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장 세그먼트의 패러독스

        이상묵(Sangmook Yi) 한국전략경영학회 2008 전략경영연구 Vol.11 No.2

        본 논문은 미국 항공 산업의 자료를 사용하여, 시장 세그먼트(market segment)에서의 경쟁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다계층적(multi-level) 논리를 통하여 분석한다. 전략적 유사성으로 구분되는 전략그룹이나 조직간 자원 유사성을 기반으로 시장니치를 구분하는 자원분할이론과 같이 시장 세그먼트는 기업간 경쟁방식을 분석하기 위한 핵심논리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시장 세그먼트와 관련된 다양한 논의들은 방법론적 측면과 이론적 측면 모두에서 합의를 도출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방법론적 측면에서 시장 세그먼트를 구분하는 다양한 방법들은 서로 다른 목적을 지닌 연구들에 적용되기 어려운 적용가능성의 한계를 지니며, 이론적 측면에서 다양한 연구들은 시장 세그먼트의 효과에 대한 서로 상충되는 주장을 포함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간 네트워크의 구조적 위치를 분석하는 블록모델을 사용하여 시장 세그먼트를 구분하는 좀 더 엄밀한 방법론을 제안하며, 이를 기반으로 시장 세그먼트에서 나타나는 기업간 경쟁의 복합적인 영향력을 세그먼트 수준(segment level)의 공생효과, 세그먼트내 수준(within segment level)의 경쟁효과, 그리고 세그먼트간 수준(between segment level)의 브로커리지 효과 등의 차별적인 효과로 각각 분리하여 검증한다. 1978년부터 2000년간 미국 항공사간 공동운항 네트워크 자료를 사용한 실증분석의 결과, 본 연구가 제시하는 세 가지 분석수준의 요인들은 모두 항공사의 시장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장 세그먼트를 통한 기업간 경쟁관계를 다루는 연구들을 위한 방법론적 기틀을 제공하며, 각기 다른 분석수준에 집중하는 기존연구들의 이론적 함의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기틀을 제공한다. The effects of market segments identified by similarities in resource bases or competitive strategies have been often investigated in the existing literatures. Nevertheless, scholars have neither been able to reach an agreement neither on method nor on theory concerning the dynamics of market segments, because diverse methods for the identification of market segments are not generally applicable to various different research purposes and also because there have been few attempts for the integration of various conflicting claims concerning the effects of market segments. In this regard, the current study attempts to propose a rigorous method for the configuration of market segments based on structural positions in inter-firm networks and subsequently analyze the effects of inter-firm interactions in and around market segments at three different levels. The current study uses blockmodeling that identifies differing positions in terms of structural equivalence, and argues that various existing theories that seemingly deal with competition among firms with similar resources are, in fact based on different logics each of which applies to a different level, by empirically examining the effects of market segments at three different levels - i.e. segment level, within segment level, and between segment lev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that used 505 data points constituted by 58 U.S. airline companies, all the factors at the three different levels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firm performances. That is, segment size at the segment level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structural constraint at the within segment level turned out to have a negative effect, and between segment brokerage at the between segment level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 KCI등재

        A Multidimensional Model of Institutional Embeddedness: The Adoption of Unconventional Therapies by Conventional Hospitals

        이상묵(Sangmook Yi),박상찬(Sangchan Park) 한국인사조직학회 2013 인사조직연구 Vol.21 No.3

        이 연구는 제도화된 환경에 배태된 조직이 어떠한 조건하에서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가를 다룬다. 조직의 변화에 대한 제도이론적 시각의 연구들은 새로운 조직관행 및 구조의 채택이 경제적 효율성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이러한 행위가 당연시됨으로써 발생되는 제도적 압력에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들은 조직이 이러한 제도적 환경에 배태된 정도에 따라, 새로운 변화에 노출되고 반응하는 정도가 달라질 것이라고 예측한다. 이러한 논리에 따라 제도이론을 따르는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제도환경에 대한 조직배태성을 각 조직이 필드 내에서 차지하는 중심과 주변이라는 이분화된 위치를 통해 그 영향력을 구분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이분법적 구분을 통해 제도적 압력에 따른 조직의 행동을 예측하는데에는 몇 가지 문제점들이 있다. 새로운 제도변화를 수용하려는 의지와 그러한 제도변화를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구분하여 본다면, 기존의 제도환경에서 중심부를 차지하는 조직은 새로운 제도변화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킬 능력을 보유한 반면 새로운 제도를 채택할 필요성을 느끼기 어렵다. 반대로 주변부에 있는 조직은 새로운 제도변화를 기회로 삼으려는 의도는 있으나, 이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는 능력이 결여되어 있다. 흔히 배태성의 패러독스로 알려진 이러한 괴리는 기존의 제도환경에 대한 조직의 배태성이 중심 또는 주변이라는 단일한 지표를 통해 측정되었을 경우, 제도변화에 대한 영향력을 적절히 예측할 수 없다는 사실을 잘 알려준다. 반면 이 연구는 조직의 배태성이 지니는 특성을 상반된 두 가지의 측면에서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제도적 환경 속에 오직 하나의 제도적 정당성만이 존재할 수 있다고 파악하던 과거의 연구와는 달리, 최근의 제도주의 연구들은 조직필드 내에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제도적 논리와 그에 의해 지지되는 정당성이 각자의 분리된 영역에서 공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한 조직의 배태성을 두 가지 측면에서 구분하여, (1) 그 조직이 제도환경에 얼마나 강하게 속해있는가와 함께 (2) 다양하고 차별적인 정당성의 요소들을 얼마나 폭넓게 지니고 있는가를 분리하여 살펴볼 수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핵심적인 주장이다. 이러한 논리를 기반으로 이 연구는 배태성이 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서로 독립적 인 두 가지의 다른 요인들을 통해 파악한다. 두 요인들 중 하나는 배태된 조직이 얼마나 다양한 종류의 제도적 정당성을 활용할 수 있는가를 표현하는 배태성의 범위(embeddedness scope)이다. 이는 서로 다른 제도적 논리에 근거한 파편화된 제도환경에서 조직의 정당성이 얼마나 광범위한 지지를 얻을 수 있는가를 의미한다. 배태성의 범위가 넓은 조직은 상대적으로 다양한 집단이 요구하는 제도적 정당성을 포괄할 수 있으므로, 어느 한 집단의 요구에 전적으로 행동을 제약 받을 필요가 없고 제도변화에 필요한 자원을 다양한 원천으로부터 조달할 수 있다. 따라서 배태성의 범위가 넓은 조직은 새로운 관행 및 구조를 좀 더 적극적으로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두 요인들 중 다른 하나는 제도적 필드 내에서 조직이 어느 정도의 대표성을 지니는 구성원으로 자리잡고 있는가를 표현하는 배태성의 강도(embeddedness strength)이다. 이는 기존의 제도환경에서 당연시 되는 공통의 요소들에 해당 조직이 얼마나 강하게 밀착되어 있는가를 의미한다. 배태성의 강도가 높은 조직은 기존 제도에서 널리 통용되는 공통적 요소에 고착되어 정당성을 얻고 있으므로, 기존 제도와 유리된 새로운 관행을 채택하는 데 상대적으로 소극적일 것이다. 이 연구는 미국 의료산업을 실증연구의 맥락으로 삼고, 과학적으로 확립된 정통의학요법을 제공하던 병원들이 비정통적 대안치료요법을 공식적으로 추가 채택하는 현상을 통해 이론적으로 도출된 두 가지 배태성의 효과를 검증한다. 비정통적 대안치료요법이란 서양의학의 지배적인 치료방법과 의학적 체계와는 다른 원리에 근거한 대안적 치료법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면 침술, 마사지, 자연치유 요법 등이 이러한 부류에 속한다. 이 연구는 1997년부터 2007년까지 뉴욕주 249개 병원들의 대안치료요법의 채택 여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배태성의 범위가 넓은 병원이 대안치료를 채택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배태성의 강도가 큰 병원은 대안치료를 채택할 가능성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 연구가 제시한 제도적 배태성의 두 가지 요인을 구분한 분석이 새로운 조직관행의 채택 및 그로 인한 제도적 변화에 대한 적절한 예측력을 지닌다는 것을 알려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제도화된 환경에서 시도되는 다양한 조직변화와 혁신활동을 다루는 향후 연구에 중요한 This study examines how organizations embedded in an institutional field initiate change. Prior research guided by institutional perspectives has generally focused on a dichotomous measure that recognizes an organization’s central or peripheral position in a field as a simple proxy for institutional embeddedness. In contrast, we argue that institutional influence on change decisions varies according to two distinct dimensions: embeddedness scope, or how widely the organization draws its legitimacy on diverse sources, and embeddedness strength, or how strongly the organization coheres around the best representation of what it means to be a typical member of the field. We examine our arguments in a study of the formal incorporation of unconventional medicine into conventional hospitals in the US health care system. Unconventional medicine includes a group of treatment therapies whose underlying principles rest uneasily with those of dominant medicine. Our findings suggest that hospitals with higher embeddedness scope are more likely to adopt unconventional therapies. The adoption of unconventional therapies is less likely when embeddedness strength is higher. We close by discussing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agency and institutions,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institutional change.

      • KCI등재

        탐색적 혁신을 위한 사업포트폴리오의 조건

        이상묵(Sangmook Yi) 한국전략경영학회 2011 전략경영연구 Vol.14 No.3

        이 연구는 탐색적 혁신을 결정하는 주요한 영향요인으로써 사업포트폴리오의 특성을 분석한다. 조직학습과 혁신관리 분야의 기존 연구들은 창의적이고 탐색적인 혁신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혁신역량 개발이 중요하다고 반복적으로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는 편향된 조직학습이 나타나는 원인 측면의 요인을 상대적으로 무시하는 위험을 낳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직이 유사한 혁신역량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직학습에 대한 서로 다른 수준의 편향성을 보일 수 있는 이유에 대해 답변하기 어렵다는 약점이 있다. 이에 이 연구는 탐색적 혁신성과에 영향을 주는 사업포트 폴리오의 특성으로 원천사업의 창의성, 일회적 납품계약, 사업포트폴리오의 관련성과 같은 세 가지의 요인을 제안한다. 1,932개의 서비스 기업의 혁신 활동 자료를 사용한 실증모형의 검증결과, 이 연구가 제안한 사업포트폴리오의 세 가지 특성은 모두 조직의 탐색적 혁신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business portfolio on the exploratory innovation in organizational learning. Prior researches i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innovation repeated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novation capability as a main cause of exploratory innovation. By doing so, they have generally disregarded the antecedents of biassed organization learning, and could not explain the difference at the degree of exploratory innov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s with same innovation capability. This study suggests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portfolio as main causes of firm"s exploratory innovation: creativeness of founding business, the supply contract based on market transaction, and relatedness of business portfolio. The empirical test using the data of 1,932 service firms, shows all thre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portfolio have th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firm"s exploratory innovation.

      • KCI등재

        채택된 제도의 활용 : 한국 R&D 조직에서 기술로드맵의 실제 활용

        이상묵(Sangmook Yi),신동엽(Dongyoub Shin),이원일(Wonil Lee) 한국전략경영학회 2009 전략경영연구 Vol.12 No.2

        본 논문은 새로운 연구개발 관리기법인 기술로드맵이 채택된 R&D 조직 내에서 활용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새로운 기술이나 관리방법을 도입할 필요성은 다양한 조직관련 논의들의 주요한 관심사로 자리를 잡아왔다. 그러나 조직에 의해 공식적으로 채택된 제도나 기술이 실제 업무수행에서 활용되는 정도는 조직마다 큰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동일한 제도가 채택된 경우에도 각 조직마다 이러한 관리활동이 조직 내로 도입되는 과정에서 매우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라는 것이 본 연구의 주장이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행동의 미시적 수행과정에 관한 논리를 제공하는 조직학습이론에 기반을 두어, 실질적인 조직변화의 정도를 조직의 루틴이 대체되는 과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303개의 연구개발 프로젝트 팀의 자료를 사용한 실증모형의 결과 본 연구가 제시하는 요인들은 모두 기술로드맵이라는 새로운 관리방법의 실질적인 활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구개발 프로젝트가 지니는 기존 루틴의 고착가능성은 새로운 루틴으로서의 기술로드맵의 활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새로운 루틴인 기술로드맵에 대한 구성원의 합의와 이해정도는 기술로드맵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current paper examines the factors that may affect the actual utilization of organizational practices through the empirical study of utilization processes of technology road map which is a newly emerging R&D management tool. While the adoption of organizational or technological practices has been much studied in the literature of management studies, whether those adopted practices are actually utilized has received only scant attention. The degree of actual utilization of an adopted organizational practice varies with organizational units, since the process in which the practice is accepted is different in each unit. In this respect, the current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process in which existing routines are substituted by newly adopted organizational practices, drawing upon the tenets of the organizational learning literature that provide underlying logics for micro organizational behavio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ur empirical analysis that used an original data-set on 303 R&D project teams, all the factors that we hypothesized turned out to affect significantly the actual utilization of technology road map which is a process innovation of R&D management. That is, lock-in to existing routines turned out to have negative effects, whereas degrees of consensus and agreements on the new process among team members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actual utilization of technology road map by R&D teams.

      • Beyond Communitarian Cause : Resource Competition and Inter-Project Performance Variation in Open Source Movements

        신동엽(Dongyoub Shin),이상묵(Sangmook Yi),정의교 한국인사조직학회 2006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 No.1

          This study examines the sources of variation in the mobilization of participants in open source projects. In open source movements (OSM), programmers around the world voluntarily contribute their technological competencies to the collaborative development of free software without explicit expectation of economic return. To explain inter-project variation in the mobilization of participants,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the dynamics of resource competition in OSM projects, each requiring the scarce resources of technological competencies possessed by programmers. Based on the presumption that the performance of each project will be determined by the degree to which its technological niche is advantageous in resource attraction, the current study identifies three key dimensions of niches ? resource popularity, resource standardization, and resource co-attachment ? and tests their effects on the mobilization of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es provide strong support for our framework. While resource popularity turned out to have an inverted U-shape relationship with the mobilization of participants, resource standardiz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other hand, resource co-attachment, the extent to which different technologies are attached to the same programmers, turned out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 거시 조직이론의 필드 구조

        신동엽(Dongyoub Shin),이상묵(Sangmook Yi)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07 연세경영연구 Vol.44 No.2

        본 논문에서는 현재 활발하게 연구되며 거시 조직이론 분야의 발전을 이끌고 있는 자원 의존이론, 조직경제학, 신제도이론, 조직생태학 등 네 가지 거시 조직이론 패러다임들의 핵심 논지를 소개하고, 그 함의와 한계를 토론한다. 조직이론은 경영학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분야들 중에서도 가장 학제적이고, 다양하며, 깊이있고 역동적인 분야로 평가된다. 20여 년간 조직이론 필드를 주도하던 상황이론의 쇠락과 함께 1970년대 중반 경에 거의 동시에 출현하여 현재까지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조직이론 패러다임에는 자원의존이론, 조직경제학, 신제도이론, 조직생태학, 네트워크이론, 조직학습이론, 느슨한 커플링과 쓰레기통이론 등이 있으나, 그 중에서 본 논분에서는 거시 조직이론의 전형적 접근법을 가장 잘 보여주는 대표적 패러다임인 자원의존이론, 조직경제학, 신제도이론, 조직생태학등 네 가지 이론에 논의의 초점을 맞춘다. 본 논문은 21세기 초인 현재 시점에서 거시 조직이론의 발전을 주도하고 있는 네 가지 이론 패러다임들을 소개하고 토론함으로써 조직이론이라는 매우 역동적이고 다원적인 학문필드의 구조와 발전 과정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돕고자 한다. The current paper examines the following four theoretical paradigms that have led the development of macro organization theory in terms of their key argumen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resource dependence theory, economics of organization, neo-institutional theory, and organizational ecology. Organization theory is generally regarded as one of the most diverse, inter-disciplinary, dynamic, and theoretically profound fields that constitute the field of management. With the decline of contingency theory that had dominated the field of organization theory for the previous two decades, multiple organization theory paradigms emerged almost simultaneously about the mid 1970s, such as resource dependence theory, economics of organization, neo-institutional theory, organizational ecology, network theory,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loose coupling theory, and garbage can theory. Among them, the current paper focuses on resource dependence theory, economics of organization, neoinstitutional theory, and organizational ecology, all of which are regarded to represent the idiosyncratic characteristics of macro organization theory. In so doing, the current paper aims to aid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organization theory field which is highly dynamic and pluralistic.

      • KCI등재

        보호막과 모니터링 - 조직경제학적 관점에서 본 합작기업의 파트너간 분업구조 : 보호막과 모니터링

        신동엽(Dongyoub Shin),이상묵(Sangmook Yi),김선혁(Sunhyuk Kim),전용억(Yongug June)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7 인사조직연구 Vol.15 No.2

        본 논문은 조직경제학적 관점에서 합작기업의 파트너간 분업구조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연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합작기업의 분업구조가 상대방으로부터 자신의 핵심 노하우와 전략적 자원을 보호하고 동시에 상대방의 기회주의적 행동 가능성에 대해 모니터링하기에 효과적인 방향으로 결정된다고 보고, 대안적 분업구조 유형들이 보호막과 모니터링 효과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합작기업의 분업구조 결정을 설명한다. 170개의 합작기업들에 관한 자료를 사용한 실증연구의 결과, 조직경제학적 관점에서 제시한 네가지 가설들이 모두 지지되었다. 즉 본 논문의 결과에 따르면, 합작투자에 중요하고 희소한 기술적 노하우가 많이 투자되고, 모기업들 간 시장 중복 정도가 높아서 상대가 자신의 노하우를 쉽게 학습할 수 있을수록, 합작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자신의 전략적 자원을 상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기능별 분업구조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파트너의 대체가능성이 낮아서 상대가 합작관계에서 기회주의적으로 조기에 철수하는 경우 높은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동일한 상대방과 과거 협력경험이 없어서 상대방의 기회주의적 성향에 대한 지식이 없는 경우에는, 상대방의 기회주의적 행동의 가능성을 직접 모니터링하거나 그들의 노하우를 학습하여 상대방의 철수에 대비할 수 있도록 혼합형 결합구조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조직경제학적 관점에 기반한 본 연구의 결과는 과업 효율성과 같은 기술적 요인이나 신뢰와 같은 사회관계적 요인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왔던 합작이나 제휴에 관한 기존 연구들에 중요한 보완적 관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factors that may affect the structure of division of labor between partner firms in joint venture companies from an economics of organization perspective. In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structures of interfirm cooperation, such as joint ventures and strategic alliances, have been analyzed from one of the following two perspectives: 1) a relational perspective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rust-based social relations between partner firms, and 2) a technical functionalist perspective that highlights the crucial role of functional necessities in terms of technical efficiency. In contrast, our study pays attention to the observation that as an unexpected consequence of such preoccupation with these two dominant perspectives, most existing studies have wittingly or unwittingly belittled the far more fundamental nature of inter-firm cooperation as an economic relation between corporate actors who pursue the maximization of self interests. Thus, the current study aims to provide an important complementary perspective to the existing literature of inter-firm cooperation by focusing explicitly on the economic aspects of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corporate actors. Accordingly,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current study draws heavily on the economics of organization literature, such as transaction cost economics and agency theory. While these two theoretical traditions of the economics of organization literature are interested in different subject issues, both are based on the same assumption of opportunism which Oliver Williamson defines as ‘the pursuit of self-interest with guile.’ That is, regardless of theoretical traditions, studies in the economics of organization literature assume that economic actors often hide or distort information, break promises, and change their stances to pursue their interests. As a consequence, both traditions of the economics of organization literature have common interests in how to monitor and prevent the alter’s opportunistic behaviors efficiently. We argue that the forms and processes of inter-firm cooperative relations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needs for monitoring and safeguarding against opportunistic behaviors emphasized in the economics of organization literature, as well as by relational characteristics or functional imperatives stressed in existing studies. The empirical study of the current paper concentrates on figuring out what determines the structure of inter-partner division of labor in joint venture companies which provide a highly interesting setting for studying inter-firm cooperative relations owing to their unique nature that encompasses characteristics of both markets and hierarchies. Assuming that the structure of inter-partner division of labor in joint venture companies will be determined in the direction that is more efficient 1) in protecting core knowhow and strategic resources from extraction attempts by the partner and 2) in monitoring the possibility of opportunistic behaviors by the partner, the current study compares two alternative structures of inter-partner division of labors-the functional division structure and the mixed structure. While employees dispatched from different parent companies work closely with each other on a daily basis mixed together in most functional departments in the mixed structure, they work separately from each other by taking exclusive responsibilities in different functions in the functional divi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ur probit regression analyses using an original data-set of 176 international joint venture companies, all of the four hypotheses that we suggested based on the economics of organization perspective were supported. Results of our study show that when scarce and critical technological know-how is invested in joint venture companies or when the partner can easily learn the focal fi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