeds have excellent meat quality, compared with the popular domestic breeds such as Duroc, Yorkshire, and Landrace. Noticeably, the Berkshire breeds exhibited a significant post-mortem pH24hr(5.88±0.01) and fat content(2.878±0.06). Through the linkage analysis between MS markers, 14 MS markers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meat quality traits(p<0.05). Maximum significant differences of 0.55 pH24hr value and 2.04% fat content were observed between the highest and lowest allele populations. If these 14 MS markers are applied to the pork quality diagnosis kit, the synergistic effect can be expected in meat quality parameters such as meat color, fat content, pH 24 hr, cooking loss, drip loss and water-holding capacity.

      • SCOPUSKCI등재

        HPLC 및 ESI-tandom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인터넷에서 판매되는 기능성표방식품 중 부정유해물질 모니터링

        이용철(Yong-Cheol Lee),김복순(Bog-Soon Kim),윤은선(Eun-Sun Yun),김성단(Sung-Dan Kim),장민수(Min-Su Chang),박영애(Young-Ae Park),신영(Young Shin),정선옥(Sun-Ok Jung),이재인(Jae-In Lee),채영주(Young-Zoo Chae) 한국식품과학회 201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4 No.2

        인터넷에서 판매되는 건강기능성표방식품 51개를 구매하여 발기부전치료제 5종과 그 유사물질 29종, 이카린, 요힘빈, 시부트라민 그리고 시부트라민 유사물질인 데스메틸시부트라민, 디데스메틸시부트라민 총 39종의 부정유해물질을 3개의 혼합표준용액으로 만든 후 HPLC를 이용하여 총 50분 동안 이동상 용액 A(5mM sodium hexanesulfonate와 0.1% phosphoric acid을 함유한 물), B(95% acetonitrile) 두 가지를 기울기 용매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검출된 화합물의 확인을 위하여 LC-ESI-tandom MS의 MRM 조건을 최적화하고 정성분석 한 결과 1개의 홍삼제품과 영양보충용제품 2건에서 실데나필과 슈도바데나필, 디메틸티오실데나필 성분이 1회 복용량당 1.3-82.1 mg 검출되었으며, 2개의 기타가공품에서 부작용이 우려되어 사용이 금지된 시부트라민의 유사물질인 디데스메틸시부트라민이 각각 1회 복용량 당 2.2, 1.7 mg이 검출되었다. 시중에 판매되는 비아그라의 실데나필 1회 최소복용량은 25 mg으로 시료에서의 검출량은 이보다 높은 수준으로 함유되었으며, 의사의 처방 없이 식품 중에 불법적으로 함유된 이들 물질 혹은 이들의 유사물질은 소비자들의 건강상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시중에 유통되는, 더욱이 온라인 상에서 음성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건강관련식품에 대한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It was carried out to detect anti-impotence drug-like compounds, sibutramine and their analogues in dietary supplements, which are doubtful whether they include illegal compounds. A total of 51 food products were bought online and have been investigated. The separation was achieved on a C18 column, with the mobile phase made up of water (5 mM sodium hexanesulfonate and 0.1% phosphoric acid) and 95% acetonitrile, at a flow rate of 1.2 mL/min with gradient elution using by HPLC-DAD. The UV signals were monitored at 220 nm and 291 nm. LC-ESI-tandom MS was utilized to confirm that detected compounds in samples are the same as the reference materials. Two nutrient supplement foods and ginseng products were found to contain 1.3-82.1 mg of sildenafil, dimethylthiolsildenafil and pseudovardenafil per serving size. In addition, two other processed products were detected to contain 1.7 and 2.2 mg of didesmethylsibutramine, derived from sibutramine per serving size.

      • 연속된 와이어를 이용한 다층 PCM 의 제조방법 및 특성 평가

        이용현(Yong-Hyun Lee),최지은(Ji-Eun Choi),강기주(Ki-Ju Kang) 대한기계학회 2006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6 No.6

        Truss PCMs(Periodic Cellular Metals) have been studied since the new millennium because of their superior specific stiffness, strength and potential of multi functions. Prior studies have focused on manufacturing method and structural optimization. Especially, special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Kagome truss PCM because Kagome truss PCM has higher resistance to plastic buckling, more plastic deformation energy and lower anisotropy than other truss PCMs. In this study, we introduce a new idea to fabricate multilayered Kagome truss PCM from continuous wires which can gain high strength as in piano wires and can be controlled to be defect free owing to drawing process. The relative density and the bending & compression stiffness and strength is estimated through elementary mechanics and compared with experiments and FEA. The failure mechanisms are analyzed, and also mechanical performance and production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