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입생의 기숙형 대학(Residential College) 생활 지원을 위한 통합 서비스 디자인 연구

        정인혜(Inhye Jung),이설아(Seolah Lee),이세영(Se Young Lee),윤도경(Do Kyung Yoon),유지웅(Jiwoong Yoo),김현경(Hyoun Kyoung Kim),백준상(Joon Sang Baek)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입생의 기숙형 대학(Residential College, 이하 RC) 생활을 지원하는 통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특히 서비스 이용자인 신입생이 RC 생활을 통해 건강증진 생활습관까지 함양하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자아정체감 확립 및 심리·사회적 성장이 촉진되는 초기 성인기에 정착된 건강행동은 개인의 향후 건강행위 및 사회보건 문제와도 연관된다. 그러나 전인적 발달을 목표로 하는 RC 제도에서 지속적인 건강행동에 대한 중재는 아직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단일 사례연구를 통하여 RC 구성원의 요구를 파악하고 기존 서비스를 분석하여 통합 플랫폼 모형을 제시한 다음 MVP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한 서비스개발은 RC 를 구성하는 주체(신입생, Residential Assistant, RC 교육원)의 편의성을 고려하는 한편, 초기 성인기에 진입한 신입생의 균형 잡힌 건강발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병렬적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중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 변화궤적: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조규영 ( Kyuyoung Cho ),이설아 ( Seolah Lee ) 대한가정학회 2020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8 No.3

        This study examined the trajectories of the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dle and old aged couples for 8 years. This study focused on middle and old aged couples who were relatively uninterested in family research. Using the 1-5 Waves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2006-2014, the study included 635 middle and old aged couples whose husbands were 65-74 years old at baseline. First, a latent growth model indicated that a husband’s and wife’s marital satisfaction trajectories decreased over time. Second, a parallel latent growth model indicated that a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trajectories decreased more quickly, when the initial level of their own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er (husband’s actor-effect); in addition, a wife’s marital satisfaction trajectories also decreased more quickly, when the initial level of their own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er (wife’s actor-effect). Wife’s marital satisfaction trajectories decreased more slowly, when the initial level of their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er (husband’s partner-effect); however, the husband’s slope was not associated with the initial level of their wife’s. The methodological value of this work shows the application of a parallel latent growth model that includes the actor and partner effect of APIM. The findings extend our understanding of longitudinal marital dynamics between couples and promote a study on the trajectories of marital satisfaction at stages of the family life cycle.

      • KCI등재

        베이비박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양육미혼모의 출산과 양육에 관한 연구

        박동진(Park Dongjin),김혜성(Kim Haesung),김희숙(Kim Heesook),이설아(Lee Seolah),엄주희(Eom Juhe),권오용(Kweon Oyo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7 No.-

        본 연구는 베이비박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양육미혼모의 출산과 양육 경험을 탐구한 것이다. 미혼모로서 어려운 여건 속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기를 출산하고, 그 이후 베이비박스에 아기를 두고 간 경험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또한 자녀 양육을 선택한것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베이비박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양육미혼모 5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에서부터 11월까지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 자료에 대해 질적 사례연구방법에 근거하여 사례 내 분석과 사례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범주 11개, 하위범주 28개, 개념 48개가 도출되었다. 범주는 〈원 가족에서의 경험〉, 〈아동의 부모와의 관계〉, 〈임신사실의 인지〉, 〈임신사실에 대한 아동부모의 상이한 대응〉, 〈임신 및 출산에 대한 가족의 거센 반응〉, 〈아동양육과 관련된 결정과정에서의 갈등〉, 〈아동에 대한 부모의 인식변화〉, 〈제도의 불합리 성〉, 〈베이비박스의 이용〉, 〈아동양육을 위한 외부로부터의 지원〉, 〈미래를 위한 자신의 노력〉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양육미혼모의 출산 및 양육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ㆍ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이들의 생활상의 빈곤, 양육스트레스 등을 완화하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child birth and parenting of unmarried single mothers who once were service users of baby box.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i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giving birth to a baby, We also aim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making decision for child raising by themselves. To doing so,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of five unmarried single mothers who had experiences in using baby box from May to November, 2015. We employe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1 categories, 28 subcategories, and 48 concepts were derived. The categories are: experiences in the original family,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the child, recognition of the fact of pregnancy, different responses of the parents to the fact of pregnancy, family reaction to pregnancy and childbirth, 〈Conflict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related to child care〉, 〈Changes in parental awareness of children〉, 〈Irrationality of the system〉, 〈Use of baby box service〉, 〈External support for child care〉, and 〈Efforts for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policy and practices for supporting the child birth and upbringing of unmarried mothers were discussed, and strategies for alleviating their poverty and parenting stress were suggested.

      • KCI등재

        베이비박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양육미혼모의 출산과 양육에 관한 연구

        박동진(Park Dongjin),김혜성(Kim Haesung),김희숙(Kim Heesook),이설아(Lee Seolah),엄주희(Eom Juhee),권오용(Kweon Oyo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베이비박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양육미혼모의 출산과 양육 경험을 탐구한 것이다. 미혼모로서 어려운 여건 속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기를 출산하고, 그 이후 베이비박스에 아기를 두고 간 경험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또한 자녀 양육을 선택한 것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베이비박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양육미혼모 5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에서부터 11월까지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 자료에 대해 질적 사례연구방법에 근거하여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범주 11개, 하위범주 28개, 개념 48개가 도출되었다. 범주는 <원 가족에서의 경험>, <아동의 부모와의 관계>, <임신사실의 인지>, <임신사실에 대한 아동부모의 상이한 대응>, <임신 및 출산에 대한 가족의 거센 반응>, <아동양육과 관련된 결정과정에서의 갈등>, <아동에 대한 부모의 인식변화>, <제도의 불합리성>, <베이비박스의 이용>, <아동양육을 위한 외부로부터의 지원>, <미래를 위한 자신의 노력>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양육미혼모의 출산 및 양육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ㆍ 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이들의 생활상의 빈곤, 양육스트레스 등을 완화하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child birth and parenting of unmarried single mothers who once were service users of baby box.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i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giving birth to a baby, We also aim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making decision for child raising by themselves. To doing so,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of five unmarried single mothers who had experiences in using baby box from May to November, 2015. We employe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1 categories, 28 subcategories, and 48 concepts were derived. The categories are: experiences in the original family,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the child, recognition of the fact of pregnancy, different responses of the parents to the fact of pregnancy, family reaction to pregnancy and childbirth, <Conflict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related to child care>, <Changes in parental awareness of children>, <Irrationality of the system>, <Use of baby box service>, <External support for child care>, and <Efforts for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policy and practices for supporting the child birth and upbringing of unmarried mothers were discussed, and strategies for alleviating their poverty and parenting stres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