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군정기 한국 농업 기술기구의 변천과 농업 기술관료

        이송순(Lee, Song Soon) 한국사학회 2020 史學硏究 Vol.0 No.137

        본 연구는 미군정기 농업 기술행정 기구와 조직, 이에 참여한 한국인 관료들의 갈등과 순응과정을 살펴보았다. 미군정은 조선총독부 농업시험장 체제를 인수하여 농업기술 연구를 진행하고자 했으나 시험장의 직급을 급격히 격하시켜 시험장 직원 및 관리자의 반발과 저항을 불러일으켰다. 1947년 12월 농사개량원의 설립은 일제 식민농정의 하향식 관치주의 를 탈피하고자 농무부에서 분리시켜 농업생산력 증가를 위한 연구․교육사업과 민주적 농민지도 사업을 추진하려는 구도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제도적 한계와 정치 상황의 변화로 지속되지 못했다. 일제 관변농민단체였던 조선농회도 민주적 농민단체로의 전환을 추진했지만, 오히려 관제성이 강화되면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미군정기 남한의 농무행정 최고 담당자는 이훈구였다. 초대 농산국장 현근도 미국 유학파였다. 이훈구 - 현근 라인은 미국의 대한정책에 입각하여 자본주의국가 건설에 걸맞는 농무행정을 지향하면서 전체주의적 관치행정을 탈피해 ‘민주적’ 농무행정을 구현한다는 입장이었지만 실현되지 못했다. 해방 이후 일본인 관리 중심의 구조였던 식민지 행정체계의 공백을 메우는 것은 간단한 일이 아니었다. 농사시험장 초대 장장인 계응상은 한국인 관리의 자부심과 실무적 능력 배양을 위한 과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었으나 미군정과의 소통 부재와 불화로 6개월여 만에 해임되었다. 후임자 김호직은 미군정에 대한 협력과 순응의 태도를 보였으나 농사 시험장은 침체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agricultural technocratic organizations of Korea during the U.S. Military rule and the Korean technocrats’ initial conflict and subsequent compliance with the U.S. Military rule.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GIK) adopted Joseon Government General’s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s system as it was but lowered the Stations’ technocrats staff level by more than three ranks, which causedthe technocrats’ opposition and resistance. The USAMGIK established Agricultural Improvement Service in Dec.1947 to deviate from top-down agricultural technocracy of the colonial period. Agricultural Improvement Service was separated from the Agricultural Department to initiate research and educational projects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encourage democratic practices in agricultural businesses. However, systematic limitations and volatile political landscape hampered their progress. Korea Agricultural Association, a government-sponsored agricultural organization, attempted to transform into a democratic agricultural organization but failed as its bureaucratic nature became stronger. The Head of Agricultural Department during the US Military rule was Lee Hoon- Koo. The first Chief of Bureau of Agicultural Production was Hyun Kun, who studied abroad in the United States. Lee Hoon-Koo and Hyun Kun together supported the establishment of anti-Communism, capitalistic nation promoted by the United States, while deviating from authoritarian bureaucracy and implementing ‘democratic’ agricultural administration. But such plan did not realize. The first Chief of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s Keh Ung-Sang proposed that the training system to develop practical administrative skills and confidence as Korean administrators. But due to the lack of communication and conflict with the USAMGIK, Keh was laid off in six months. The successor Kim Ho-Jik conformed to and cooperated with the USAMGIK but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s staggered.

      • KCI등재

        1910년대 식민지 조선의 농가경제 분석

        이송순(Lee, Song-Soon) 한국사학회 2011 史學硏究 Vol.- No.104

        이 글은 1910년대 조선 농촌의 농가경제 추이와 농민들의 생활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10년대 농가경제 조사 자료로서 1910~1911년간 向坂幾三郞의 조사 모델로 『한국중앙농회보』(『조선농회보』)에 실린 농가경제조사와 조선총독부 재무국 임시관세조사과에서 1918~1919년간 전년도인 1917년의 농가경제상황을 조사, 정리한『農家經濟狀況調査書』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농촌의 각 계층별 농가경제 양상을 살펴보았다. 1910년대 조선 농촌사회와 농가경제는 이러한 혼돈과 소용돌이 속으로 접어들었다. 지주-상농층(지주, 부농)은 농업 수입을 중심으로 잉여를 얻을 수 있었고, 점차 미곡상품화가 촉진되면서 이윤증대와 확대재생산의 여지가 커졌다. 이들은 이익금으로 다시 토지를 매입하면서 식민지지주로 변신하며 ‘식민지지주제’가 확대 발전하였다. 하농층은 경작토지면적과 비례하여 농업수입은 적었고, 오히려 식량의 구매자로 유통과정에 존재했다. 이들은 식량 구매를 위한 수입원으로서 임노동과 영세 행상, 짚신 등의 간단한 품목의 제조 등에 종사했다. 중농층은 농업수입을 근간으로 하면서도 직포와 같이 일정한 노동수단과 기술을 요하는 고도의 부업적 가내수공업이 영위하였으나 자본주의 상품의 침투로 점차 몰락, 하농화의 길로 내몰렸다. This thesis analyzes the changes in Chosun’s farm household economy and the living conditions of farm household in 1910s. The farm household economy in 1910s turned into a mixture of traditional distribution structure and colonial economic structure. This phenomenon had different impact on each class in agricultural economy. The well-off class in agricultural economy, usually landlords and wealthy farmers started to have surplus produce. Also, as the rice commercialization kicked in, they were able to increase their profit and reproduce in enlarged scale. From their profit, they purchased more land and transformed into colonial landlords which led to the expansion of colonial landlordly. The poor class in agricultural economy made small amount of income compared to the acreage they cultivated and in fact, were the purchaser of agricultural produce. In order to afford food, these people worked as laborers, street vendors and producers of simple items such as straw shoes. The middle class in agricultural economy earned money by engaging in high level cottage industry such as textile manufacturing, aside from profits they made by farming. However, due to the expansion of capitalism, their income began to decrease and eventually became a part of the poor class.

      • KCI등재후보

        경계의 소멸과 다시 쓰는 지리학

        이송이(LEE Song-Yi)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2 프랑스문화연구 Vol.24 No.-

        Les villes colonisées se sont construites hégémoniques et uniformisées par l’Empire colonial français. Parce que celui-ci a bien réalisé la valeur stratégique de l’organisation de l’espace. L’urbanisme colonial vise ainsi à uniformiser le plan de la ville colonisée en privilégiant le centre européen hégémonique, par rapport à la périphérie lointaine et indigène. Pendant l’occupation française, Saïgon, ancienne capitale de la Cochinchine, s’est située sous la hiérarchie verticale. Un barrage contre le Pacifique et L’Amant, textes de Marguerite Duras le témoignent bien. En même temps, ces oeuvres remettent en cause cette ordre monolithique et bloquée qui domine l’espace urban de Saïgon. Dans ces deux textes, la structure de la ville est très clairement expliquée en termes de géométrie, d’opposition des races et des classes. Pourtant, les héroïnes rebelles ont le rôle d’abolir les frontières des différents mondes bien divisés dans cette ville et de finalement subvertir l’ordre colonial. Ainsi, les lieux centraux, le quartier des blancs civilisés renaissent sous le signe du désordre naturel. Les passages des adolescentes permettent de favoriser la circulation entre deux zones bien separés et de désancrer un espace bloqué. À travers cette ville colonisée, ces héroïnes durassiennes prévoient l’avenir de cette ville. Elles anticipent à l’avance, le moment où les zones délimitées seront brouillées et que émergeront les voix indigènes du monde post-colonial.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이합리적 진로의사결정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이송이 ( Song Yi Le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4 청소년복지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진로의사결정유형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 D 대학에 재학 중인 교양과목을 수강한 학부생들 2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인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성별과 학년에 따른 자아정체감,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자아정체감,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성숙도 각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정체감 하위 변인들의 상대적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자아정체감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주체성, 자기수용성, 목표지향성, 주도성, 친밀성에 대한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진로의사결정에서는 합리적 유형의 경우는 남자가 여자에 비해 더 높게 인식하는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관적 유형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에서는 결정성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게 인식하였으며, 성향에서도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대학생 학년별로 자아정체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주체성과 자기수용성에서 대학생 학년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주체성의 경우 1학년 집단이 3학년과 4학년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자기수용성에서는 1학년 집단이 3학년 집단 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진로의사결정유형에서는 합리적 유형에서 1학년 집단이 3학년 집단에 비해 더 낮게 나타났고 진로성숙도에서는 대학생의 학년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의사결정유형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아정체감의 하위구인들(주체성, 자기수용성, 미래확신성, 목표지향성, 주도성, 친밀성)과 합리적 유형이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또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의 합리적 유형에 대해 주체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주체성이 높게 나타날수록 합리적 유형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의 하위 구인들인 주체성, 자기수용성, 미래확신성, 목표지향성, 주도성은 진로 성숙도의 하위구인인 결정성, 참여도, 독립성, 성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즉,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대해 자기수용성과 미래확신성, 주도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자기수용성, 미래확신성, 주도성이 높게 나타날수록,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effects of self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on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maturity. Subjects were 226 college students who are in D university.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t-tests, Pearsion`s correlation, and multil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revealed that subjecthood, oneself-receptiveness, pursuic of goal, initiative and intimacy in self identity of 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scores for rationale type of career decision-making of male university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ile the scores for an intuitive type of career decision-making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university students. Male university students got higher scores for determinacy and disposition of career maturity.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hood and oneself-receptiveness of self identity for each university year. The subjecthood of freshmens were lower than of juniors and seniors, and oneself-receptiveness of freshmens was lower than that of juniors. The scores of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type for the freshmens were lower compared to junior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among the university years. The correlation showe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in self identity (subjecthood, oneself-receptiveness, pursuit of goal, initiative and intimacy) with the rational type. Furthermore,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in self identity and subjecthood, (oneself- receptiveness, pursuit of goal, initiative and intimacy) with the career maturity (determinacy, participation, independence and disposition).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인 식생활의 지역성과 식민지성

        이송순(Lee, Song-Soon) 고려사학회 2019 한국사학보 Vol.- No.75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한반도 식생활의 지역성과 일본으로 이주한 재일조선인의 식생활 양상을 통해 식민지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조선총독부 농업관료였던 히사마겐이치(久間健一)의 연구를 통해 일제강점기 한반도 식생활의 지역성을 살펴보았다. 주식은 전체적으로 쌀만을 섭취하는 경우는 13%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보리 및 다양한 잡곡을 혼용하였다. 이를 지역적으로 나눠보면 쌀·보리(米麥)를 중심으로 하는 남선 7도와 잡곡을 중심으로 하는 서북선의 6도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주식은 자연적 조건에 따른 농업생산과 밀접한 연관을 보이고 있다. 일제시기 조선의 쌀 생산량은 증가하였지만 1인당 소비량은 감소했다. 결코 쌀이 주식이 될 수 없었던 식민지배하의 한반도의 상황과 대면하게 된다. 부식은 뚜렷한 자연적 지역성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동물성 단백질을 전혀 섭취하지 않는’ 식생활이 무려 30%에 달한다는 점이다. 이를 지역적으로 살펴보면 자연적 조건이 나쁜 평안남도 및 함경남북도가 남부지역에 비해 오히려 부식물의 소비 패턴에서는 더 ‘고급스러운’ 면을 보인 것은 사회경제적 요인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식민지지주제에 의한 수탈이 가중된 남부지역에 비해 척박한 자연환경으로 인해 미곡 상품화가 적게 진행된 서북선 지역에서 오히려 개별 농가 경제는 숨을 쉴 수 있었다. 다음으로 재일조선인의 식생활 양태를 살펴보았다. 일제 식민지기 조선인 일본 도항의 가장 큰 이유는 농업부진과 생활난이었고, 일본으로 이주한 조선인은 일본의 도시지역에서 노동자나 날품팔이의 하층 계급으로서 살아가게 되었다. 그런데 재일조선인의 식생활은 한반도 거주 조선인에 비해 더 열악한 상황은 아니었다. 특히 재일조선인은 주식으로 ‘백미’를 섭취하고 있었다. 1920년대 이후 일본의 ‘백미Boom" 시대는 식민지 수탈을 통해 가능했다. 조선총독부는 쌀증산을 외쳤지만, 조선인의 밥상에는 쌀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일본의 가난한 노동자도 먹을 수 있는 쌀밥을 한반도 거주 대부분의 조선인은 먹을 수 없었다는 것은 일본제국주의의 조선 식민지배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regional differences of dietary habit in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 Imperial Japan and the dietary habit of Korean in Japan of that period. I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at time, only 13 percent of the population consumed rice as staple, and the restconsumed the combination of various types of grains including barley. Those living in the 7 Do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peninsula primarily had rice and barley, while those in the 6 Dos in the north western region had the combination of various types of grains. Staple food has a strong association with the agricultural production affected by the natural circumstances. Under the Imperial Japanese rule, the gross production of rice in Joseon increased but individual consumption of rice decreased. There is no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in side dishes. However, 30 percent of the population consumed no animal protein whatsoever. Pyungannam-do and Hamkyungnam/Hamkyungbuk-do, the two regions with relatively less favorable natural conditions, in fact showed a more “sophisticated” dietary pattern when it came to the consumption of side dishes than their counterparts in the south. And such pattern is related to socioeconomic circumstances of each region. The southern regions were subjected to exploitation by the colonial landlord system whereas the north was able to develop with the industrialization effort. The dietary habit and pattern of the Koreans in Japan were analyzed. The biggest reason that the Joseon people migrated to Japan during that time was due to famine and financial struggles, and the Joseon people who relocated to Japan lived in the urban areas as the lowest class. However, the dietary pattern of the Koreans in Japan were not as bad as those remained in the peninsular despite being in the lowest class. Most of the Koreans in Japan ate rice as their staple. The fact that the poor laborers in Japan could still consume rice while most people in Joseon could not portrays the stark reality of Joseon under the control of the Imperial Japan.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한반도 식생활의 지역성과 일본으로 이주한 재일조선인의 식생활 양상을 통해 식민지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조선총독부 농업관료였던 히사마겐이치(久間健一)의 연구를 통해 일제강점기 한반도 식생활의 지역성을 살펴보았다. 주식은 전체적으로 쌀만을 섭취하는 경우는 13%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보리 및 다양한 잡곡을 혼용하였다. 이를 지역적으로 나눠보면 쌀·보리(米麥)를 중심으로 하는 남선 7도와 잡곡을 중심으로 하는 서북선의 6도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주식은 자연적 조건에 따른 농업생산과 밀접한 연관을 보이고 있다. 일제시기 조선의 쌀 생산량은 증가하였지만 1인당 소비량은 감소했다. 결코 쌀이 주식이 될 수 없었던 식민지배하의 한반도의 상황과 대면하게 된다. 부식은 뚜렷한 자연적 지역성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동물성 단백질을 전혀 섭취하지 않는’ 식생활이 무려 30%에 달한다는 점이다. 이를 지역적으로 살펴보면 자연적 조건이 나쁜 평안남도 및 함경남북도가 남부지역에 비해 오히려 부식물의 소비 패턴에서는 더 ‘고급스러운’ 면을 보인 것은 사회경제적 요인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식민지지주제에 의한 수탈이 가중된 남부지역에 비해 척박한 자연환경으로 인해 미곡 상품화가 적게 진행된 서북선 지역에서 오히려 개별 농가 경제는 숨을 쉴 수 있었다. 다음으로 재일조선인의 식생활 양태를 살펴보았다. 일제 식민지기 조선인 일본 도항의 가장 큰 이유는 농업부진과 생활난이었고, 일본으로 이주한 조선인은 일본의 도시지역에서 노동자나 날품팔이의 하층 계급으로서 살아가게 되었다. 그런데 재일조선인의 식생활은 한반도 거주 조선인에 비해 더 열악한 상황은 아니었다. 특히 재일조선인은 주식으로 ‘백미’를 섭취하고 있었다. 1920년대 이후 일본의 ‘백미Boom" 시대는 식민지 수탈을 통해 가능했다. 조선총독부는 쌀증산을 외쳤지만, 조선인의 밥상에는 쌀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일본의 가난한 노동자도 먹을 수 있는 쌀밥을 한반도 거주 대부분의 조선인은 먹을 수 없었다는 것은 일본제국주의의 조선 식민지배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regional differences of dietary habit in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 Imperial Japan and the dietary habit of Korean in Japan of that period. I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at time, only 13 percent of the population consumed rice as staple, and the restconsumed the combination of various types of grains including barley. Those living in the 7 Do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peninsula primarily had rice and barley, while those in the 6 Dos in the north western region had the combination of various types of grains. Staple food has a strong association with the agricultural production affected by the natural circumstances. Under the Imperial Japanese rule, the gross production of rice in Joseon increased but individual consumption of rice decreased. There is no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in side dishes. However, 30 percent of the population consumed no animal protein whatsoever. Pyungannam-do and Hamkyungnam/Hamkyungbuk-do, the two regions with relatively less favorable natural conditions, in fact showed a more “sophisticated” dietary pattern when it came to the consumption of side dishes than their counterparts in the south. And such pattern is related to socioeconomic circumstances of each region. The southern regions were subjected to exploitation by the colonial landlord system whereas the north was able to develop with the industrialization effort. The dietary habit and pattern of the Koreans in Japan were analyzed. The biggest reason that the Joseon people migrated to Japan during that time was due to famine and financial struggles, and the Joseon people who relocated to Japan lived in the urban areas as the lowest class. However, the dietary pattern of the Koreans in Japan were not as bad as those remained in the peninsular despite being in the lowest class. Most of the Koreans in Japan ate rice as their staple. The fact that the poor laborers in Japan could still consume rice while most people in Joseon could not portrays the stark reality of Joseon under the control of the Imperial Japan.

      •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소형펀치-크리프 시험에 관한 연구

        이송인(Song-In Lee),백승세(Seoung-Se Baek),권일현(Il-Hyun Kwon),나의균(Eui-Gyun Na),유호선(Hyo-Sun Yu) 대한기계학회 200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1 No.8

        A basic research is performed to ensure the usefulness of small punch-creep(SP-Creep) test for residual life evaluation of heat resistant components effectively. This investigation presents analytical results of initial stress and strain distributions in SP specimen caused by constant loading for SP-Creep test performed on 9CrIMoVNb steel. It is shown that the initial max. equivalent stress, σ<SUB>eqㆍmax</SUB> from FE analysis is successfully correlated with steady-state equivalent creep strain rate,ε<SUB>qf-ss</SUB> and rupture time, t<SUB>r</SUB> from SP-Creep test.

      • KCI등재

        자비에 돌란 Xavier Dolan의 <로렌스 애니웨이(Laurence Anyways)>, <탐앳더팜(Tom à la ferme)>에 나타난 탈정체성의 공간화

        이송이(LEE Song Yi)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7 프랑스문화연구 Vol.35 No.2

        Jeune prodige du cinéma québécois, Xavier Dolan présente toujours des films incontournables au sein du cinéma québécois. Ses oeuvres montrent ainsi le portrait d’une place particulière et originale dans l histoire du cinéma québécois. Dans Laurence Anyways et Tom à la ferme, les limites entre l’espace social et celui de l intime deviennent floues. Ces deux films permettent aux spectateurs de percevoir l imaginaire comme le seul cadre ayant le pouvoir de définir les lieux. Les personnages circulent d’un endroit à un autre sans appartenance particulière comme si les lieux ne les influençaient en aucune façon. Chez Dolan, la trajectoire identitaire des héros révèle souvent le lien étroit avec cette liberté concernant la spatialisation. Libérés des cadres traditionels spatiaux, les protagonistes confirment leur identité à l’écart de la loi traditionnelle occidentale. Ce problème identitaire illustre d une certaine manière la question identitaire de la nationalité québécoise. En raison des communautés extérieures qui le composent, le Québec se transforme aujourd hui comme une société davantage ouverte et davantage tendue vers la communication. Construits sur la diversité et l’universel, les images et les discours dans Laurence Anyways et Tom à la ferme paraissent en rupture avec le nationalisme bien marqué du cinéma québécois traditionnel. Si le film était considéré comme un miroir de la société, les oeuvres cinématograpiques dolaniennes pourraient représenter un miroir apatride du Québéc. Original par rapport à ses prédécesseurs, Dolan interroge la véritable identité québécoise via sa propre esthétique cinématographique. Ses films ouvrent des perspectives entre le Même et l’ Autre en récusant des définitions identitaires fermé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