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식품 중 잔류농약 관리를 위한 PLS 제도의 적정 도입

        이영득 ( Young Deuk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18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8 No.-

        농산물 중 잔류농약의 안전한 관리를 위하여 농약 허용물질목록 관리제도 이른바 PLS(positive list system) 제도가 2019년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러한 PLS에서는 국내에 등록되었거나 잔류를 허용하는 농약에 대해서는 적정한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나, 잔류허용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비등록 또는 허가되지 않은 농약의 잔류에 대하여 일률기준으로 0.01mg/kg의 잔류허용기준을 적용한다. 이러한 일률기준은 국내에서의 농약 오용이나 수입 농산물 중국내에서 허가되지 않은 농약을 사용하였을 경우 통상적으로 그 수치를 넘어서게 되어 불법 판정을 받게 되는 엄격한 기준이이다. 따라서 국내에서는 농약의 적법 사용을 의무화하며, 농산물 수출국에 대해서는 사용 농약의 적법성 및 잔류허용기준의 과학적 근거에 대한 국내 허가 의무를 강제하게 된다. 이러한 PLS 제도는 농산물 수입국인 대한민국의 경우 전세계 불특정 다수의 농약 잔류에 따른 수입 농산물 중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도입되어야 하며, 농산물을 수입하고 있는 선진국에서는 이미 일반화되어 있는 제도이다. 즉, 기존의 negative list system 제도 하에서는 국내에 등록되어 있는 농약에 대해서만 주로 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비등록 농약이 사용되고 그 잔류수준이 높다하더라도 허용기준 자체가 없어 법적 규제를 할 수 없었다. PLS 제도하에서는 이러한 허가되지 않은 농약 사용 자체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농산물의 안전성이 보다 확실히 확보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PLS 제도가 원활히 시행되기 위해서는 국내 에서의 관행적 농약 사용에 대한 개선 사항, 수입 및 국내 농산물에 대한 감시 시스템 구축, 농산물 수출국에 대한 import tolerance 허용 제도의 적극적 활용, 국내 식품 산업에서 농산물 원자재에 대하 잔류 관리 등 제반 사항이 선결적 혹은 병행으로 보완되어야 한다. 본 발표에서는 PLS 체계의 기본 개념, 적용 원칙 및 실제적 시행에 대한 주요 중점 사항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제안, 설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수도체(水稻體) 및 담수토양중(湛水土壤中) $^{14}C$-Carbofuran의 행적(行跡)에 관한 연구(硏究)

        이영득,이경휘,박창규,Lee, Young-Deuk,Lee, Kyung-Hwi,Park, Chang-Kyu 한국환경농학회 1987 한국환경농학회지 Vol.6 No.1

        수도체(水稻體) 및 담수토양중(湛水土壤中) carbofuran의 행적(行跡)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토양표면(土壤表面)에 $3-^{14}C-carbofuran$을 처리(處理)하고 시기별(時期別)로 수도체(水稻體)로의 흡수(吸收), 이행(移行) 및 대사양상(代謝樣相)을 조사(調査)하였다. 토양표면(土壤表面)에 처리(處理)한 carbofuran은 근부(根部)를 통(通)하여 수도체내(水稻體內)로 신속히 흡수(吸收), 이행(移行)되었으며 처리(處理) 후(後) 2일이내(以內)에 엽선단(葉先端)에 도달하고 축적(蓄積)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약제처리(藥劑處理) 20日 후(後) 수도체(水稻體)로 흡수(吸收)된 방사능(放射能) 총(總) 처리방사능(處理放射能)20%이상(以上)었다. 수도체중(水稻體中)arbofuran의 주요(主要) 대사산물(代謝産物)은 3-hydroxycarbofuran이었고, 3-ketocarbofuran 및 3종(種)의 phenol성(性) 대사물(代謝物)이 검출(檢出)되었다. 수용성(水溶性) conjugates의 대부분(大部分)은 glycoside결합형태(結合形態)이었으며 주요 aglycon은 3-hydroxycarbofuran이었다. 토양중(土壤中) 방사능(放射能)은 처리(處理) 3日 후(後)까지는 빠른 속도(速度)로 감소(減少)하였으나 그 이후(以後) 거의 일정(一定)한 수준(水準)을 보였다. 비추출성(非抽出性) 방사능(放射能)은 시간(時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증가(增加), 처리(處理) 20일(日) 후(後) 총(總) 처리(處理) 방사능(放射能)의 50%이상(以上)을 차지하였으며 유기물(有機物) 분획별(分劃別) 분포(分布)는 humin>fulvic acid>humic acid 순(順)이었다. B두캐력무 ring의 개열반응(開裂反應)에 의한 $^{14}CO_2$방출(放出)은 처리(處理) 후(後) 20일(日)까지 1.8%로 미미한 수준(水準)을 나타내었다. A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absorption, translocation and metabolism of carbofuran in rice paddies. Ring-3-$^{14}C-carbofuran$ applied onto the paddy soil surface was rapidly absorbed and translocated into rice plants. Within 2 days after treatment, it was observed that carbofuran reached shoot tips and accumulated. More than 15% of total radioactivity was recovered in rice plant from 3 to 20 days after treatment. In organic soluble fraction of rice plant extract, 3-hydroxycarbofuran was the major metabolite recording 43% and 4% of total organic soluble radioactivity in shoot and root at 20 days respectively. 3-Ketocarbofuran and phenolic metabolites including carbofuran phenol, 3-hydroxycarbofuran phenol and 3-ketocarbofuran phenol were also detected in the organic soluble fractions. Some glycosidic conjugates of carbofuran metabolites were found in water soluble fraction of rice plant extract and 3-hydroxycarbofuran was the most abundant aglycone. Radioactivity in paddy soil was rapidly decreased until 3 days after treatment and then maintained almost constant level. A significant portion (42∼56 %) of the total radioactivity remained in soil as nonextractable residue from 5 to 20 days after treatment. The nonextractable radioactivity was mainly located in soil organic matter distributing in humin, fulvic acid and humic acid fractions with the decreasing order. Evolution of $^{14}CO_2$ from ring cleavage of $3-^{14}C-carbofuran$ was negligible recording only 1.8% of total radioactivity during 20 days after treatment.

      • KCI등재

        Al6060S-T6 알루미늄 합금의 크래쉬 박스 적용에 관한 연구

        이영득(Young-Deuk Lee),남기우(Ki-Woo Nam),박상현(Sang-Hyun Park),박한주(Han-Ju Park) 대한기계학회 2021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45 No.3

        본 연구는 기존 소재인 Al6082S-T6을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Al6060S-T6으로 대체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인장특성은 크래쉬 박스에서 인장 시편을 만들어 평가하였다. 압축시험은 크래쉬 박스로 평가하였으며, 압축 및 충돌시험은 크래쉬 박스가 조립 된 범퍼 빔으로 평가하였다. Al6082S-T6 크래쉬 박스의 압축시험, 크래쉬 박스가 조립된 범퍼 빔의 압축 및 충돌시험의 특성은 Al6060S-T6보다 높았으나, 충격 에너지 흡수효율이 낮았다. Al6060S-T6 크래쉬 박스의 손상 범위가 Al6082S-T6보다 작으며 충돌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feasibility of replacing Al6082S-T6, which features high rigidity, with Al6060S-T6, which features relatively low rigidity, for the crash box in automobiles. Tensile properties of these alloys were evaluated using crash box specimens, by means of compression and crash tests; compression tests were conducted on the crash boxes, whereas crash tests were conducted using a bumper equipped with a crash box. Results of the compression and crash tests indicate that the crash box composed of Al6082S-T6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that composed of Al6060S-T6, although the impact energy absorption efficiency of the former was lower. Furthermore, the damage to the Al6060S-T6 crash box was less than that to the Al6082S-T6 crash box, indicating the superior collision performance of the former.

      • KCI등재
      • SCIEKCI등재

        토양중 [ 14C ] Carbofuran 의 분해 및 비추출성 잔류분의 특성

        이영득(Young Deuk Lee),박창규(Chang Kyu Park)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95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38 No.3

        A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degradation patterns of carbofuran in soils between submerged and upland moisture conditions. [3-^(14)C]Carbofuran was treated in each soils at the rate of 1.0 ㎎/㎏ (87.8 kBq ^(14)C/50 g soil) and the time-course analysis for distribution of radioactivity and degradation products were conducted. Differences in the pathway and rate of carbofuran degradation in soils were observed between submerged and upland moisture conditions, major degradation being hydrolysis at 7-C position and oxidation at 3-C position, respectively. Carbofuran showed less persistence in soils of higher moisture contents. A significant portion, 24∼39% of the total radioactivity, resided in soils as nonextractable residues at 60 days after treatment. The nonextractable radioactivity was mainly located in soil organic matter, fulvic acid, humic acid and humin fractions.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confirmed the incorporation of carbofuran and its degradation products into the organic matter.

      • 식품의약품안전처 SESSION : 농산물 중 비극성 살응애제의 잔류분석법

        이영득 ( Young Deuk Lee ),조범석 ( Beom Seok Cho ) 한국환경농학회 201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3 No.-

        대표 농산물을 대상으로 bromopropylate, chlorfenapyr, etoxazole, pyrimidifen, spirodiclofen 등 비극성 살응애제 5종에 대한 공정 잔류분석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통합적으로 분석용 시료를 조 제하되 각 성분들은 개별적으로 정밀 정량함으로써 분석의 효율성을 높임과 동시에 잔류허용기준 의 위반 여부를 명확히 판별할 수 있는 개별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적용 농산물 군의 대표 농산물 로서 현미, 사과, 감귤, 고추, 배추의 5종을 선정하였으며 각 함수 시료로부터 대상 성분들을 acetonitrile로 동시에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흡인 여과한 후 농축 과정 없이 다량의 식염수로 희석 한 후 직접 비극성 용매로 분배 추출하였으며 유지 함유 시료는 n-hexane-acetonitrile 분배법을 추 가하여 비극성 방해물질을 제거하였다. 분배 추출액은 Florisil column chromatography로 최종 정 제하여 기기분석에 공시하였다. Bromopropylate, chlorfenapyr, pyrimidifen 및 spirodiclofen은 GLC/ECD, etoxazole 및 pyrimidifen은 GLC/NPD와 HPLC/UVD를 적용하여 최적 기기분석 조건을 설정하였다. 확립된 시료 조제 및 기기분석법의 결과 무처리 농산물 시료 중 간섭물질은 관찰되지 않았다. 분석법 검증실험의 결과, 잔류분석기준인 정량한계 0.05 mg/kg 이하 및 허용기준의 1/2과 회수율 70∼120% 이내를 충분히 만족하였으며 분석오차는 대상 농약과 농산물 시료에 상관없이 10% 이내였다. 시료 중에서 검출된 잔류분에 대한 정성적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추가의 크로 마토그래피법과 질량분석기을 이용한 재확인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소형수도재배구중(小型水稻栽培區中) Carbofuran 의 흡수(吸收) 이행(移行) 및 잔류특성(殘留特性)

        이영득,박형만,박영선,박창규,Lee, Young-Deuk,Park, Hyung-Man,Park, Young-Sun,Park, Chang-Kyu 한국환경농학회 1987 한국환경농학회지 Vol.6 No.1

        수도재배환경중(水稻栽培環境中) carbofuran의 흡수(吸收), 이행(移行) 및 잔류양상(殘留樣相)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소형수도재배구(小型水稻栽培區)를 이용(利用), carbofuran 입제(粒劑)를 2수준(水準)으로 살포(撒布)하고 시기별(時期別)로 수질(水質), 수도체(水稻體),토양(土壤) 및 수확물중(收穫物中) 잔류수준(殘留水準)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수면살포(水面撒布)한 carbofuran 입제(粒劑)는 빠른 속도(速度)로 용출(溶出)되어 수질중(水質中) carbofuran 농도(濃度)는 처리(處理) 1일이내(日以內)에 최고치(最高値)에도 달하였다. 용출(溶出)된 carbofuran은 수도체(水稻體)로 흡수(吸收), 이행(移行)되어 처리(處理) 1∼3일(日) 후(後)에 최고치(最高値)에 도달하였으며 그 이후(以後) 완만한 감소(減少) 경향(傾向)을 보였다. 수질중(水質中) carbofuran의 반감기(半減期)는 4일(日)이었고 토양중(土壤中)에서의 반감기(半減期)는 처리수준(處理水準)에 따라 8∼12일(日)이었다. 수확물중(收穫物中) carbofuran 잔류량(殘留量)은 현미(玄米)의 경우 0.01∼0.02ppm이었으며 볏짚에서는 0.37∼0.07ppm의 범위(範圍)였다. A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carbofuran in a miniature paddy agrosystem simulated for paddy field. Carbofuran applied onto the paddy water was rapidly absorbed and translocated into rice plants. Carbofuran concentration in rice plant reached its maximum level between 1 to 3 days after treatment and gradually decreased thereafter. Half life of carbofuran concentration in paddy water was 4 days in both application rates of 0.12 and 0.24Kg a.i./10a. Carbofuran residue in paddy soil was gradually dissipated with the half life of 8 and 12 days in 0.12 and 0.24㎏ a.i./l0a respectively. Range of carbofuran residue in brown rice and rice straw harvested from the paddy agrosystem was 0.01∼0.02 ppm and 0.37∼0.57 ppm irrespective of the two application rates respectively.

      • 농산물 중 Sulfonylurea계 제초제의 공정 잔류분석법 개발

        이영득 ( Young Deuk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18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8 No.-

        An analytical method was developed to simultaneously determine residues of four sulfonylurea herbicides including chlorimuron-ethyl, ethametsulfuron-methyl, rimsulfuron and tribenuron-methyl in agricultural products for the official purpose. All of target analytes were extracted with acetonitrile containing 0.5 M ammonium chloride from raw or moistened samples. The extract was diluted with saline water, and subjected to n-hexane washing to remove nonpolar co-extractives while the analyte remained in the aqueous phase. Enhancing ionic strength of the aqueous phase, dichloromethane partition was then followed to recover all the analytes. Weak anion-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 using SPE-aminopropyl cartridge was employed to further purify the extract prior to determination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ith detection of ultraviolet absorption at 234 nm. Linear gradient elution of acetonitrile/phosphate buffer (pH 3.0) mixture on an octadecylsilyl column was successfully applied to separate each residue of the analyte. Total of five representative types of agricultural commodities which comprised brown rice, mandarine, green pepper, potato and soybean were selected for validation of the method. A confirmatory and/or alternative quantitative method were also provided using LC coupled with the mass spectrometric techniq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