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아시아 경제사’와 근대일본 : 제국과 공업화

        이수열(Lee, Soo Yeol) 역사학회 2016 역사학보 Vol.0 No.232

        Entering the 1980s, a new paradigm appeared to look at the economic history of Asia in Japan. Its representative researchers include Hamashita Takeshi, Sugihara Kaoru, Kawakatsu Heita. The researches varied in the subject, content, and time among the authors. In spite of such diversity, researches on the “Asian economic history” reached agreement inⅰ) refusing to consider the history of Asian economy as the collection of histories of national economies and regarding Asia as a broad regional unit,ⅱ) using a horizontal network among seaport cities rather than negotiations between nations, and ⅲ) shedding light onto the independence of Asia in modern times in its relations with the unified world since the 16th century. The new trend of Asian economic history formed a robust axis of Japanese academia today as it shared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modern historical studies including the criticism of nation-state paradigm and conquest of Eurocentrism. The European and American academic circles particularly welcome it more with a broad scope of support for it found in South Korea. The research of “Asian economic history”, however, has certain aspects that make it difficult to see it as economic history research derived from simple academic motives since it has a hidden topic of saving the modern times of Japan from the its imperialist history and highlighting its active aspects in the economic development of Asia.

      • KCI등재

        제조업 혁신활동 이전 과정의 형태 변화

        이수열(Su-Yol Lee),정상철(Sang-Cheol Jung) 한국경영학회 2017 Korea Business Review Vol.21 No.1

        혁신활동의 성공적 도입과 이전은 학계와 기업들의 오랜 고민이자 관심 주제이다. 최적 실무관행은 유행처럼 산업계에 확산되지만 성공적으로 받아들여 기업 경쟁력으로 연결시킨 경우는 매우 적다. 기존 문헌은 한 가지 혁신활동과 경영 유행의 확산을 설명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왔고 여러 혁신활동이 공존할 때 이들이 조직 내에서 내재화 될때 어떤 변화를 겪는지 다루지 못했다. 이 연구는 한국의 포스코가 도입했던 여러 혁신활동에 대한 종단적 사례연구를 통하여 혁신활동이 어떻게 도입되고 이전과정에서 어떻게 다른 형태 변화를 겪는지 탐색하고 있다. 개별 혁신활동이 분석 단위이며 총 10개 사례를 활동연구와 사례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조직 내에서 혁신활동이 도입되는 착수, 모방, 실행, 통합의 네 단계를 거치면서 혁신활동이 7개 서로 다른 형태 변화를 겪는다는 사실을 밝히고 이들 변화 유형을 소멸, 재생, 소형화, 복제, 파생, 접목, 융합으로 명명하였다. 이 연구는 조직외부의 제도적 영향과 수용 조직의 내부 관점을 종합하여 혁신활동 이전 과정에서 변화에 미치는 요인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경영 유행의 모방 압력, 경영층의 사회심리학적, 기술경제학적 제도 요인과 조직의 혁신활동 필요성 인식, 적합한 혁신활동 선택, 조직의 학습능력과 혁신활동 정착을 위한 지속성이라는 조직 내부 요인의 상호작용이 효과적인 혁신활동 이전에 영향을 준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A question on how to successfully adopt and transfer innovation practices has received attention for a long time from both of the academic and industry circles. Best management practices tend to quickly diffuse throughout industries as management fads; however, very few companies have succeeded in embedding best practices into their organization and lead to competitive advantag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transfer process of a dominant best practice, and therefore there is deficit in the literature on how several different types of innovation practices interplay one another when they are adopted and embedded in an organiz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dynamic nature of innovation practices in the transfer processes based on longitudinal case studies of innovation practices having different purposes, characteristics, and adoption process in Posco. A research combining action research with case studies with ten innovation practices provide evidence that a innovation practice could follow one of the seven different metamorphosis types through the four of initiation, imitation, implementation, and integration of transfer processes: extinction, regeneration, downsizing, replication, spinning-off, grafting, and blending. The results of this case-based research also present findings that what drives innovation practices transfer and influences successfully embeddedness of best practices into an organization based on intra-organizational as well as institutional aspects. This study provides meaning implications for managers that successful transfer of innovation practices requires the understanding of the dynamic interplay of external influences such as isophormic pressure on best practices, socio-psychological aspects of management, and techno-economic institutional factors and internal aspects including an organization on innovation practices and selection of proper practices as well as an organizations absorptive capacity and persistence of innovation practic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전력공사(KEPCO)의 CSR과 CSV 소생 전략

        이수열(Su-Yol Lee),김유상(Yu-Sang Kim) 한국경영학회 2018 Korea Business Review Vol.22 No.2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은 산업계에 널리 퍼져 하나의 현상이 되었지만 그것이 올바른 이해에 바탕을 두고 있는지는 회의적이다. 기업 비즈니스와 사회가치 창출 연계성을 강조한 공유가치창출(CSV)이 주목 받고 있지만 이 개념 역시 한때의 유행으로 끝나지 않기 위해서는 바른 이해와 지속적인 사례 발굴이 요구된다. 이 사례는 CSR과 CSV의 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국내 최대 공기업인 한국전력공사(KEPCO)의 사회공헌과 연계된 다양한 기업 활동을 진단하고 향후 전략 방향을 논의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한전의 다양한 CSR 사회공헌 활동과 잠재적 CSV 사업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사례 토론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CSR, CSV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분석 틀에 대한 참고 내용을 부록에서 제공하고 있다. 이 사례는 사회공헌 활동, 전략적 CSR과 CSV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자사의 기존 사업을 진단, 분석, 미래전략을 수립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실무적인 도움을 준다. 특히 사회공헌으로 인식되지 못했으나 사회적 가치 창출 효과가 높은 핵심 사업을 CSV 잣대로 재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Althoug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has spread out through the business circle as a business phenomenon, there still exists that misunderstanding CSR. Creating shared value(CSV), evoking syndrome as a promising alternative to CSR, is also facing challenges that need adequate understanding and continue to develop relevant business cases. This case is designed to provide a place for class discussion on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s CSR and CSV activities and strategies based o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CSR and CSV. First, this case presents an extensive list of KEPCO’s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potential CSV cases. Second, a short review of the debates of CSR and CSV, as well as a useful analytic framework in diagnosing CSR and CSV strategies, are provided. This case offers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who wish to diagnose and analyze their firm’s social contribution practices and develop a better and comprehensive CSR and CSV strategies. In particular, the framework of this case can be used to seek and re-evaluate potential CSV activities that have generated social benefits but little recognized as CSV cases.

      • KCI등재

        재조일본인 2세의 식민지 경험

        이수열(Lee, Soo-Yeol)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한국민족문화 Vol.50 No.-

        근대 시기 재조일본인에 대한 연구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최근의 연구는 적어도 이주일본인들을 ‘침략의 첨병’으로만 바라보는 기존의 연구와는 관점을 달리하고 있다. 한마디로 식민지 시기 연구는 ‘수탈이냐 근대화냐’하는 이분법적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의 목적은 재조일본인들을 세대적으로 구분하여, 그중에서도 주로 식민 2세들의 경험과 의식을 그들이 남긴 문학작품이나 체험기를 통해 살펴보는 일이다. 식민 2세란 어린 시절 식민지로 이주해왔거나 또는 식민지에서 출생한 사람을 지칭하는 말로, 그들 대부분은 패전 이후 일본으로 되돌아갔다. 역동적인 역사경험 속에서 형성된 그들의 정신구조는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식민 지배의 책임 분담자로서 강렬한 제국 의식과 사명감으로 무장한 식민 1세들이 확고한 국가관을 지니고 있었던 것에 비해, 식민지에서 태어나 자란 2세들에게 고국은 환상 속에서나 존재하는 의식적인 것에 지나지 않았다. 그들은 일본인이면서 일본을 몰랐다. 자신들이 타자들로 둘러싸인 식민지에서 살고 있다는 사실을 안타깝게 생각했다. 그러한 고향상실자로서의 의식과 식민지적 차별과 수탈 위에 성립하는 그들의 생활은 식민 2세들을 나약하고 무능한 세대로 만들어갔다. 패전 이후 일본에서 식민 2세들에 의한 회상기와 체험담이 출현하기 시작하는 것은 1970년대 전후부터였다. 그것들을 살펴보면 패전 직후의 기아 상태와 곧이어 시작된 고도경제성장 속에 해소된 듯 했던 전후일본사회에 대한 식민 2세들의 위화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출신 식민 3세 시인 무라마츠 다케시는 그러한 식민 2세들의 정체성을 ‘반일본인?반조선인’이라고 표현했다. 식민 2세는 전후일본사회가 망각해온 식민지의 기억을 되살리는, 다시 말해 제국 일본과 현대 일본을 가교하는 존재이기도 하다. 본고가 식민 2세의 역사와 의식구조에 주목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Studies on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are taking on a new aspect. Recent studies, at the least, are assuming a different standpoint from existing researches, which view Japanese settlers as "spearheads of invasion." Simply put, studies of colonial era are welcoming a turning point, breaking away from the dichotomous frame of determining "either exploitation or moder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by generation and to specifically investigate the experience and awareness of the second generation settlers through literature and stories they left behind. The second generation settlers refer to Japanese people who immigrated to the colony when they were young or were born in the colony. Most of them returned to Japan after Japan"s defeat in World War II. Their mental structure formed in the midst of dynamic experiences of the time show complicated aspects. Unlike the first generation settlers who shared a firm viewpoint of state armed with intense imperial consciousness and sense of duty as people sharing the responsibility of colonization, the second generation settlers who were born and raised in the colony regarded their homeland Japan nothing more than a ritual that exists merely in their fantasies. They were Japanese people, and yet were ignorant of Japan. They felt sorry for the fact that they were living in a colony surrounded by others. The awareness as person rid of hometown and the living that came into existence upon colonial discrimination and exploitation made these second generation settlers become feeble-minded and incompetent. The second generation settlers who had returned to Japan after the 1945 defeat started to publish memoirs and stories since the 1970s. Examining these literature, it was found that the sense of incompatibility among the second generation settlers for the post-war Japanese society, which seemed to have healed over with the rapid economic growth of Japan that began right after the post-war famine, was still prevalent among these generation. Muramatsu Takeshi, a poet and a third generation of colonial Korea, described such identity of second generation settlers of colonial Korea as "half Japanese-half Korean." These second generation Japanese settlers of colonial Korea are people who revive the colonial memory that post-war Japan have been neglecting. In other words, they act as a bridge between the Imperial Japan and the Japan today. This is the very reason why the present study underlines the history and consciousness structure of the second generation Japanese settlers of colonial Korea.

      • 근대 일본사상과 상하이

        이수열(Lee, Soo-Yeol)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6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16 No.10

        In modern times, Shanghai was the foreign metro city that most Japanese visited. This article thought about a meaning of Shanghai as the space of the cultural contacts through analyzing some modern Japanese literary works. To say conclusively, among the literary people who noticed Chinese political reality through service in a war and domiciliation with the people who visited Shanghai as a tourist based on exoticism, many differences were watched. The article thought about possibility of the de-nationalism by taking up diverse aspects of such cultural conta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