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 Improved Confidence Interval for the Population Proportionin a Double Sampling Scheme Subject to False-Positive Misclassification

        이승천 한국통계학회 2007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Vol.36 No.3

        Condence intervals for the population proportion in a double samplingscheme subject to false-positive misclassication are considered. The con-dence intervals are obtained by applying Agresti and Coull's approach,so-called \adding two-failures and two successes". They are compared interms of coverage probabilities and expected widths with the Wald intervaland the condence interval given by Boeseet al.(2006). The latter one isa test-based condence interval and is known to have good properties. Itis shown that the Agresti and Coull's approach provides a relatively simplebut eective condence interval.

      • KCI등재

        베이지안 분계점 모형에 의한 순서 범주형 변수의 대체

        이승천,Lee Seung-Chun 한국통계학회 2005 응용통계연구 Vol.18 No.3

        The nonresponse in sample survey causes a problem when it comes time to analyze dataset in public-use files where the user has only complete-data methods available and has limited information about the reasons for nonresponse. Recently imputation for nonresponse is becoming a standard approach for handling nonresponse and various imputation methods have been devised . However, most imputation methods concern with continuous traits while many interesting features are measured by binary or ordered categorical scales in sample survey. In this note. an imputation method for ignorable nonresponse in binary or ordered categorical traits is considered.

      • KCI등재

        이항 비율의 가중 POLYA POSTERIOR 구간추정

        이승천,Lee Seung-Chun 한국통계학회 2005 응용통계연구 Vol.18 No.3

        Recently the interval estimation of a binomial proportion is revisited in various literatures. This is mainly due to the erratic behavior of the coverage probability of the will-known Wald confidence interval. Various alternatives have been proposed. Among them, Agresti-Coull confidence interval has been recommended by Brown et al. (2001) with other confidence intervals for large sample, say n $\ge$ 40. On the other hand, a noninformative Bayesian approach called Polya posterior often produces statistics with good frequentist's properties. In this note, an interval estimator is developed using weighted Polya posterior. The resulting interval estimator is essentially the Agresti-Coull confidence interval with some improved features. It is shown that the weighted Polys posterior produce an effective interval estimator for small sample size and a severely skewed binomial distribution.

      • KCI등재

        이중표본에서 모비율의 구간추정

        이승천,최병수,Lee, Seung-Chun,Choi, Byong-Su 한국통계학회 2009 응용통계연구 Vol.22 No.6

        The double sampling scheme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sampling cost. However, the doubly sampled data is contaminated by two types of error, namely false-positive and false-negative errors. These would make the statistical analysis more difficult, and it would require more sophisticate analysis tools. For instance, the Wald method for the interval estimation of a proportion would not work well. In fact, it is well known that the Wald confidence interval behaves very poorly in many sampling schemes. In this note, the property of the Wald interval i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coverage probability and the expected width. An alternative confidence interval based on the Agresti-Coull's approach is recommended.

      • 强制搜査와 人權保障에 관한 考察

        이승천,이대운 대구미래대학 2001 論文集 Vol.19 No.1

        형사소송법은 그 지도이념으로 실체적 진실주의와 적정성의 원칙을 들고 있다. 실체적 진실주의는 어떠하든 진실을 가려내어 범죄자를 처벌해야 한다는 취지인데, 특히 적극적 진실주의는 다소 피의자 또는 피고인이 침해를 당한다고 하더라도 진실을 밝혀야 한다는 점이다. 이에 반하여 적정성의 원칙은 진실규명도 중요하지만 피의자나 피고인의 인권도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한 것이며, 재판과정이나 특히 수사과정에서 항상 이들의 견해를 존중하고 보호해 줄 것을 그 취지로 한다. 실무적인 관점에서는 수사의 편의상 진실주의의 강조가 당연한 귀결일지는 모를 일이다. 그러나 이렇게 되는 경우 우리가 흔히 체험해 왔듯이 고문이나 가혹한 행위로 진실발견을 위해서는 정당화된다는 오류를 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형사소송법도 바로 그 지도이념을 적정성의 원칙에 두면서 피의자나 피고인의 인권도 보장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 하에서 현행 형사소송법이 규정하고 있는 강제수사제도는 헌법상의 영장주의원칙, 신속한 재판의 원칙, 무죄추정의 원칙 등과 관련하여 많은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먼저 현행 형사소송법상의 근본적인 문제점으로서 피의자의 소송법상 지위에 대한 전환적 인식이 필요하다. 즉 피의자의 지위를 소송절차에 있어서 소송주체이며 수사절차상의 주체라고 설정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수사기관의 수사활동이 공소의 제기와 수행을 위한 범인의 신병화보와 증거의 수집·보전이라는 목적달성을 위한 활동으로서 법률상의 규제보다 사실상의 규제 즉 합목적성의 원리가 지배하는 수사기관의 편의와 강제력의 행사가 주된 절차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피의자의 권리와 지위를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피의자의 지위를 조사의 객체, 강제처분이나 수사절차의 대상으로만 여기는 사고방식이 지배하는 현행 형사소송절차에서는 무의미한 것이 되기 때문이다. 즉 피의자는 통일된 형사절차 전반에 걸쳐 소송의 주체, 수사절차상의 주체로서 현행 형사소송법상 인정된 각종 권리의 주체로서 권리를 향유하기도 하고 도한 소송법상 의무를 부담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수사절차상 강제처분에 있어 피의자에게 수인의무를 부담시키는 것은 형사소송법에서 인정한 각종 권리와 지위에 대응하여 소송법상 의무를 부담시키는 것이지 단순히 조사의 대상에 해당하기 때문에 일방적으로 수사기관에 복종하라는 것은 아닌 것이다. 둘째, 범죄수사와 관련한 프라이버시 보호문제이다. 현행법이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압수·수색의 경우 영장주의를 원칙으로 하여 그 합리성을 보장하고는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수사기관이 일단 수사를 개시하면 무조건 피의자의 주거나 사무실 등에 대해 영장 없이도 압수·수색을 강행하고 있고 법원은 아무런 통제도 없이 영장을 발부해 주고 있는 실태가 문제된다고 하겠다. 오늘날 수사기관은 아무런 법적 규제없이 재량적·탄력적이고 유연한 수사활동의 확보라는 수사목적의 효율적 실현을 위한 기도 때문에 피의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문제는 아직까지 미약한 수준에 머물러 있을 뿐 아니라 오히려 경시할 경향마저 없지 않아 수사절차상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제도개선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본다. 셋째, 수사는 임의수사를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불구속수사가 이상이지만 피의자·피고인에게 특별한 희생을 요구하는 인신구속제도는 형사절차상 필요악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행 인신구속제도상 또는 운용상 수사기관에 의한 인신구속의 남용, 불공평한 인신구속, 인신구속 절차상의 불법행위, 구속기간의 장기화 등과 관련하여 개선되어야 할 점들은 많다. 현행법상의 구속사유 또는 구속요건이 너무 추상적일 뿐만 아니라 일정한 경우에는 심급마다 2차까지 갱신할 수 있도록 하여 구속의 부당한 장기화를 초래할 여지를 안고 있는 것이다. 특히 구속기간을 지나 구속기소된 피고인이 첫 재판을 받을 때까지 상당한 기간동안 기다려야 하는 사법현실을 감안한다면 구속의 장기화는 심각한 인권침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넷째, 구속적부심사제도는 수사기관에 의해 구속된 피의자에 대해 구속의 적부와 계속의 필요성을 심사하여 구속이 부당한 경우 석방시키는 제도인 것이다. 따라서 구속의 계속여부에 대한 판단은 현재의 상황에 중점을 두어야 하기 때문에 구속집행당시의 사정과 적부심사 현재의 사정을 고려하여 인신보호에 가장 유리한 방향으로 결정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행 형사소송법은 법원의 적부심사결정에 대해서는 항고를 부인함으로써 검사와 형사피의자가 더 이상 다투지 못하도록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형사소송법 제214조의2 제7항), 법원이 적부심사에 관한 수사관계서류와 증거물을 접수한 때부터 결정 후 검찰청에 반환된 때까지의 기간은 구속기간에 산입하지 아니하는 규정을 두고 있어 사실상 구속기간의 연장이라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어(형사소송법 제214조의2 제12항) 문제가 된다고 보겠다. 또한 검찰의 전격기소에 의해 적부심사제도의 제도적 의의가 상실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법원은 경우에 따라 적부심사를 일정한 기간 유보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유보기간에 전격적인 기소가 있을 경우 구속피의자의 인권침해는 물론 검사에 의해 이 제도가 몰가치적인 것으로 변질될 가능성을 안고 있는 것이다. 이는 피고인에게까지 적부심사청구를 허용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마지막으로 검찰수사의 개시원인이 되는 범죄인지에 있어서 수사비례의 원칙에 따라 일정한 요건과 절차를 구체적으로 법정화 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경찰관직무집행법상에 규정되어 있는 불심검문과 소지품 검사 등은 범죄예방을 위한 행정경찰목적이지 범죄수사의 목적이라고는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죄형 법정주의 원칙에 따라 경미한 사건의 비범죄화도 검토되어야 할 문제라고 본다.

      • KCI등재

        Bayesian confidence intervals of proportion with misclassified binary data

        이승천 한국통계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Vol.42 No.3

        A Bayesian approach is considered for the interval estimation of a binomial proportion in doubly sampled data. The coverage probability and the expected width of the Bayesian confidence interval are compared with likelihood-related confidence intervals. It is shown that a hierarchical Bayesian approach provides relatively simple and effective confidence intervals.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Agresti–Coull type confidence interval, discussed by Lee and Choi (2009), can be justified by the Bayesian framework.

      • KCI등재

        A Bayesian approach to obtain confidence intervals for binomial proportion in a double sampling scheme subject to false-positive misclassification

        이승천,변종석 한국통계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Vol.37 No.4

        The construction of a confidence interval based on a Bayesian approach is considered for the population proportion with double sampled data subject to false-positive misclassification. The Bayesian confidence intervals are compared with a standard frequentist confidence interval in terms of coverage probability and expected width. It is shown that a noninformative Bayes approach provides a relatively simple but effective confidence interval.

      •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슬러지 성분원소 분석

        이승천,이재석,조혜진,박재일 한국분석과학회 2021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에서는 고온/고압의 용수가 연속적으로 순환되기 때문에 최적의 수질관리를 하더라도 구성 배관으로부터 철산화물이 용출되는 것을 막기는 힘들며, 용출된 철산화물은 증기발생기의 내부에 슬러지 형태로 축적되어, 증기발생기 운전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게된다. 고온/고압에서 생성된 슬러지는 일반적인 산용해방법으로 용해가 잘 안되기 때문에 과거에는 불용물을 용융(LiBO₂:Li₂B4O7, 1:1)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융제에 다량 함유된 B이 분석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현재는 마이크로웨이브 용해장비를 사용하여 전처리 실험을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웨이브용해장치를 활용해 혼합산으로 용해한 후 용해액에서 14~20개의 성분원소를 ICP-AES로 측정하고, 원시료 일부를 고체성분분석기를 이용하여 C와 S를 측정하여 총함량이 100±1 %에 해당하면 합격으로 판단한다. 마이크로웨이브용해장비는 물리적으로 렌치를 이용해 밀폐시키는 방법의 Ethosone장비와 고압질소가스를 이용하여 밀폐시키는 Ultrawave장비, 이 2가지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성분원소 중 Si이 휘발되지 않는 실험조건을 찾기 위하여 2가지 방법에 대한 비교실험을 진행하였다. Ethosone와 Ultrawave장비에 동일한 시료를 4개씩 분취하여 HNO₃와 HCl을 5:2의 비율로 넣고 HF의 첨가량을 0.25, 0.1, 0, 0.25(상온)mL 의 4단계로 첨가하여 용해하였다. 주성분인 Fe의 농도를 비교하여 완전용해 되었는지 판단하고, Si의 농도를 측정하여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Ethosone장비로 실험한 결과는 HF를 첨가하여 용해하였을 때가 HF를 첨가하지 않거나 상온에서 첨가하였을 때보다 Fe과 Si의 농도가 모두 높았기 때문에, 이 장비의 경우 HF가 Si의 휘발에 영향을 주지 않고, 오히려 시료의 완전용해에 도움을 주었다. Ultrawave장비의 경우는 Fe의 함량이 4단계 모두 비슷하였고, Si의 농도는 상온에서 HF를 첨가하였을 때가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기 때문에, 이 장비의 경우는 HF가 Si을 휘발시키지만 시료의 용해에는 무관한 결과를 보였다. 슬러지 시료를 혼합산을 첨가하여 마이크로웨이브용해장비로 전처리 할 경우, Ethosone장비는 HNO₃/HCl/HF의 혼합산을 첨가하여 용해하고, Ultrawave장비의 경우는 HNO₃/HCl 혼합산으로 용해 후 상온에서 HF를 첨가하는 것이 시료의 완전용해와 Si의 휘발을 막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베이지안 접근에 의한 모비율 선형함수의 신뢰구간

        이승천,Lee, Seung-Chun 한국통계학회 2007 응용통계연구 Vol.20 No.2

        It is known that Agresti-Coull approach is an effective tool for the construction of confidence intervals for various problems related to binomial proportions. However, the Agrest-Coull approach often produces a conservative confidence interval. In this note, confidence intervals based on a Bayesian approach are proposed for a linear function of independent binomial proportions. It is shown that the Bayesian confidence interval slightly outperforms the confidence interval based on Agresti-Coull approach in average sen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