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변화와 재산권 - 해안토지 관련 재산권과 사용권의 충돌 -

        이비안 ( Rhee Vian ) 한국환경법학회 2016 環境法 硏究 Vol.38 No.2

        현재 전 세계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로 폭풍, 해수면 상승등의 현상을 직면하고 있으며, 이는 재산권으로 보장되어오던 토지에 대하여 전에 없던 문제를 던져주고 있다. 그에 따라 그 동안 재산권으로 강력하게 보호되어 오던 자원의재분배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재산권의 제한 혹은 변화라는 문제는 이미 20세기 중반부터 환경보호를 위하여 그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고 사람들은 그에 비교적 익숙하여져 있으나, 지구온난화로 인한 급격한 자연환경변화로 인한재산권의 적극적인 제한 혹은 변화에 대해서는 활발히 논의되어 온 주제는 아니다. 미국은 지구온난화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전부터 해안토지변화를 점차적 변화의경우와 급격한 변화의 경우를 나누어 증감된 토지의 소유권 귀속문제를 해결하고있다. 한편, 특히 마른모래지역에 대한 공중의 사용권을 인정할 수 있는가, 그리고 그 반사경으로서 소유자에게 공중의 사용을 수인할 의무가 있는가 문제에 대해서는 각 주마다 입장을 달리하고 있다. 다만, 연방대법원은 전반적으로 공중의 이익보다는 해변토지소유자의 이익에 충실한 입장이다. 환경의 동태적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국민들 사이의 재산권 문제는 다른 국민들의 이익, 예컨대 공중의 해변이용권 등과 비교형량하여 조정할 필요가 있다. 과거와달리 재산권의 내용 및 범위와 관련하여 다른 국민들의 이익과의 형량을 통한 탄력적 해석이 필요한 장면이 더욱 더 많아지고 있다. 최근의 급격한 기후변화 사태 및 그로 인한 해변토지 변화는 공중의 이익과 해변토지 소유자들의 재산권 사이의 적절한 이익형량을 요구하고 있다. Now, most countries in the world are facing storms, flood, and rising of sea levels due to global warming. This casts a doubt on lands to which the property rights have been guaranteed and at the same time it starts requiring property resources to be redistributed. Especially beach lands are at the center of drastic restriction or changes of property rights. In Fact, some argue that restricting or changing the property rights are needed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Nevertheless, it is a different story for beach lands which need drastic restrictions or changes on property rights to adjust climate changes. This paper focuses on studying restriction on lands of beach under the title of “Global Warming and Property.” Global warming causes climate changes and the climate changes requires us to reconsider property rights to a) lands of beach and b) water right. With the reasons of limited spaces, this paper focuses owe beach lands. The United States is out to solve property issues related with lands of beach by distinguishing their gradual and radical changes. On the other hands, when it comes to whether rights to beach (dry sand area) should be authorized to the public and whether owners of beach should open their property to public, states have different opinions. The Federal Supreme Court seems that private property rights weigh public interests. Property issues especially related with radial climate changes requires new and proper interest balancing between private property owners and public access to beach.

      • KCI등재

        당사자 소송의 현황 및 그 평가

        이비안(Rhee, vian)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法學論文集 Vol.43 No.3

        행정소송법상의 당사자소송은 1980년대까지는 거의 사용되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일찍이 당사자 소송의 활성화 여부와 관련하여 무용론과 활성화론 사이의 견해 대립이 있어 왔다. 그러나 그러한 논의와는 별개로 당사자 소송은 법원에서 조금씩 그 영역을 확장하기 시작하였다. 민사소송과의 관계 측면에서 볼 때 당사자소송을 활성화하여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비판적 견해는 행정법원을 신설하기 전까지는 의미가 있을 수 있었다. 그러나 행정법원이 신설되어 있고, 그곳에 공적 법률관계를 주로 다루는 법관들이 모여 있는 이상, 그들로 하여금 사건을 담당하도록 함으로써 법원 입장에서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점 및 그 과정에서 축적된 이익형량 경험을 통하여 공익까지 고려한 공정한 판단을 기대하여 볼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당사자소송을 활성화할 필요성은 인정될 수 있다 하겠다. 현재까지의 대부분의 당사자소송은 이런 측면에서 존재할 수 있었던 것들이었다. 항고소송과의 관계에서 볼 때 수차에 걸친 행정소송법 개정 시도가 무위로 돌아간 지금 해석론으로라도 효율적인 권리구제를 하고자 하는 시도에서 당사자소송을 활용하자는 견해가 대두되고 있다. 현행법이나 판례가 인정하고 있는 주관적 권리의 범위가 좁기는 하지만, 그러한 한도 내에서라도 효율적인 권리구제를 위하여 당사자소송을 적극활용하여야 할 필요성은 부인하기 어렵다. When it comes to use of party litigation, some say 1)administrative agencies are allowed to intervene litigations, 2) records of administrative adjudication are ordered to be submitted, and 3) exceptional rules are applied for consolidated cases. However, these arguments are not enough to support that a party litigation of the Administrative law should replace civil actions which have been generally depended on. When civil cases are redirected to party litigations, they would be reviewed by not civil court but administrative courts. This is true to increase efficiencies of court procedures, but party litigation hardly outweighs civil action since Korea s Supreme Court limitedly allows ex office trial examination for fairness. Some argue that a party litigation helps to consider public interests more than a civil action. In reality, Korea already established administrative courts, having administrative judges with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public law. And then they could not help but making more reasonable decisions. Administrative judges in the administrative courts could help achieve efficiencies of court procedures and fair judgements, but this does not that party litigation outweigh civil actions. Party litigation itself does not guarantee that public interests are considered more carefully. Administrative judges in the administrative courts have high understanding of public law through their careers and they could make better decisions considering public interests. Therefore, Korea’s legal system having administrative courts strongly support applicability of party litigation in Korea. Administrative litigations in Korea have depended on only subjective litigations which require damages to specific, direct and personal interests. These subjective litigations face limits of relief of rights, and party litigations could help these limits. Party litigations are expected to play in important role of completing limits of Korea’s administrative litigations.

      • KCI등재

        전자담배를 포함한 담배제품 규제 개선 방안

        이비안(RHEE VIA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8 江原法學 Vol.53 No.-

        2003년 5월 세계보건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담배로부터 세계인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담배규제기본협약(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FCTC)를 제정하였다. 우리나라도 2005년 5월 동 협약을 비준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FCTC가 권고하고 있는 “담배유해물질에 관한 정보공개” 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법안을 마련하지 아니하고 있다. 하지만 담배사업증진과 국민건강증진이라는 상이한 목적으로 제정된 「담배사업법」과 「국민건강증진법」이 병존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FCTC의 담배제품성분 정보공개제도 도입은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현행법규의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담배제품성분 정보공개제도를 제안하고 있는 FCTC와 이를 적극 수행하고 있는 캐나다의 연방 담배법과 BC주의 담배법을 분석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우리나라의 현실을 고려해 보았을 때 담배제품성분 정보공개의무를 시행하기 위하여는 「담배사업법」에서 (a) 담배, (b) 담배제품 (c) 첨가물 (d) 저활성담배가 아닌 전자담배 혹은 전자담배제품 (e) 전자담배물질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하여야 한다. 그리고 사업자들로 하여금 매혹제 등 첨가제를 포함한 담배제품 구성요소들을 정부에 공개하도록 하여야 한다. 정부는 그 정보를 바탕으로 담배제품에 대한 규제를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In May 2003, WHO enacted the FCTC in order to protect people of the world from Hazardous Tobacco. Two years later, Korea also signed FCTC. Over the past 10 years, Korea should have provided regulations for testing and measuring tobacco product’s ingredients and for these information disclosure. However, the Tobacco Business Act(TBA) and the National Health Protection Act(NHPA) which regulated tobacco were enacted for different purpose so that they prevent Korea from introducing FCTC. This paper studies the TBA and NHPA of Korea and then points what should be amended and added. WHO’s FCTC guidelines, the Tobacco act of Canada and the Tobacco Vaping Act of BC States are good models for implementing FCTC’s information disclosure of tobacoo products. Based on results of studying and analyzing them, this paper suggests better options for Korea to consider in the present tobacco regulations. Most of all, TBA and NHPA of Koea should define (a) Tobacco, (b) Tobacco Product, (c) Additives, (d) E-cigarette (e) E-cigarette substance. When these are clearly defined, FCTC information disclose of tobacco products may achieve the goals of FCTC which protect people from hazardous tobacco and is epxecte to be implemented without causing conflicts between ministries of Korea.

      • KCI등재

        농약사용에 의한 수질오염 통제 -The National Cotton Council of America et al. v. EPA 사건을 중심으로-

        이비안 ( Rhee Vian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홍익법학 Vol.15 No.3

        The 6th Circuit Court``s decision of Nat``l Cotton Council of Am. v. United StatesEPA in 2010 and H.R.935 - Reducing Regulatory Burdens Act of 2014 which have justpassed in the House suggested what we should consider on Water Quality andPesticide. As EPA enacted the ``Final Regulation`` related with Clean Water Act, The2006 EPA rule exempted, from CWA permitting requirements, the application ofpesticides in compliance with FIFRA. The Court held that EPA``s interpretation waswrong. The 6th Circuit Court supported that the use of pesticides should be regulated frominitial effluent as pollutants. Its decision could be a turning point in water pollution andthe use of pesticide. On the other hand, heavy burdens of administrative permits andpesticide industries concerned are strongly against the court decision and tried to nullifyit through the House and Senate. Therefore, this paper highlighted that it is necessary to adopt pre-permit system forpesticide, which could limit its use, and to strengthen post-control throughadministrative and criminal regulating tools because general pesticides are not easily regulated through pre-control. In addition, pesticides should be regulated as a pointsource not a non-point source.

      • KCI등재

        부확정개념(不確定槪念)의 해석(解釋)과 환경법(環境法)의 퇴보(退步) -미국의 판례를 중심으로-

        이비안 ( Vian Rhee ) 한국환경법학회 2012 環境法 硏究 Vol.34 No.1

        Amorphous Concepts and Retrogression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 Focusing on Cases of United States - Rhee, Vian The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had shown the tendency of pro-environmentalism from 1960`s and the mid of 2000`s. Unfortunately, since the mid of 2000`s, the most cases of the Supreme Court seem that it prefers the economy to the environment. Amorphous Concepts make this possible. According to Chevron case, courts defer to administrative agencies` interpretation of legislations as long as it is reasonable. However, since the mid of 2000`s, the Supreme Court has been against the interpretation of agencies on amorphous concepts, which were to protect environmental interests. It argued those legislations did not need to require agencies to interpret because their meaning was clear. It is difficult to deny importance of Chevron case but the Supreme Court considers it as the tool of justifying its decisions. Therefore, this paper studied Rapanos v. United States, Coeur Alaska, Inc. v. Southeast Alaska Conservation Counsil and Entergy v. Riverkipper. They were recent and famous cases of the United States, which were related with Clean Water Act, CWA. The paper reached the three conclusions. First, the Supreme Court did not judge amorphous concept cases by the steps which were generally applied: a) whether a legislation included an amorphous, b) if so, whether Chevron case should be applied, and then c) whether environmental interests should be prioritized. Second, arbitrary or capricious and an ``abuse of discretion`` standard for amorphous concepts seems to depend on Justices` value of rights. Third, the way to designate Justices could be questioned, because they lack democratic justification and judicial decisions have been influenced by their value.

      • KCI등재

        利益衡量의 입장에서 바라본 행정법 : 無瑕疵裁量行使請求權 및 申請權

        이비안(Rhee Vian)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법학연구 Vol.53 No.1

        최근 행정법에서는 이익형량을 화두로 하여 기존의 이론을 되짚어 보아야 한다는 논의가 적지 아니하다. 헌법은 국민이 누릴 수 있는 기본권을 규정하고 있다. 사인의 이익, 즉, 사익이란 그 어떤 것이든 헌법상 기본권에 포섭될 수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보면 모든 사익이 보호대상이 될 수 있다 보아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의문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익히 예상할 수 있다시피, 사익 상호간의 충돌문제, 한정된 자원 문제 등으로 인하여 그는 불가능하다. 그 결과 헌법상 기본권은 그 자체 집행가능한 권리라 볼 수 없는 경우가 적지 아니하다. 더 나아가 이른바 사회권적 기본권의 중요성으로 말미암아 사익의 충돌 및 한정된 자원 문제가 일상화된 상황이라면 사익들 사이의 상충 문제를 이익형량을 통하여 우선적으로 실현되어야 할 기본권이 무엇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를 집행하는 것이 국가의 중요한 업무라 볼 수 있기도 하다. 이렇게 기본권 사이의 이익형량 업무를 국가의 중요 기능 중 하나로 보는 경우 당해 이익형량의 일반·추상적 기준은 立法이 마련함이 당연하다. 헌법은 보호하여야 할 기본권을 나열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입법이 그 우선 실현 순서를 지정하는 역할을 맡지 아니하면 아니된다. 그러나 각 기본권 주체들 간의 기본권 충돌이 일상화된 지금 입법이 이익형량 기준을 마련하여야 하는 장소를 미리 예견하여 일반·추상적으로 완벽하게 입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지경에 이르고 있다. 이는 흔히 입법의 완전무결성 가정의 파괴 현상이라 불리고 있는데, 그를 전제로 하는 종래의 법치주의가 제대로 작동할 수 없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 하에서 입법이 그의 업무를 放棄하지 아니하고자 하는 마지막 보루가 불확정개념 및 재량규정의 사용이다. 그런데 재량규정의 경우 종전부터 개인적 공권 내지 원고적격을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논란이 적지 아니하였고, 그러한 차원에서 무하자재량행사청구권이 그 존재의 근거를 찾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현재에 와서는 무하자재량행사청구권을 굳이 인정할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논란이 적지 아니한 상황이다. 특히 행정법 전반을 개념법학이 아닌 이익법학적 관점에서 되짚어 볼 때 그러한 경향이 더 강하게 작용할 수 있는 여지가 발생한다. 어쨌든, 입법이 완벽하게 이익형량의 기준을 마련해 주지 못하는 상황 속에서 개별적 사안에 당하여 어떻게 구체타당한 결론을 얻어 낼 것인가라는 점이 논의의 중심적 과제가 되어야 한다. 그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종래의 공권, 재량행위, 불확정개념, 행정입법 등 관련 행정법 일반이론 분야의 기존 논의를 재해석할 필요성이 없지 아니하고, 무하자재량행사청구권, 그 인접 개념으로서의 신청권도 그 예외가 아니다. 결론적으로 이익형량의 입장에서 살펴볼 때 굳이 무하자재량행사청구권이나 신청권이라는 개념을 인정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위 두 개념이 원고적격 인정 문제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면 원고적격을 공권이 인정될 가능성으로 해석하는 한 실체적 권리가 있음을 주장하는 것으로 충분하고 굳이 무하자재량행사청구권 등 개념을 만들어 낼 필요는 없다. 기타의 측면에서도 별다른 효용성이 발견되지 아니한다. 'Interests-balance theory' has been dealt with in the administrative law and some suggest that the existing theory of the administrative law should be re-reviewed based on interests-balance. The Constitutional law provides interests which an individual could enjoy. There are a number of private interests. Could all private interests of the Constitutional law be protected? As speculated easily, the answer is "no" because of conflicts between private interests and limited resources. If so, the duty of State is to identify interests which the laws should protect and then to enact and enforce these statutes. With no doubt, the legislative has the authority to establish the general standard of balancing interests. It is the duty of National Assembly. However, it is impossible to speculate all possible situations which need interests-balance, thereby not providing one-fit-all standards. This is called "destruction of legislative impeccability". It also one of major reasons to make the existing rule of law unworkable. Amorphous concepts and delegation were created for the legislative not to give up its duty. There has been a dispute of whether the statute of providing administrative discretion allows standing against governments. Except abuse of discretion, discretion committed to administrative governments could not be subject to judicial review. In order to expand judicial review on this discretion, Korea created "the right to resonable discretion", which requires administrative governments to exercise their discretion without fault. Now, some argue that the right to reasonable discretion does not need to exist. Particularly, if the administrative law is considered from the view of interests-balance not Begriffsjurisprudenz, there is no need of the right to reasonable discretion. This paper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right to reasonable discretion' and 'the right to reply' do not need to exist in Korea when these rights are considered from the view interests-balance. The two rights were created for standing. However, if standing was interpreted to mean 'possibility of legal interest,' the right to reasonable discretion and the right to reply become unworkable.

      • KCI등재

        최근 EPA의 온실가스 등 대기오염물질규제에 대한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단 경향

        이비안(Rhee, ViAn)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圓光法學 Vol.32 No.3

        EPA의 온실가스 등 대기오염물질 규제활동과 관련하여 미 연방대법원이 최근 10년 사이에 상반되는 듯한 판결을 냄에 따라 실무계 및 학계에 다소 혼선이 있는 상황이다. 2007년 Massachusetts v. EPA 사건에서 연방대법원은 자동차 배출 온실가스가 대기오 염물질에 해당한다고 판단함으로써 규제권한을 행사하지 아니하는 EPA의 태도에 제동을 걸었다. 그런데 반대로 2014년 Utility Air Regulatory Group v.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사건에서 고정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대기오염물질에 해당 하지 아니한다고 판단하였다. 이어 나온 발전소 배출 수은 관련 2015년 Michigan v.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사건에서는 규제 적절성 판단 관련 비용고려여부를 쟁점으로 하여 EPA의 재량권 내지 규제권한을 상당히 제한하는 내용의 환경비친화적인 판단을 한 바 있다. 위 각 판결에서 비추어지는 대기오염물질 관련 미연방대법원의 전반적 입장은 자동차 배출 대기오염물질에 대하여는 규제를 허용하는 반면, 발전소 배출분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그 원인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이 글은 대법관들이 판단의 근거로서 사용 하는 쉐브론판결이나 재량권의 남용 등 법적 쟁점 자체보다는 건강, 환경, 경제 등 이익들 중 어느 이익을 더 우선할 것인가에 대한 대법관들의 판단이 더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그것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시사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For recent 10 years, the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made different decisions on the EPA s regulations of air pollutants including GHG. These cause confusion to business and academia. In 2007 Masschusetts v, EPA, the Court early decided GHG from vehicles is air pollutants of CAA and then tackled EPA who were unlikely to regulate it. However, the Supreme Court of 2014 Utility Air Regulatory Group v. EPA made the different decision from Massachusetts case, concluding that GHG of stationary sources such as power plants is not the air pollutants. In the series of regulating power plants, EPA decided to regulate mercury power plants emit. In 2015 Michigan v. EPA, the Court denied EPA s authority arguing the agency failed to consider costs. Each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implies that the Court are likely to regulate air pollutants vehicles emit, but it has different opinions on power plants. While analyzing the reasons of the Court s different decisions on air pollutants, this paper notes that legal issues such as Chevron case or discretionary authority Justices generally depend on do not weigh their consideration of interest balances between environments and others. And then it also find some lessons for Kore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2007년 Massachusetts v. EPA 사건에 대한 고찰 및 우리 행정법에 대한 시사점

        이비안(Rhee Vian) 한국비교공법학회 2012 공법학연구 Vol.13 No.1

        미국은 그 동안 자국산업의 보호를 위하여 온실가스 배출규제제도의 정비에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었다. 그러나 Massachusetts v. EPA 549 U.S. 497 (2007) 사건을 계기로 그와 같은 경향에 전환점이 마련되었다. 위 Massachusetts 사건은 환경법적 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행정법 일반이론의 측면에서도 시사점이 적지 않다. 우선, 당해 사건에서 연방대법원은 (1) Massachusetts 주가 자신의 침해된 이익이라 주장하는 사유인 해수면 상승 등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명백하지도 아니하고, (2) 설사 당해 사실이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법률상 이익의 침해라 볼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의문의 여지가 없지 아니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원고적격을 인정하였다. 특히 (2)와 관련하여 미국은 사실상의 이익이 침해된 경우 APA에 의하여 법률상 이익이 침해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보다는 원고적격 인정 범위가 넓다 볼 수 있다. 반면, 행정절차법을 원고적격을 확대할 수 있는 근거규정으로 활용하기에는 부족하다 보는 우리나라의 일반적 견해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미국에 비하여 법률상보호이익설이 아닌 보호가치있는 이익설 입장을 취할 필요성이 적지 아니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종래 연방대법원은 대체적으로 법원의 적극적, 대체적 판단을 자제하며 제한된 범위 내에서 재량남용만을 판단하는 소극적 자세를 보이고 있었다. 연방대법원은 위 사건에서 행정이 재량을 남용하였다는 판단을 하여 외관상으로는 사법소극주의 입장을 그대로 견지하고 있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재량을 남용하였다 보지 아니할 수 있는 여지도 적지아니하였다. 형식적으로는. Chevron 판결의 입장을 따르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그렇지 아니하였던 것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사법적극주의와 사법소극주의의 경계는 그리 명확하다 볼 수 없다. 다음으로, 사안에서 EPA가 제정하는 행정입법은 포괄적 위임에 따른 입법이라 볼 수 있는 여지가 많았다. 미국에서는 법률에서의 뚜렷한 위임규정이 아예 없거나 있다고 하더라도 매우 포괄적인 불확정개념만이 제시된 위임규정에 의하여 행정입법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상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원래 미국헌법의 제정ス 1?들이 권력분립 원리에 따라 모든 규범제정권을 의회에 귀속시키고 정부는 단지 그 집행권만을 가지는 엄격한 권력분립제도를 채택하였다는 점과 대비된다. 미국 연방대법원의 기본적인 시각은 "어떤 경우이든 법원의 유일한 관심사는 의회의 의지가 준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 있다"는 것인데, 최근 법치주의의 한계를 고려할 때 그와 같은 입장은 경청할 필요성이 높다 할 것이다. 우리 헌법재판소는 행정에 법규제정을 위임하고자 하는 경우 법률에서 구체적으로 범위를 정하여 위임하여야 하고, 위임을 하더라도 법률만으로도 행정입법의 대강의 내용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하지만, 그러한 태도에도 변화의 필요성이 적지 아니하다 할 것이다. The United States is unlikely to regulate emissions of CO2.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had not taken any positive action before Massachusetts v. EPA. The states challenged that EPA did not take any action of regulating CO2. The Supreme Court made a favorable judgement of the states, thus requiring EPA to providing emissions standards of CO2. Obama administration influenced on Massachusetts case because it is interested in environmental protection. Massachusetts case was paid attention to. In the United States and even Korea, many journals on this case have been published. Massachusetts case covers very important issues in the environmental and administrative law, such as 'Standing', amorphous concept of a statute', and administrative discretion'. Amoiphous concept and administrative discretion are related, thus focusing on courts' jurisdiction. Standing enables courts to balance interests in the merits. When it comes to rule-making, Massachusetts case suggests that 'rule of law' should be changed and the judiciary should positively intervene in the executive decisions through reviewing administrative discretion and amorphous concepts. Now, in some cases, the judiciary decisions could outweigh those of the executive. This enables courts to protect non-legal interests such as environmental interest not limited to only legal interests such as property, liberty and equ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