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아 의사소통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언어행동 및 언어 수반성과 영아 어휘력 간의 관계

        이영신 ( Lee Youngshin ),김명순 ( Kim Myoung Soo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10~18개월 영아의 의사소통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언어행동 및 언어 수반성의 경향과 어휘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10~18개월 영아와 어머니 86쌍이었다. 어머니의 언어행동은 Masur, Flynn과 Lloyd(2013)의 분석기준에 따르되 기능에 따른 분류를 보완하였다. 어머니 언어 수반성은 선행하는 영아의 의사소통행동에 대해 후행하는 어머니의 지지적 언어에 대한 Yule’s Q 지수를 근거로 분석하였다. 영아의 어휘력은 MCDI-K(The MacArthur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Kore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코딩은 The Observer XT 13.0를 사용하였으며, 분석은 SPSS 23.0을 사용하여 일원변량분석, 상관계수 및 부분상관계수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 의사소통에 대한 어머니의 언어행동은 영아의 월령 집단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영아의 월령이 낮은 집단의 어머니가 지지적 언어를 가장 많이, 오래 사용하였다. 둘째, 영아 의사소통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언어 수반성은 영아 월령 집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영아의 월령 집단에 따라 어머니의 언어행동과 영아의 어휘력과의 관계는 다르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아의 월령통제 시 어머니의 언어 수반성은 영아 어휘력과 다소 약한 상관이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영아의 의사소통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언어행동 및 언어 수반성의 중요성을 밝히고, 부모교육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verbal behavior and contingency on infant communication behavior and vocabulary. The subjects were 86 pairs of 10~18 months infants and their mothers. Mother's verbal behavior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The contingency of mother's verbal response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Yule's Q index. Interactions were recorded using The Observer XT 13.0, and analyzed by calculating correlation coefficien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23.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verbal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e group.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ingency of mother's verbal behaviors according to the age group.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verbal behaviors and infant vocabulary varied according to the age group. Fourth, when the infant's age was controlled, the mothers' verbal responses were partially related to infant’s vocabulary. The contingency of mothers' verbal response to the infant's communicative gaze and uttera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infant’s vocabulary skills. In conclusion, the infant communication behaviors and the mother's verbal behaviors vary according to the age of infa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verbal behaviors and the infant vocabulary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e group, and the contingency of the mother’s verbal response was related to the infant's vocabulary regardless of the infant's age.

      • KCI등재

        간호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

        이영신 ( Youngshin Lee ),최성희 ( Sunghee Choi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자 진행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C도에 소재한 F대 간호학과 재학생 3학년과 4학년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문화적 역량, 임상적 의사결정능력, 정서지능, 마키아벨리즘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t-검정, ANOVA,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적 역량은 임상적 의사결정능력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에서 학년과 의사결정능력이 간호학생의 문화적 역량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들의 설명력은 14%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110 students in grades 3 and 4 from the Department of Nursing at F University in C province.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Caffrey Cultural Competence in Healthcare Scale and 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in Nursing Scale, Emotional Intelligence and Mark IV.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Cultural Compete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linical decision- making.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ultural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clinical decision-making and grade and it was account for 14% of the total vari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se influencing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the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KCI등재

        혈액암환자 배우자의 돌봄 경험

        이영신(Lee, Youngshin),탁영란(Tak, Youngran) 대한종양간호학회 2016 Asian Oncology Nursing Vol.16 No.1

        Purpose: This study was to explore experiences of spouse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patients. The main question was “What are experiences of spouses whose husband or wife was diagnosed with hematologic malignancy?”. Method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2 spous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unstructured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from Feb, 2014 to June, 2015 and analyzed using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methodology. Results: A core category was ‘Finding a way to get out of the endless tunnel’. The process is 1) Shock, 2) Confusion, 3) Struggle, 4) Living with the disease, 5) Maturation within the disease.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Responsibility for patient’, ‘Fear of spouseless future’.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Having support’, ‘Having closer marital relationship’, Keeping patient’s disease repressed. Finally, Participants reached ‘Circling around the disease’, ‘Finding personal growth’.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help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spouses of hematologic malignancy patients. The emerged process of their experiences gives a framework to develop strategies to help spouses to overcome disease.

      • KCI등재

        영아 교사 상호작용 역량의 중요도 - 실행도 및 교육요구 분석

        이영신 ( Lee Youngshin ),김지연 ( Kim Jiyeo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3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차이를 분석하고,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을 심도 있게 분석함으로써 영아 교사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어린이집 교사 185명이며, 어린이집 유관기관 및 커뮤니티 등을 모집하였다. 또한 설문분석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위하여 저경력 교사4명, 고경력 교사 6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설문분석은 t 검증,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LFF) 모델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Borich 요구도와 LFF 모델에 공통으로 속하는 상호작용 내용에서 최우선 순위 역량은 정서지지2(영아의 정서적 상태나 기분을 따뜻하고 자연스러운 말로 표현하며 민감하게 반응한다) 등 9개 역량이 도출되었다. 또한 FGI를 통해 저경력 교사들은 정서적 단서 찾기, 개별적 공감과 훈육의 경계설정 및 교수지원에 대한 자신감과 낮은 인식을 나타내었으며, 고경력 교사들은 상충하는 정서를 마주하기, 한계의 설정과 기다림 및 영아 놀이에서의 심화와 영아주도 간의 혼란을 느끼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아 교사 상호작용의 증진을 위한 교육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며, 추후 교사교육 콘텐츠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s of infant-teacher interaction support among daycare center teachers to provide information on prioritized competencies and to identify interaction training needs for teachers. The study population was 185 daycare teachers,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daycare organizations and communities. The analysis methods were t-test, Borich needs, and The Locus for Focus (LFF) model. In addition, an FGI was conducted with 10 daycare teachers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analyzed through the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e study, nine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from the interaction content common to the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FF model, including the top priority competency of emotional support2 (responding to infants' emotional states and moods with warmth, natural language, and sensitivity). The FGI also revealed that less experienced teachers were less confident and less aware of looking for emotional cues, setting boundaries for individualized empathy and discipline, and teaching support, while more experienced teachers were more confused about facing conflicting emotions, setting limits and waiting, and deepening in infant play versus leading infants. These findings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nd understanding the support needs of daycare teachers in their interactions with infants, and are expected to lead to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content based on these findings.

      • KCI등재후보

        타로(Tarot) 콘텐츠 개발에 활용 가능한 소비자 조사 연구 : 20·30대 소비자 중심으로

        이영신 ( Youngshin Lee ),윤수인 ( Suin Yoon ) 서경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9 디자인 이노베이션 연구 Vol.4 No.0

        본 연구는 타로카드를 이용하는 20·30대 소비자층의 데모그래픽스, 사이코그래픽스를 설문조사를 통해 타로 경험자와 비경험자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이론 고찰을 통해 타로카드의 특징과 개념, 소비자 조사 방법을 수집하고 이를 통해 설문지를 설계하였다. 설계한 설문지는 2019년 11월 26일부터 2019년 12월 01일까지 20·30대 남성과 여성, 95명에게 설문 되었다. 조사된 자료는 요인분석을 통해 ‘활동중시형’, ‘관심중시형’, ‘의견중시형’ 세 가지로 분류되었다. 이후 타로 경험자와 비경험자로 집단을 나누고 T-Test를 통해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의견중시형’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험자의 성별은 여성이 61.1%로 남성보다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고, 반대로 남성의 경우 75.6%가 비경험자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타로 콘텐츠를 기획할 때 남성보다 여성에 초점을 맞추어 전략을 제시하면 좋을 것이다. 본 연구는 20·30대에 한정된 100개 미만의 표본 수를 조사했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현재의 타로 콘텐츠는 디지털 문명을 통해 소비자들이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이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결과가 다양한 타로 콘텐츠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고, 좀 더 풍부한 표본을 기반으로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consumers by surveying the demographics and mental retardation of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using tarot card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features, concepts, and methods of consumer research of tarot cards were collected and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The designed questionnaire was surveyed by 95 men, women and men in their 20s and 30s from Nov. 26, 2019 to Dec. 1, 2019. An Analysis of the 'Activity of type', 'of type of interest' surveyed data, classified into three 'opinion of type'. Afterwards, the group was divided into tarot and non-experienced people and the difference was analyzed through T-Test. Analysis shows that 'opinion type' is significant. Women accounted for 61.1% of the experienced, compared with 75.6% of the non-experienced in men. Therefore, when planning tarot content, it would be good to present a strategy focusing on women rather than men. It was regrettable that this study examined the number of samples less than 100 limited to those in their 20s and 30s. Current tarot content is an environment that is more accessible to consumers through digital civilization. Therefore, in subsequent studies, we hope that the results will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tarot content, and more abundant sample-based research will have to be done.

      • KCI등재

        삽교호의 오염물질 유달률 산정 조사 및 평가연구

        이영신(Youngshin Lee),신상희(Sanghee Shin),이태호(Taeho Lee)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4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삽교호 지역을 대상으로 오염물질에 따른 구역별 유달률을 산정하고 오염물질 부하량에 따른 유달특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삽교호 주변의 주요하천은 남원천, 도고천, 삽교천, 무한천, 곡교천이고 5개 주요하천의 강우 시 유달률과 그 특성을 조사되었다. 그 결과 삽교호 조사 유역 전체의 유달률 BOD는 0.40, 총질소(T-N)는 0.34, 총인(T-P)은 0.08이었고 T-P의 유달률은 다른 수질항목에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낮게 조사되었다. 또한 유역 전반의 특성을 살펴보면 T-N과 T-P의 유달률은 연중 변화가 거의 없었다. T-N의 유달률은 갈수기 때에 0.2∼0.3이었고 홍수기 때에는 0.31∼0.39였다. T-P의 유달률은 갈수기에 0.3 이상, 홍수기 때에 0.11의 값을 나타내는데 이는 연평균 유달률인 0.08과 비슷한 값이다. 본 조사에서 계측한 각각의 유달률은 토지이용과 지형 특성이 유사한 지역의 유달률처럼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liver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load of pollutants by calculating the delivery rate of targeted areas on pollutants in Sapkyo reservoir. The main rivers of Sapkyo reservoir are Namwoncheon, Dogocheon, Sapkyocheon, Muhancheon and Gokgyocheon. The delivery rate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five major rivers during rainfall season are investigated. As th result,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ous (T-P) of total delivery rate are calculated by 0.40, 0.34 and 0.08, respectively. The delivery rate of T-P compares to other water quality is investigated relatively low. Looked at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watershed, the delivery rate of T-N and T-P is little change in the rate of the year, too. The delivery rate of T-N is calculated from 0.2 to 0.3 in the dry season, and from 0.31 to 0.39 in a flood, respectively. The delivery rate of T-P is calculated to more than 0.3 in the dry season, and 0.11 in a flood. It is similar values which the average annual delivery rate of T-P is 0.08. Therefore, the measured delivery rate of Sapkyo reservoir can be applicable such as a delivery rate of similar features of the terrain and land use.

      • KCI등재

        미디어 이용시간 및 부모의 상호작용에 따른 아동의 어휘력 차이 - 군집유형별 분석을 중심으로

        이영신 ( Lee Youngshin ),이지현 ( Lee Jihyon ),김지연 ( Kim Jiyeo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미디어 이용시간 및 부모 상호작용과 아동의 어휘력 간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미디어 이용시간과 부모 상호작용의 군집별로 아동의 어휘력의 차이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아동패널 8차년도(2015) 자료의 아동과 어머니 1,598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의 미디어 이용의 평균시간, ECLS-K의 부모 상호작용 관련 문항을, 아동의 어휘력은 REVT를 사용하였다. 분석은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군집분석 및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아동은 일평균 2.43시간 부모의 상호작용을 경험했으며, 미디어는 일평균 1.86시간 이용하였다. 아동의 미디어 이용시간은 출생순위 및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높았다. 둘째, 미디어 이용시간이 늘어날수록 아동의 어휘력은 낮았다. 셋째, 미디어 이용시간과 부모의 상호작용의 군집별 아동의 어휘력에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이용시간이 적고, 부모 상호작용 수준이 높은 아동의 어휘력 점수가 가장 높았다. 또한, 미디어 이용시간이 많은 집단에서는 부모의 상호작용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이해어휘력 점수가 높았다. 이는 미디어 이용시간이 유사한 경우, 부모의 상호작용 수준에 따라 아동의 어휘력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hildren's vocabulary ability according to their media use and parent-child interaction. The data were derived from the research statistics on 1,598 mothers with 7-year-old child in 8th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by KICCE in 2015.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ANCOVA. The results shows that the children experienced 2.43 hours of interaction with their parents and spent 1.86 hours on media per day. Second, the children's vocabulary ability was significantly low as their media usage time increased. Third, the children with low media usage time and the high level of parent-child interaction showed the highest level of vocabulary ability. In addition, when children’s media usage time is similar, their vocabulary scores vary according to their parent-child interaction levels. In conclusion, although children may spend a great deal of time on media, their vocabulary ability might improve to some extent by the high quality interaction with their parents.

      • 마하수 변화에 따른 ONERA M6 날개의 공력특성 연구

        Yu Xu,이영신(Youngshin Lee) 대한기계학회 201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3 No.12

        Transonic state in compressible flows depends on the geometry, Mach number and the incidence. The supersonic region of the flow is terminated by a shock wave, allowing the flow to slow down to subsonic speeds. Transonic flow occurs a transition state from subsonic to supersonic local flow in the same flowfield under Mach number from M=0.8 to 1.2. As the Mach number increases, shock waves appear in the flowfield. The transonic aerodynamics characteristics on Onrea M6 Wing is studied by using ANSYS CFX in transonic region. For the results, As the speed increase the shock waves get stronger. The shock waves lead to a rapid increase in drag.

      • 세라믹 원판의 충격파괴 시뮬레이션

        권순국(Sunguk Kwon),이영신(Youngshin Lee),김재훈(Jaehoon Kim),이정희(Junghee Lee),공정표(Jeongpyo Kong),윤수진(Sujin Youn) 대한기계학회 200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8 No.5

        In the air breathing engine, the intake air duct is blocked up from the solid propellant booster by the port cover during its speed reach Mach 0 to around 2.0. The inlet cover is removed and the port cover is broken to pieces by detonator or the impact of inlet air pressure when the air breathing vehicle reach to Mach 2.0. The dome port cover plate must stand the pressure of combustion chamber and easy to break from the RAM pressure. In that situation, ceramic is the most applicable material for dome port plate. In this study, the simulation on the impact fracture of the ceramic circular plate with the variable parameters(boundary conditions, elements, thickness) was conducted by the finite element method.

      • KCI등재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중재의 매개효과

        윤보람 ( Boram Yoon ),이영신 ( Youngshin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6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중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대구에 위치한 유치원,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123명과 그들의 어머니 1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측정 변인들의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고,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매개효과검증을 위해 회귀분석 및 Sobel test를 통한 매개변인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중재,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은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비판적 리터러시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중재유형 중 교육적 중재, 제한적 중재, 적극적 중재는 완전매개효과를 가졌다. 결론적으로 어머니가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는 역량인 비판적 리터러시는 어머니의 교육적. 제한적, 적극적 미디어 중재를 통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이상의 결과는 스마트미디어 시대에 유아를 위한 건강한 스마트미디어 이용 방침 마련 및 부모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s of mothers' smart media mediation upon the influence of their media literacy on their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The subjects included 123 five-year-olds children and their 123 mothers from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Incheon and Daegu.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The mediating effect test proposed by Baron and Kenny(1986) was performed to test if mothers' smart media mediation would play a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their media literacy and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Nest, the sobel test was employed to examine mediating variables for their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edia literacy, smart media mediation, and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Second, the mediated effects of mothers' smart media mediation showed that their instructive, restrictive, and active mediation had full mediating effects upon the influence of critical literacy on their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In conclusion, mothers' critical literacy their capabilities of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media critically had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through their instructive, restrictive, and active media mediation. These findings imply a need to develop a set of policies for young children's healthy smart media use and a group of media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in the era of smart media, providing basic data for such policies and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