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충전층에 따른 흡수식 제습장치의 성능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세용,차경옥 明知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0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19 No.-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packed tower for liquid desiccant absorption dehumidifier system using as lithium chloride-water solution we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The effect of operating parameters such as packed tower height and packing material size was analyz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guide of optimal design conditions for absorption dehumidifier system.

      • 충진탑식 흡수 제습장치의 성능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세용,차경옥 明知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0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19 No.-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packed tower for absorption dehumidifier system using liquid desiccant was analyzed experimentally with packing materials. Operating parameters were solution temperature, solution flow rate, solution concentration, inlet air temperature, air absolute humidity, air flow rate. With experimental data, dehumidification rate, contact efficiency and absorbing potential were calcul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optimal design conditions for absorption dehumidifier system.

      • KCI등재

        제왕절개술의 임상적 고찰

        김철,위성년,문은주,이학림,임수현,이세용 대한산부인과학회 199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4 No.2

        저자는 만 6년간(1983년 1월 1일~1988년 12월 31일) 부산 성분도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였던 산모 10,162예 중 제왕절개술을 시행하였던 1,801예에 대한 임상 통계학적 관찰을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제절의 빈도는 총 분만 산모의 17.7%이었고, 매년 증가하다가 최근 2년(1987년, 1988년)동안은 약간 감소하였다. 2. 연령별 분포는 26~30세군이 전체의 63.7%로 가장 많았고, 21~25세군이 21.4%, 31~35세군이 11.6%의 빈도를 나타내었으며 평균연령은 27.7세이었다. 3. 임신주수별 분포에서 임신 39~40주군이 55.4%로 가장 많았고, 임신 39~42주사이에 76.8%로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4. 1차제절의 적응증은 아두골반 불균형이 전체의 47.7%로서 가장 높은 빈도이었고, 다음이 골반위, 태아절박증, 전치태반 및 자궁수축부전의 순위이었다. 미경산부와 경산부로 분류하여 관찰하였을 때, 미경산부의 제절 적응증의 빈도 순위는 1차제절과 유사하였으나, 경산부에서는 골반위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다음이 아두골반 불균형, 전치태반 등의 순위로 나타났다. 반복제절의 적응증은 선택적 반복제절이 96.6%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골반위, 전치태반의 순위로 나타났다. 5. 제절술식은 자궁협부횡절개술이 98.1%로 거의 대부분의 경우 시행되었고, 자궁체부종절개술은 1.6%이었다. 제왕절개 자궁적출술은 6예(0.3%)에서 시행되었고, 이의 적응증은 전치태반으로 인한 심한 출혈, 전치태반이 있었다. 6. 제절과 병행된 수술은 난관결찰술이 21.9%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충수돌기절제술 9.8% 및 자궁부속기절제술 0.5%의 빈도를 보였다. 7. 제절시 실혈량은 500~999 ml군이 64.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000~1499 ml군이 33.4%이었다. 마취방법은 전신마취가 79.0%, 척수마취가 21.0%에서 시행되었다. 8. 모성 이환율은 전체의 6.8%이었고, 이 중 산욕열이 3.1%, 창상감염이 2.2%의 빈도를 보였다. 빈혈정도와 모성 이환율의 관계에서 입원시 혈색소치 10 mg%이하군(22.1%)에서 모성 이환율은 10.7%와 10 mg 이상군에서는 13.8%의 이환율을 나타내어서, 빈혈정도가 심한 경우 오히려 모성 이환율이 감소하였다. 9. 신생아 평균 체중은 3.28 kg이었으며, 3000~3499 gm군이 전체의 44.0%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10. 주산기사망율은 0.49%이었고, 사산의 원인은 원인불명, 태반조기박리이었다. 11. 모성사망은 없었다. Clin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retrospectively, based on the charts of 1801 cases of cesarean section out of 10,162 deliveries from January, 1983 to December 1988 at the St.Benedict hospital, Busan,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10,162 deliveries with 1801 cases of Cesarean section, giving an incidence of 17.7%, The primary Cesarean section rate was 11.4% and repeat Cesarean section rate was 3.3%. 2. According to the age distribution 63.7% of total cases were between 26~30 year old group, 21.4% between 21~25 year old group and 18.4% between 31~35 year old group. The mean age was 27.7 year old. 3. The greatest portion(55.4%) of the cases was done between 39~40 gestational weeks group and 76.8% of the cases was done between 39~42 weeks. 4. Indication of primary Cesarean section were C.P.D.(47.7%), breech presentation(25.9%), fetal distress(5.7%), placenta previa(4.0%) and miscellaneous. In nullipara, indications were similar to above in order. But in multipara, breech presentation was the highest incidence, 43.3% and C.P.D., placenta previa, fetal distress in order. 5. In the types of operation, lower cervical transverse incision was the most common(98.1%), classic type was 1.6% in rate and Cesarean hysterectomy was 0.3% in rate. The most common indication of Cesarean hysterectomy was uncontrolled bleeding from placenta previa. 6. In the incidental operation during Cesarean section, the tubal ligation was the most common(21.9%) and then Incidental appendectomy was 9.8% and salpingoophorectomy was 0.4% in rate. 7. 64.4% of the cases belonged to 500~900 ml blood loss group, and 1,000~1,499 blood loss group 33.4%, In the type of anesthesia, general anesthesia was performed 79.0% of total cases and spinal anesthesia was done 21.9%. 8. The rate of maternal morbidity was 6.8%, of which puerperal fever was 3.1%, and wound infection was 2.2% in rate. 9. In the relation of Hb. level and maternal morbidity, Hb. 10 gm% or less group revealed 10.7% of maternal morbidity and Hb. 10 gm% or over group revealed 13.8% of maternal morbidity. 10. The mean weight of the new bron baby was 3.29kg. The greatest portin(44.0%) belonged to 3,000~3,499 gm group. 11. Pernatal mortality was 0.49% and the most comon cause of neonatal death was abruptio placenta. 12.There was no materal dea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