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적 청소년 마음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이현지(Lee, Hyun-Ji),정재걸(Jung, Jae-Geol),홍승표(Hong, Seung-Pyo),이승연(Lee, Sung-Yean),백진호(Baek, Jin-Ho) 동양사회사상학회 202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2

        최근 청소년교육의 현주소는 창의융합교육, 진로교육의 내실화, 자유학기제를 통한 자기주도적인 학습, 디지털교육 확대 등이다. 이를 통해서지식교육 중심의 수업에서 벗어나고, 경쟁과 입시 스트레스를 완화하며, 창의력 및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는 미래교육의 관점에서 보면, 여전히 부족한 면이없지 않다. 오늘날 교육은 이와 같은 변화할 사회에 대응하는 청소년들이직면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향후 청소년교육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콜라보레이션이가능한 인재 양성, 새로운 사회시스템을 이해하고 주도하는 역량 제고, 공유역량을 갖춘 휴먼 4.0 배출, 사회변화에 열린 창의적 메이커를 양성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성과를 위해서 필요한 교육은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해하고 적응할 수 있는 기술교육뿐만 아니라, 사회변화를 이해하고 시대에 부합하는 삶의 의미와 가치를 형성할 수있는 교육이다. 특히 자기에 대한 이해와 삶의 본질에 닿을 수 있는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러한 교육의 중심에 마음교육이 있다. 미래사회의 청소년교육의 중심으로 마음교육을 꼽는 이유는 매우 자명하다. 마음교육은 미래사회를 대비해야 하는 청소년들에게 자기에 대한 이해와 삶의 본질에 닿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인간의 힘으로 통제할 수 없는 과학기술의 발전은 인류의 삶을 급격하게 변화시킬 것을 예고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살아야 하는 청소년에게 마음교육은 불투명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두려움의 본질이 무엇이며, 변화할시대를 지혜롭게 대비하기 위해서는 어떤 역량을 키우는 것이 삶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일인지에 대한 답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러한 마음교육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 마음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이에 부합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또한 마음교육을 학교에서 활용하고 교육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그에 부합하는 체제와 내용을 갖추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적 청소년 마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용하고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The current status of youth education is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internalization of career education,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expansion of digital education. Through this, the goal is to break away from knowledge education-oriented classes, relieve competition and admission stress, and improve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skills.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future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is still a lack. Education today does not provide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 problems faced by young people responding to these changing societies. In the future, youth education should be able to contribute to fostering human resources capable of collaboration, understanding and leading new social systems, producing human 4.0 with shared capabilities, and fostering creative makers open to social change. The education necessary for these achievements is not only technical education that can understand and adapt to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ut also education that can understand social changes and form meaning and value of life in line with the times. In particular, education that can reach the essence of life and understanding of oneself is desperately needed. At the center of this education is mind education. The reason for choosing mind education as the center of youth education in future society is very clear. Mind education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young people who need to prepare for a future society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reach the essence of life. Advances in technology beyond human control foreshadow a drastic change in human life. For teenagers who have to live in this reality, mind education can provide answers to the nature of anxiety and fear about an opaque future and what capabilities can be discovered to wisely prepare for a changing era. In order to faithfully perform the role of mind education, the goals and contents of mind education shall be organized to conform to it. In addition, in order to utilize mind education in schools and achieve educational effects, it is necessary to have a corresponding system and content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Korean youth mind education program and looked at ways that can be used and applied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 KCI등재

        동양사상의 관점에서 본 독일 청소년 죽음교육의 한계와 대안

        정재걸 ( Jung Jae-geol ),이승연 ( Lee Sung-yean ),이현지 ( Lee Hyun-ji ),백진호 ( Baek Jin-ho ),이유택 ( Lee Yu-taek ) 동양사회사상학회 2013 사회사상과 문화 Vol.28 No.-

        이 논문은 독일 청소년의 죽음교육을 소개하고 그 한계를 지적한 것이다. 독일 청소년의 죽음교육은 크게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또 가까운 사람의 죽음에 대한 슬픔을 해결하기 위한 내용으로 이루어져있다. 연구자들은 이를 문제해결로서의 죽음교육이라고 규정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문제해소로서의 죽음교육을 제안하였다. 문제해결보다는 문제해소가 궁극적인 해결일 수 있는 까닭은 더 이상 그 문제가 문제로서 여겨지지 않기 때문이다. 문제해소는 문제와 내가 분리된 것이 아닌 것, 즉 ‘문제’가 문제가 아니라 ‘내’가 문제라는 것을 자각하기 때문에 더 이상 같은 문제로 어려움을 겪지 않을 수 있다. 문제해소로서의 죽음교육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슬픔이 문제가 아니라 나를 분리 독립된 개체로 여기는 조건화가 문제이다. 조건화는 그것을 의식하는 즉시 조금씩 탈조건화된다. 결국 문제해소로서의 죽음교육은 ‘나’라는 환영을 버리도록 함으로써 죽음이란 존재하지 않음을 깨닫도록 하는 것이다. This thesis aims at to analyse the Deutsch death education at the perspectives of oriental thoughts. We used the concepts of ‘problem-solving’ and ‘problem-annulment’ as the tools to analyse it. The ‘problem-solving’ has two fallacies, one is to devide the problem from me and the other is to look the problem as bad thing. The Deutsche death education has the same fallacies. But the death education as ‘problem-annulment’ has no such fallacies because the aim of death education is to make sure that there are no death in our life. We can see many these ideas in oriental sacred books.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시대, 청소년 마음교육의 과제와 전망: 중학교 도덕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정재걸 ( Jung Jae-geol ),이승연 ( Lee Sung-yean ),홍승표 ( Hong Seung-pyo ),백진호 ( Baek Jin-ho ),이현지 ( Lee Hyun-ji ) 동양사회사상학회 2019 사회사상과 문화 Vol.22 No.2

        제4차 산업혁명의 바람이 학교 현장에도 불어오고 있다. 디지털 수업이 보급되기 시작했고, 각 학교마다 3D 프린트가 설치되었으며 방과 후 학교에는 코딩수업이 실시되기도 했다. 교육부는 교사들에게 지식중심수업을 지양하도록 요구하였고, 수업방법과 평가방법의 대대적인 혁신을 주문했다. 자유학기제의 도입, 진로교육, 체험활동 강화, 활동중심수업 등, 학교현장 또한 급변하고 있다. 지식을 가르치던 교사는 이제 놀이를 가르치고, 역할극을 함께 하며, 토론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아니 진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인성교육의 중심교과라 할 수 있는 도덕교과에서도 토론, 역할극, 게임 등 새로운 방식의 수업모델을 개발 중이다. 수업은 더 이상 앉아서 무엇인가를 듣거나 보는 것이 아니라 움직이는 활동이 되었고, 어떤 면에서는 조용한 수업이 무능한 수업이 되었다. 제4차 산업혁명이라고 하는 기술혁신의 시대, 교육현장이 바뀌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전 세계의 온갖 정보가 초를 다투며 손바닥 안으로 유입되는 세상에서 지식의 암기는 무의미하다는 것 또한 옳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충분한 것일까? 이 글은 제4차 산업혁명의 이면에 감추어진 인간의 무한한 욕망을 직시하며, 그것을 바탕으로 우리의 도덕교육이 마음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하는 필요성, 그리고 그 가능성을 진단해 보고자 한 것이다. 도덕교과는 몇 차례의 교육과정의 개정에도 불구하고 일관되게 ‘자아실현’을 강조하여 왔다. 그러나 일자리가 로봇으로 대체되고, 노동이 사라지고 있는 지금, 도덕교과서가 여전히 직업을 통한 자아실현을 강조하는 것이야말로 시대착오적인 발상이 아닐까? 또 개정도덕교과서가 강조하는 ‘관계’는 오히려 ‘자아실현’과 모순되는 것은 아닐까? 이 글에서는 개정 전후 도덕교과서 분석을 통해 현재 교육부가 추구하는 도덕교육의 방향을 검토함과 동시에 전후 교육과정에 일관되게 강조되고 있는 ‘자아실현’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그 한계를 지적하고자 하였다. 도덕교과서의 내용은 자신과의 ‘관계’에서 시작하여 자연 초월적 ‘관계’로 고양되어 가는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이 글은 ‘관계’ 속에서 자신을 실현한다는 것은 도덕교과서의 주장처럼 자아의 확립을 통해서가 아니라 자아를 넘어선 ‘물아일체’의 세계 속에서만 가능하며, 욕망의 실현을 통해서가 아니라 본성의 실현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사실에 입각하여 도덕교육이 마음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함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청소년 도덕교육의 내용은 편의상 중학교 도덕교과서의 분석에 한정하였다. The wind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blowing on the school grounds, too. Digital classes began to spread, with each school having 3D printing installed, and after school coding classes. The Ministry of Education asked teachers to refrain from knowledge-oriented classes and called for sweeping reform of the methods of teaching and evaluation. School sites are also changing rapidly, including the introduction of a free semester system, career education, strengthening hands-on activities, and activities-oriented classes. Teachers who used to teach knowledge are now teaching play, playing role-playing, and holding discussion classes. No, I'm trying to proceed. Moral subjects, which are the core subjects of character education, are also developing new classes such as discussion, role-playing and games. Classes have become a moving activity, no longer sitting and listening to or seeing something, and in some ways quiet classes have become incompetent classes. It is natural that the educational scene should be changed, in the ag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ll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also true that memorization of knowledge is meaningless in a world where all kinds of information from all over the world flows into the palm of one's hand, vying for seconds. But is this enough? This article is intended to examine the need, and the possibility, that our moral education should be converted to mind education based on the infinite desires of human beings hidden behi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oral education has consistently emphasized 'self-realization' despite several revisions to the curriculum. But at a time when jobs are replaced by robots and labor is disappearing, isn't it an anachronistic idea for moral textbooks to still emphasize self-realization through jobs? Also, isn't the 'relationship' emphasized by the revised moral textbooks contradict the 'self-realization' rathe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moral education pursu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moral textbooks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while critically analyzing the meaning of 'self-realization' that is consistently emphasized in the post-war curriculum to point out its limitations. The content of the moral textbook takes the form of 'relationship' with itself and elevating itself into a natural transcendent 'relationship', which should be discussed based on the fact that it is not possible in a world of ego, not through the realization of desire, but through the realization of inner nature.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for young adults were limited to the analysis of the middle school moral textbooks for convenience.

      • KCI등재

        한국 청소년 죽음교육 모형 개발:

        정재걸(Jung Jae Geol),이승연(Lee Sung Yean),이현지(Lee Hyun Ji),백진호(Baek Jin Ho)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2

        Death Education was started in 1960s in United States as the education to prepare death. Nowadays it has been spreaded to Europe and Asia. The contents of death education are also expanded to life respect education,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and introspection of life through death. In Korea, death education has received attention since 2000. Recently arguments that death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to youth has been raised. But the research of death education for Korean youth is very poo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 One is to develop death education for Korean youth. Second is to find the way of application of the model to school. 1960년대 미국에서 죽음준비교육으로 시작된 죽음교육은 이제 유럽, 아시아 등으로 확산되는 한편, 그 내용에 있어서도 생명존중교육, 자살예방교육, 또는 죽음을 통한 삶의 성찰이라는 철학적 사유로까지 그 영역이 확대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0년대에 들어 죽음교육의 필요성에 주목하기 시작했고, 최근에는 노인이나 시한부 환자를 넘어 청소년에게로 죽음교육의 대상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죽음교육의 구체적인 내용이나 방법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진척되지 않았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에 착안한 것으로 도덕수업과 죽음교육의 접목을 시도하여 학교현장에서 죽음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보고자 한 것이다. 만약 죽음교육이 죽음준비교육을 넘어, 생명존중교육, 더 나아가 죽음에 대한 철학적 사유까지 포함한다면 그것이야말로 도덕교육의 중요한 구성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특히 이 글에서는 일본 죽음교육 사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소개하였는데, 이는 일본이 죽음교육을 도덕수업의 주요 테마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선행 사례는 우리 죽음교육, 더 나아가 도덕교육에도 새로운 시사점을 던져 줄 것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 죽음교육을 위한 예비적 고찰 -중,고등학생의 죽음관을 중심으로-

        정재걸 ( Jae Geol Jung ),이현지 ( Hyun Ji Lee ),이승연 ( Sung Yean Lee ),백진호 ( Jin Ho Ba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3 중등교육연구 Vol.61 No.3

        1960년대, 미국이 처음으로 죽음교육을 학교 현장에 도입한 이래, 유럽, 일본 등을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는 죽음교육의 교육적 의미에 주목하고 이를 시행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여 왔다. 우리나라도 2000년대에 들어 죽음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자살, 존속살인 등, 생명의 가치를 훼손하는 반인륜적 범죄의 증가가 생명의 존엄성을 재인식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동시에 우리의 학교 교육을 반성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죽음 자체에 대한 철학적 고찰과 더불어 죽음교육을 인성교육의 일환으로 보고 그 의의를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도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죽음교육은 여전히 학교 현장에 도입되지 못하고 있다. 그것은 우리 교육의 척박한 현실 때문이기도 하지만 실제로 현장에서 시행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여전히 개발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 글 역시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 것은 아니다. 다만 그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청소년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죽음교육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해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우리의 교육현실에 적합한 죽음교육의 형태를 전망하고자 한 것이다. United States firstly introduced death education in school in 1960s. Since then, many countries including Europe countries and Japan have paid attention to the meaning of death education and operated diverse death education programmes. In Korea, concerns to death education has increased since 2000s. Crimes against humanity occurred and they provided chances to reflect the school education. Finally the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has been recognized. But in spite of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it has not been introduced to school education. The main reason is that death education program for Korean students has not been developed yet. This paper is a basic work for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program. For the purpose, in this paper, the views of deaths of Korean adolescents and the problems of the views have been analysed, and the proper type of death education in Korea has been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과 도가(道家)의 마음교육 : 개인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전통 마음교육 연구

        백진호(Baek, Jin-Ho),정재걸(Jung, Jae-Geol),홍승표(Hong, Seung-Pyo),이승연(Lee, Sung-Yean),이현지(Lee, Hyun-Ji) 동양사회사상학회 2020 사회사상과 문화 Vol.23 No.2

        This study is to look at Taoist thought and find out that it can be applied to Mind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people who are fac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already emphasized and strengthened self-realization to prepar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ut until now teenagers are suffering from the anxiety about the future and the fear that they will not be able to get a job in the future. That is because the education field still emphasizes self-realization ‘through labor’ centered on individualism for teenagers who have to liv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elf-realization means to live a life of self-expansion that seeks happiness related to oneself as an individual, so it is different from pursuing happiness and peace from the perspective of Eastern thought which views all beings as ‘person and nature as one’. Teenagers can never pursue truehappiness and peace as long as the education regards teenagers as one entity separated from others and put a way to realize individual happiness in ‘self-realization through labor’. Because true happiness and peace are inherently related to knowing that one’s nature is peace, love and happiness, in other words restoring one’s nature.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ideas of Taoism that can be available for youth mind education and how to apply them to the educa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idea of ‘Initial Recovery’ can be the most desirable way to solve inner problems and to restore one’s nature. ‘Emptying Out’, ‘Keeping Quiet’ and ‘Not Acting’ can also be the way to restore one’s nature. Then how can we apply these Taoist ideas to youth mind education? First, one can throw away the thought of being an object and the labor-centered idea by looking at the way how oneself look at the world through ‘Looking at Nothing’. We also confirm one can live ‘Now-Here’ by experiencing it as it is, the thoughts, emotions and resistance to life that one rejected through ‘Accepting It As It is’. And through ‘Love Yourself As It Is’, one can warmly love oneself who turned away from a small mistake and rebuked one, emptying one’s inner self, and finding that one can feel happiness and peace by being the present.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한 청소년들이 미래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마음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는 도가 사상을 찾아보고 그것을 청소년 마음교육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교육부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자아실현을 더욱 강조했고 강화하였다. 그러나 청소년들은 여전히 미래에대한 불안과 직업을 얻지 못할 것이라는 두려움으로 고통을 당하고 있다. 왜냐하면 교육 현장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아가야 할 청소년에게 여전히 개인주의를 중심으로 한 ‘노동을 통한 자아실현’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자아실현은 개체로서의 자아와 관계된 행복을 추구하는 자아 확장의삶이기에, 모든 존재를 ‘물아일체(物我一體)’로 바라보는 동양적 관점에서의 행복과 평화를 추구하는 것과는 성격이 다르다. 학교 현장에서 청소년을 다른 존재와 분리된 하나의 개체로 여기고, 개인의 행복을 실현하는 방법을 ‘노동을 통한 자아실현’에 둔다면 청소년들은 결코 진정한 행복과 평화를 회복할 수 없다. 왜냐하면 진정한 행복과 평화는 자기의 본성이 본래부터 평화이고, 사랑이며, 행복임을 아는 일, 다시 말해서 자기의 본성을 회복하는 일과 관계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마음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도가 사상과 그것을 청소년 마음교육에 어떻게 적용할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청소년 마음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도가 사상으로, ‘처음 회복하기’를 통해 자기의 본성을 회복하는 것이 내면의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임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텅 비우기’, ‘고요함 지키기’, ‘행위하지 않기’ 등을 통해 본성을 회복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그럼 어떻게 하면 도가 사상을 청소년 마음교육에 활용할 수 있을까? 먼저, ‘무위로 바라보기’를 통해, 자기가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바라봄으로써 개체라는 생각과 노동 중심적인 생각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있는 그대로 수용하기’를 통해 거부하던 생각과 감정과 삶에 대한 저항을 멈추고 있는 그대로의 그것을 경험함으로써 ‘지금- 여기’를 살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 ‘있는 그대로의 자기 사랑하기’를통해 조그마한 실수에도 외면하고 질책하던 자기에게 따뜻한 사랑을 보내고 내면을 텅 비우며 현존함으로서, 행복과 평화를 싹틔울 수 있음도알아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