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립드러닝과 하브루타 학습법에 기반한 학습자 중심의 코딩 수업 설계 및 적용

        이애리,Lee, Aeri 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18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4 No.2

        When it comes to the value of modern education, teachers are required to perform the role of a helper to promot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the role of a manager to facilitate smooth learning, and the role of a guide who has expert knowledge in the learning content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kind of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there are, which require teachers to perform the roles of helper, manager, and guide, and conducted a pedagogical research on coding education to explore class models for self-directed learning. Subsequently, a class model was proposed by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and havruta learning to a coding class. In this study,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methods of flipped learning and havruta method were applied to constructing a coding class as a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course. The feature of this class is that it enables dynam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s well as active interaction between leaners in a classroom instruction. After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to the actual class and analyzing it, the students taught using suggested method were more positively assessed in learning interest than those taught using a traditional method. And that in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suggested method was more effective.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초등학생 인성교육 프로그램 효과 메타분석

        이애리(Lee, Aeri)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0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에게 실시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초등학생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간 국내 석사학위 및 박사 학위 논문과 학술지 발표 논문 중 PICOS에 따라 43편의 연구와 306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으며, R Studio를 이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전체 효과크기는 큰 효과로 나타났으며, 조절 변인에 따른 분산분석 결과는 프로그램 유형은 코칭 기반 프로그램, 참여 인원은 31명 이상, 적용 시간은 일과시간 내내, 1회기 시간은 40분 초과에서 80분 미만, 총 회기는 11~20회기 일 때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연구대상에 따른 효과크기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종속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또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 프로그램 유형, 참여인원, 적용 시간, 1회기 시간, 총 회기 등의 조절 변인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with meaningful data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uture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this end, 43 studies and 306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by PICOS based on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last 10 years and Meta-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 Studio. The study found that the overall average effect was large effect size. And according to the adjustment variables revealed that the program type was the largest effect size in coaching based programs, in a group of more than 31 participants, for over 41-80minutes, in all through school hours, in 11-20 session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gnitude of the effec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participants and dependent variable. Therefore, previously suggested adjustment variables(program type, size of group, session time, application time, number of session)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when developing a program to character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한글 형태소 변별의 위계관계 분석

        이애리(Lee, Aeri),안병학(Ahn, Byunghak),임순범(Lim, Soonbu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4

        With the advancement of font creation systems and environments, the number and diversity of font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However, there is a relative lack of criteria for distinguishing fonts. Features that constitute characters include not only the frame and spacing that form the structure but also weight, comprised of thickness and decorative features. Among these features, shape is the most fundamental factor for distinguishing differences in characters, even for individuals with low expertise in typography.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which morphemes have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perceiving differences in shape, focusing on “morphemes” that are the least affected by other features. The reaserch method involves surveying and analyzing Form A(46 participants) and Form B (27 participants) questionnaires on the hierarchy of morphemes among adults aged 19 and above. Morphemes selected for the study are those generated from horizontal and vertical strokes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direction. The questions are structured around four main themes: 1) perceptual fuatures of participants, 2) hierarchy of Korean morphemes, 3) congruence between Korean morphemes and the shape of whole characters, and 4) consistency of morpheme shapes within a single font. The research results showed differences by theme, but morphemes that consistently exhibited high discriminability across themes were “point of serif”, “topknot”, and “bend”. Additionally, morphemes whthin a single font share similar traits, and even when the discriminability of morphemes within a single font share similar traits, and even when the discriminability of morphemes is high, they may not represent the overall shape of font. This study improves user suitability for font classification by identifying morpheme with high discrimination power perceived by users and its cause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to improve the Korean font classification system and to create a font recommendation system.

      • KCI등재

        한국인 자폐증과 Chromosome 5p14에 존재하는 CDH9, CDH10 유전자 다형성의 연관성 연구

        이애리(Aeri Lee),박정원(Jung Won Park),남민(Min Nam),방희정(Hee Jung Bang),양재원(Jae Won Yang),최경식(Kyung-Sik Choi),김수강(Su Kang Kim),정주호(Joo-Ho Chung),곽규범(Kyu Bum Kwack)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11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22 No.4

        Objectives:The region of chromosome 5p14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e cadherin9 (CDH9) and cadherin10 (CDH10) genes are located in the region of chromosome 5p14 and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ASD in the Caucasian population. We performed an association study to identify i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located on the CDH9 and CDH10 genes are associated in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the blood of 214 patients with ASD and 258 controls. SNPs selected from two genes were genotyped using an Illumina Golden-Gate Genotyping assay with VeraCode technolog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AS and Plink software. Results:All controls and ASD patients were in Hardy-Weinberg equilibrium. In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for the genotype model and the chi-square test for the allele model, we found that SNPs on the CDH9 and CDH10 genes were not associated with ASD. Conclusion:Our data suggests that the CDH9 and CDH10 genes are not associated with ASD in the Korean population.

      • KCI우수등재

        전자책 수용에 대한 사용자 저항 결정요인

        이애리(Aeri Lee),최재원(Jaewon Choi),김경규(Kyung Kyu Kim) 한국전자거래학회 2012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7 No.4

        혁신제품의 하나인 전자책(e-Book)은 기존도서와 기술적 특성을 결합한 혁신적인 컨버전스 제품으로 매우 빠른 성장이 기대괴고 있다. 그러나 향후 전자책의 지속 성장을 위해서는 사용자 저항감을 최대한 감소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사용자 저항은 신기숭에 대한 사용자들의 지속적 성장의 장애요소로서 제시되어 왔으며 다양한 제품과 관련된 사용자 저항 연구들이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전자책과 관련된 사용자 저항 연구들이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전자책과 관련된 사용자 저항감을 혁신기술 특성과 사용자 특성의 관점으로 구분하여 사용자 저항감에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사용자 저항감의 형성 과정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혁신특성에 대한 요인으로 시용성, 불확실성, 복잡성, 적합성을 도출하였으며 사용자 특성으로 사회적 규범과 자기효능감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시용성, 불확실성, 복잡성은 각각 지각된 가치와 전환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제시되었으며 사회적 규범, 지각적 가치,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 지각된 가치는 사용자 저항의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 The e-Book market has rapidly grown as an innovative product which is mixed its traditional and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However, decreasing user resistance to the e-Book is very important to continually keeping up its market growth. Previous studies for user resistance have been studied as a negative barrier for various innovative products with importance of user resistance. Nevertheless, the factors for user’ resistance to the e-Book field have not been found out considering both perceived value and switching cost. Especially, both innovative technology and user specifics should be considered when explaining user resistance to adopting e-Book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for user resistance to the e-book and find out its antecedents with perceived value and switching cost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it appeared that triability, uncertainty and complexity affected perceived value and switching cost. The user-based antecedents like social norm and perceived value increased the effect of self-efficacy. Also, self-efficacy and perceived value decreased user resistance whereas switching cost increase user resistance to the e-Book perspective.

      • KCI우수등재

        온라인 커뮤니티 내 익명성이 가상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은곤(Un-Kon Lee),이애리(Aeri Lee),김경규(Kyong Kyu Kim) 한국전자거래학회 2015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0 No.1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비행을 막기 위해 어느 수준의 익명성을 보장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익명성의 개념이나 구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온라인 커뮤니티의 가상 팀 활동에 익명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익명성의 개념 및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종합하고, 익명성을 1) 실명(무익명), 2) 별명(부분 익명), 3) 임의의 숫자 아이디를 임시로 부여(완전 익명)의 세 가지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익명성의 차이가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신뢰 및 인지된 신원 노출 위험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결과적으로 가상 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험실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온라인 커뮤니티의 실제 모습을 반영하기 위해 정착된 커뮤니티의 가상 팀 상황을 만들어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364개의 응답이 수집된 가운데, ANOVA와 PLS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명과 별명을 부여한 익명성 집단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임의의 아이디를 임시로 부여하였던 집단만이 인지된 익명성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동시에 익명성의 효과는 정착된 커뮤니티의 가상 팀 상황에서는 신뢰, 인지된 위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온라인 커뮤니티 실무에서 보다 전략적인 커뮤니티 구성원의 익명성 보호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One of the challenges in online community management is what level of perceived anonymity can be granted to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from members while discouraging unhealthy activities. Few studies developed a scheme of anonymity and investigated how different levels of anonymity influence community activities. This study develops a classification scheme of anonymity encompassing the following three different levels : (1) real name(no anonymity), (2) nickname (partial anonymity), and (3) random assignment of a temporal ID (complete anonymity). Then, it examines how different levels of anonymity influence trust and perceived risk, which in turn affect virtual team performance. A series of laboratory experiments were performed, manipulating the levels of anonymity, in the context of well-structured communities that allow prior interactions among community member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64 laboratory participants and analyzed using ANOVA and PL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fference of anonymity between (2) and (3) had not be significant and the only (1) could not guarantee the anonymity. The impact of anonymity on trust and perceived risk could not be significant in this situation. These findings could contribute to make more beneficial member identification strategies in online community practice.

      • Android를 이용한 스마트폰 게임 어플리케이션

        김경하 ( Kyungha Kim ),이애리 ( Aeri Lee ),최민 ( Min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2

        스마트폰이 도입된지 불과 몇 년만에 모바일 컴퓨팅은 이제 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콘텐츠를 소비하고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자 도구가 되었다. 이제 우리의 일상은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이나 SNS 등을 이용해 보다 합리적인 정보 탐색을 위하여 얻고자 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실시간으로 공유한다. 최근 선호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오락, 유틸리티, 소셜 네트워크의 비중이 크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스마트 폰의 흐름에 발 맞춰, Android기반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고자 한다. 본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터에서만 즐길 수 있던 게임에서 벗어나 보다 접근성이 편리한 스마트폰에서 실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인프라(별점 주기, 랭킹)와 item shop 기능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더블버퍼링, 각종 센서, Surface View 등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한다.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