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암환자와 배우자의 부부적응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이영선 ( Rhee Young Sun ),이인정 ( Lee In Jeo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1

        생존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는 암은 환자와 배우자의 부부적응에 까지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암환자의 적응 및 삶의 질, 나아가 결혼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기에 암환자 부부의 부부적응을 도모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암환자의 부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파악하여 암환자 부부를 돕는 심리사회적 서비스 및 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함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토대로 정서조절곤란이 부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모형을 구성하였고 암환자 부부 159쌍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부부관계의 상호의존성과 상호역동성을 고려하여 커플자료 분석방법인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을 구성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측정모형 이 χ<sub>2</sub>(df/P)=121.671(64/.000), TLI=.923, CFI=.946, RMSEA=.076, 구조모형은 χ <sub>2</sub>(df/P)=296.004(152/.000), TLI=.876, CFI=.916, RMSEA=.077로 수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자와 배우자 모두 정서조절곤란이 자신의 부부적응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자의 정서조절곤란은 배우자의 부부적응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환자의 상대방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의 성별에 따른 집단을 구성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녀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며 본 연구모형은 남녀집단 모두에게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암환자 부부가 암으로 인한 충격과 심리적 고통에 대해 자신의 정서를 수용하고 명확하게 인식하여 이를 적절한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정서조절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마련할 필요성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다기관 연구를 통한 보다 많은 표본을 확보하는 것과 종단연구 및 질적 연구 등 다각적 연구 방법을 통한 심도 깊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Cancer is a disease that may pose a serious threat to life and it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marital adjustment in cancer patients and their spouses. Bad state of marital adjustment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cancer patient`s attempts on adjusting to life and to the quality of life. Moreover, it can also harm the stability of marriage.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help the couple adjust to canc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gure out the factors that can affect the marital adjustment of cancer patient couples. This research has verified the effects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has on marital adjustment which had been known to be a crucial point in personal mental health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nsidering the interdependence of cancer patient and his or her spouse, information from 159 couples were collected and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was used for analysis. Through the result of the research, it has been found out that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has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each of the couples in marital relationship. Cancer patient`s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is found out to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spouse`s marital adjustment. Based on this result, conclusion had been reached that emotional adjustment program and services in order to help the cancer patient`s spouses express the anguish and shock they have felt when the spouse fell ill with cancer by accepting one`s own emotion and recognize what they are going through. It had been concluded that clinically psychosocial support program and service needs to be in a form of counseling in pairs because couples do affect each other in marriage.

      • KCI등재

        사회복지학 및 간호학 전공 대학생의 에이즈 감염인에 대한 인식, 지식, 편견 및 사회적 거리감

        이영선(Young-Sun Rh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0

        본 연구는 향후 사회적 취약계층을 돕는 전문직을 양성하는 분야인 사회복지학과 간호학 전공 대학생의 에이즈에 대한 인식, 지식, 에이즈 감염인 및 사회적 소수인에 대한 편견, 에이즈 감염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탐색하고, 사회적 거리감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64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첫째, 에이즈 감염인에 대한 인식은 성과 관련된 단어를 떠올리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둘째, 에이즈에 대한 지식의 경우, 예방과 관련된 문항, 감염경로에 대한 일부 문항은 전체적으로 지식이 높은 대상자라 하더라도 오답인 경우가 많았다. 셋째, 사회적 소수인에 대한 편견 및 에이즈 감염인에 대한 편견은 각각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에이즈 감염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에이즈 감염인에 대한 편견만 최종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인으로 남았다. 최종모델의 설명력은39%였다. 본 연구결과가 대학생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erceptions,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AIDS, and to analyze factors associated with social distance for people living with AIDS. Data was analyzed for 645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ork and nursing. The results show that AIDS was most frequently associated with the word sex. Secondly, participant knowledge about AIDS revealed common errors in the prevention and process of infection. Third, correlation between prejudice toward people living with AIDS and social minorit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mong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distance for people living with AIDS, only the prejudice toward people living with AIDS rem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 Square of the entire model was adjusted to 0.390.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influence college educ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 KCI등재
      • KCI등재

        전통문화가치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생활문화(한복, 한식, 한옥)를 중심으로 -

        이영선 ( Young Sun Rhee ),황복희 ( Bok Hee Hwa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7 한국디자인포럼 Vol.54 No.-

        연구배경 본 연구는 한국인들의 전통문화에 대한 가치인식을 이론적 배경을 포함하여 체계적이고 심층적으로 조사·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전통문화 가치인식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가치인식 구조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목적을 위해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질적연구는 심층면접을 통해 전통문화가치의 핵심어휘를 추출하고 소비자의 전통문화가치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양적연구는 질적연구 결과를 토대로 설문조사·분석을 통해 소비자의 전통문화가치 인식의 하위차원을 실증적으로 규명했다. 연구결과 질적연구 결과에서 전통문화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의 개념 구조는 미적가치, 정신적가치, 사회적가치, 역사적 가치, 상징적 가치, 문화콘텐츠 가치, 웰빙/로하스가치의 7가지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소비자의 전통문화가치 인식의 하위차원을 실증적으로 규명한 결과 전통문화 가치인식은 정서적/미적가치, 사회적 가치, 역사적 가치, 상징적 가치, 도구적 가치 등 5가지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실증적 연구결과, 전통문화 가치인식은 전문가집단의 견해와 차이를 보이는데 전통문화 자체의 중요성보다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제고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전통문화가치인식 측정도구는 전통문화가치인식에 따라 전통문화상품 소비행동에 대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으며, 한류의 지속적인 확산을 위하여 문화정책의 새로운 틀 전환에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This paper investigated what kind of value modern Korean had perceived and also identified the relation between the value recognition and consumption behaviors of the products. Methods To achieve these goal, an academically systematic study for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indicated in the consuming pattern of the products was required. Therefore, the research on it was preceded by the experts of related fields, and the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 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by them. And the quantitative study carried out in the result of qualitative research. Result First of all, consumers` concept structure of the value recognition were shown as 7 values like aesthetic, psychological, societal, historical, symbolic, culture contents, and wellbeing/LOHAS one in the result of qualitative study. It could be an important and basic data research to identify the lower dimension of consumers` recognition to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Next, according to the empirically identified result, the lower dimension of their value recognition were divided into 5 factors such as emotional/aesthetic, societal, historical, symbolic, and instrumental one. Conclusion Traditional culture value perception measurement tool can be a basic data on consumption behavior of traditional 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traditional cultural values and can be useful information for the new frame of cultural policy for continuous diffusion of Hallyu.

      • KCI등재
      • KCI등재

        상담전문가의 자살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

        이영선 ( Young Sun Rhee ),김수연 ( Su Yeon Kim ),김지홍 ( Ji Hong Kim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20 주관성연구 Vol.- No.52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살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주관적 인식유형과 그 특성을 분석했다. Q 분류는 2020년 7월 20일부터 30일까지 11일 동안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4개의 요인을 도출했다. 제1유형(충동적인 행동)은 자살을 ‘충동적인 행동’의 결과로 인식하는 유형으로 자살은 개인의 권리가 아니며, 사회에 공적 책임이 있는 것으로 이해했다. 제2유형(개인의 힘듦)은 자살을 ‘개인의 힘듦’ 결과로 인식하면서 자살은 주변인의 도움으로 예방 가능한데 특히 전문가의 적극적인 상담과 관리로 자살을 예방할 수 있다고 평가하는 유형이다. 제3유형(주변인의 무관심)은 자살을 ‘주변인의 무관심’으로 인식하는 유형으로 가족 및 주변인들의 도움에 의해서 자살에 대한 유혹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 보았다. 제4유형(의지의 나약함)은 자살을 ‘의지의 나약함’으로 인식하는 유형으로 개인의 의지가 자살극복의 주요 요인임을 강조했다. 향후 자살예방 및 자살생존자 상담을 위한 효율적인 상담자의 전략에 관한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applied the Q methodology to analyze the subjective perception type of counselors about suicide. Q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for 11 days from July 20, 2020. As a result of analysis, four factors were derived. The first type (impulsive behavior) is one that perceives suicide as a result of ‘impulsive behavior’. They understood that suicide was not an individual right, but a public responsibility to society. The second type (individual hardship) recognized suicide as a result of ‘individual hardship’. They believe that suicide can be prevented with the help of neighbors, and active counseling and management by experts are especially important. The third type (the indifference of the neighbors) recognized suicide as ‘the indifference of the neighbors’. They thought people could overcome suicidal thoughts with the help of their families and neighbors. The fourth type (weakness of will) is a type that recognizes suicide as ‘weakness of will’, emphasizing that individual will is the main factor in overcoming death.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on effective counselor strategies for suicide prevent.

      • KCI등재

        유방암 환자의 진단 및 치료 지연에 관한 연구

        이영선 ( Rhee Young Sun ),한인영 ( Han In Young ),임정원 ( Lim Jung Won ),강방글 ( Kang Bang Geul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保健社會硏究 Vol.32 No.4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진단 및 치료 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진단 및 치료 지연의 장애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암 예방 및 개입 방안에 새로운 틀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진단 및 치료 지연에 현황 및 원인을 분석하고 인구사회학적, 의학적 요인, 유방암 진단 및 치료 지연 인식 여부, 그리고 사회적 지지체계 등이 진단 및 치료 지연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287명의 성인 여성으로, 서울·경기 지역의 8곳, 지방 1곳의 종합병원을 택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분석 결과, 환자들이 유방 이상 징후를 경험한 이후 유방암 진단을 받기까지의 평균 기간은 약 2.8개월(SD : 8.4), 유방암 진단을 받은 후 치료 기간까지 걸린 평균 기간은 약 2.4개월(SD : 9.7)로, 진단 및 치료지연 모두 경제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이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동안 지연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경우 사회적 지지가 평균보다 낮은 환자는 진단 지연이 더 긴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치료지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진단지연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진단 지연 인식 여부였으며, 치료 지연은 정서 정보적 지지가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들의 진단 및 치료지연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연구함으로써 향후 유방암 환자의 진단 및 치료지연의 장애요인을 예방하고 개입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identification of barriers to diagnostic and therapeutic delays for breast cancer patients can provide a new framework for cancer prevention and control. This study aims to 1) explore current status and causes of diagnostic and therapeutic delays, and 2) investigate how sociodemographic and medical characteristics, perception of delays, and social support influence diagnostic and therapeutic delays for Korean breast cancer patients. A total of 287 adult women were recruited from nine hosptials in Korea. Results indicated that the mean time taken from the discovery of an abnormality to obtaining medical care(diagnositic delay) was 2.8 months (SD=8.4), and the mean time taken from obtaining a diagnosis to cancer treatment (therapeutic delay) was 2.4 months (SD=9.7). Patients with financial difficulties were more likely to report diagnostic and therapeutic delays. In terms of social support, the low social support group was more likely than the high social support group to delay in obtaining medical care; however, the therapeutic dela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level of social suppor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diagnostic delay was perception of diagnositic delay, while emotional and information suppor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therapeutic delay.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reducing barriers to diagnostic and therapeutic delays for breast cancer patients.

      • KCI등재

        응급구조원, 지하철 승무원, 아동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의 대리 외상과 외상 후 성장

        이영선 ( Young Sun Rhee ),이소래 ( So Rae Lee ),주성아 ( Sung A Joo ),고영빈 ( Young Bin Ko ),김예진 ( Ye Jin Kim ),한인영 ( In Young Ha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2 사회복지연구 Vol.43 No.1

        본 연구는 응급구조원, 사상 사고를 경험한 지하철승무원, 아동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직종, 심리적 고통, 대리 외상,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상 후 성장을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 결과 첫째, 대리 외상은 세 집단 모두 위험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고 특히 지하철승무원의 대리 외상이 높았으며, 외상 후 성장은 사회복지사가 가장 높고 지하철승무원이 가장 낮았다. 둘째, 대리 외상과 외상 후 성장은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침습과 회피의 하위항목이 외상 후 성장과 상관관계가 높았다. 셋째,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종, 침습, 회피, 종교, 성별의 순서로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대리 외상 위험 직종에 대한 정신건강서비스 제공과 외상 후 성장의 치료적 적용을 제언하였다. Certain professionals face repeated exposure to traumatic events throughout their career. Although typically linked to pathological outcomes, research has identified sustained positive benefits and posttraumatic growth (PTG) as consistent posttrauma outcomes in occupational exposed to traum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occupation, subjective psychological distress to a traumatic event,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ith posttraumatic growth in emergency workers (firefighters, rescue, and ambulance personnel), subway operators, and child protective service workers. The study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ll three groups are risk groups of PTSD, especially, subway operators demonstrated the highest degree. Child protective service workers demonstrated the highest degree of PTG and emergency workers and subway operators followed respectively. Second, vicarious trauma and PTG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in particular, invasion and avoidance were more highly correlated. Third,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occupation, invasion, avoidance, religion, and sex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TG. Discussion addresses the need to serve mental health service and to apply concept of PTG for occupations exposed to traum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