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장애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주관적 인식 탐구: Q-방법론을 적용하여

        이미지(Miji Lee*),김희은(Heeeun Kim) 한국학습장애학회 2021 학습장애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예비특수교사의 학습장애에 대한 인식을 탐구하기 위하여 학습장애에 대한 이미지를 탐색하고 이를 유형화하여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활용된 분석 방법은 Q 방법론이며,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개발된 질문지를 토대로 4명의 전문가 집단의 포커스그룹인터뷰(FGI), 35명의 예비특수교사의 서면 인터뷰 조사가 수행되었다. 그 결과, 약 600여 개의 진술문(Q-모집단)이 확보되었으며, 범주화 과정을 거쳐 약 120개의 유의미한 진술문들을 확보, 외부 전문가 대상 내적 타당도를 거쳐 총 38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38개의 Q-표본을 35명의 예비특수교사(P-표본)의 인식을 바탕으로 9점 척도(-4~+4)를 활용하여 분류한 결과, 총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1유형은 29%, 2유형은 9%, 3유형은 8%, 4유형은 7%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누적변량은 53%로 나타났다. 유형별 특성으로는 1유형은 “학습장애의 학업적 저성취 강조형”, 2유형은 “학습장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관심 촉구형”, 3유형은 “학습장애의 심리·정서적 어려움 초점형”, 4유형은 “학습장애 체계적 진단 및 촘촘한 지원 촉구형”으로 명명되었다. 4개의 도출된 유형을 토대로 선행연구와 비교하고 추후 특수교사 양성과정에서의 학습장애 전문성 신장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ypes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based on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The analysis method used is the Q methodology, and for this, a focus group interview (FGI) of 4 experts and a written interview of 35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about 600 statements (Q-population) are selected, and about 120 meaningful statements are obtained through the categorization process, and a total of 38 Q-samples are selected through internal validity of 2 external experts. The final selected Q-sample is classified into four types as a result of classifying it using a 9 steps scale (-4 to +4) based on the perceptions of 35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P-sample). By type, the explanatory of Type 1 is 29%, Type 2 is 9%, Type 3 is 8%, and Type 4 is 7%, and the cumulative variance is 53%. Type 1 is “the type to emphasize academic underachievement of learning disability”, type 2 is “the type to focus on social awareness and interest in learning disability”, type 3 is “the type to focus 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type 4 is “the type to emphasize systematic Diagnosis and support of learning Disabilities”. The results of study is interpre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 types. We suggest directions to increase the expertise of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Education Institution to fost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O2O 플랫폼의 환경에서의 온라인상에서의 우산 효과(Umbrella effect)

        이미지(Miji Lee),백유진(Ujin Baek),류민호(Min Ho Ryu),이종태(Jongtae Lee),김은혜(Eunhye Kim) 한국정보사회학회 2018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9 No.1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하여 하나의 판매 플랫폼을 형성하는 O2O(Online to Offline)비즈니스가 출현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O2O 플랫폼의 이미지, 가치, 신뢰성 등이 협력하는 쇼핑몰에게도 전가되는 현상인 ‘우산 효과’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대표적인 O2O 플랫폼인 네이버 온라인 쇼핑을 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연구 모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네이버 온라인 쇼핑을 이용한 230명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델을 검증한 결과, 브랜드 효과와 기대된 기술적 지원으로 대표되는 우산 효과는 지각된 가치와 사용의도 간의 관계에 매개효과가 있음을 밝혀내었다. 또한,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선행요소로는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신뢰임을 확인하였으며, 사용 의도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O2O 비즈니스에 관한 실무적, 학문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led to the emergence of O2O (Online to Offline) businesses which combine the online and offline to form a sales platform.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he umbrella effect, which occurs when a popular brand is linked with a new brand to transfer its image, value, and trustworthiness to the new brand, takes place on O2O platforms. Based on 230 consumers who use Naver shopping window, a representative O2O platform in Korea, as an empirical study, we verif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the umbrella effect represented by the brand effect and the technical support. As a result, our study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and intention to use. We also found that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trust are antecedent variables of perceived value, and that the intention to use significantly affects loyalty. Based on our findings, we discuss their practical and academic implications on O2O businesses.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아동 부모 대상 프로그램 메타분석 : 2000년 이후 연구를 대상으로

        이미지 ( Lee Miji ),장세영 ( Jang Seyou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국내 장애아동 부모대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함에 있다. 실험-통제집단 설계 연구 29편을 분석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였고 총 95개의 효과크기를 산출, CMA 3.0을 활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효과크기는 .831(p<.05)로 나타났다. 독립변인별 분석 결과, 부모자녀병합지원(1.148)과 양육정보지원(.953)이 높은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종속변인에서는 가족기능(1.650), 심리적 자원(.779) 변인에서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기타변인으로 자녀의 장애유형에서는 발달장애가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 자녀의 학교급에서는 유치원과 기타(학교급 무관)에서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부모유형은 어머니가 다수를 차지하며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장애아동의 부모 대상 프로그램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인을 바탕으로 결과를 제시하였으므로 추후 장애아동 부모대상 프로그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the effects of the program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using meta-analysis. For the analysis, 29 studies and 95 effect sizes were designed based on PICOS as an experimental-controlled group study in Korea, and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MA 3.0.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program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btypes of independent variables (parent counseling, parent education, parent support, parent-child combinations) and subtypes of variance variables, other variables (such as publication, type of their children’s disability and school, types of parents and numbers, and intervention session) was calculated. As a result, the overall effect size was .831 (p<.05) as known high effect size. In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subtype of independent variables, the parent-child merging and parent education effect size was high, and the effect size of parent support and parent counseling was more than medium. The dependent variables showed high level of effect on variables related to child rearing and internal of individual. In other variables, the dissertation showed higher effectiveness,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ed a more than moderate level of effectiveness, the child's school level showed higher levels in kindergarten and integration, and the mother in types of parents showed a high level of effect. Finally, this study provides the fundamental data to develop programs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presenting the effect sizes of variables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meta-analysis.

      • KCI등재

        13세기 초 고려의 국제 환경 변화와 생애 기록 : 고려 墓誌를 중심으로

        이미지(LEE Miji)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5

        본고에서는 13세기 초에 고려의 변경을 넘어 온 거란 유종과 몽고, 두 집단과 고려간에 있었던 ‘거란 유종의 난’ 과 ‘형제 맹약’이 개인적 차원의 기록인 墓誌에서 어떻게 기억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현재의 시각에서 볼 때 두 사건 모두 고려 사회에 매우 큰 영향을 주었으리라 생각되지만 본고에서 검토한 총 49편의 묘지 중 거란 유종의 난을 언급한 묘지는 10편에 불과했고, 형제의 맹을 언급한 묘지는 3편에 지나지 않았다. 21세기를 살면서 13세기 고려의 외교 관계를 바라보는 입장과 당시인의 시각이 얼마나 다른지 선명하게 보여주는 수치라고 생각된다. 또한, 현전하는 자료의 수가 워낙 적어 섣불리 일반화하기는 어렵지만 『고려사절요』혹은 『고려사』김취려전 등에 의해 현재의 우리는 거란 유종의 난의 마무리 단계로써 형제의 맹을 이해하는데 비해, 두 사건을 모두 언급한 묘지는 3편뿐이라는 사실로 짐작건대 당시 고려인들은 일반적으로 이 두 사건을 연관 짓지 않았다고 추측된다. 두 사건을 직접・간접적으로 겪었던 인물들의 묘지 속에서 각각의 사건 및 두 외부집단은 매우 다양하게 변주되어 기억되었다. 묘주를 위인화・영웅화하기 위해 같은 사건이라도 부분적 측면이 선택적으로 과장되기도 했고, 익히 알려져 있는 바와는 다른 인물이 해당 사건의 공로자로 부각되거나(최충헌,한광연), 숨은 공로가 밝혀지기도 했다(조충,최이). 또한 고인의 업적을 강조하기 위해 거란 유종이나 몽고와 같은 객체들이 폄하되거나 부정적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반대로 거란 유종을 遼兵・遼師(한광연 묘지)혹은 金人(김중구 묘지)등으로 지칭하는 경우도 있었다. 형제의 맹에 참여한 몽고 장수는 묘주의 영웅성을 알아보는 식견 있는 상대로 기억되기도 했고(김취려 묘지)몽고국은 외교 상대국으로서 언급되기도 했다(조충 묘지). 이처럼 기억의 편집 혹은 변용이 일어난 원인은 묘지 기록이 고인의 생애를 추모한다는 매우 강한 목적을 가진 글이기 때문일 것이다. 거의 같은 시기에 동일 작자에 의해 작성된 백분화 묘지와 이적 묘지에 나타난 거란 유종에 대한 적대감의 차이는 이러한 점을 잘 보여주었다. 아울러 왕조 차원에서는 중요한 외교 사건이라 하더라도 묘주 개인의 생애 속에서는 상대화되어 매우 소략하게 언급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조충과 김취려는 모두 거란 유종의 난을 진압하고 몽고와 형제의 맹을 맺는데 가장 주도적인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거란 유종의 난 진압 직후 사망한 조충의 묘지에서는 이 사건이 고인의 최대 공로로써 대대적으로 다루어진 반면, 그보다 14년을 더 산 김취려의 삶을 조망하는 글 속에서는 거란 유종의 난이나 형제의 맹 모두 묘주의 많은 업적 중 하나로써 다루어졌다. 묘지에 사용된 기년호를 통해 13세기 초 외교 환경의 변화가 고려인의 일상과 관련된 기년 방식에는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해 보았다. 1213년 이후에는 연호 사용이 줄고 고려 왕력, 고갑자, 고인의 연령 등이 활용되었다. 금의 改元여부와 상관없이 금의 貞祐연호가 1227년까지 사용되었음을 보았는데, 이는 국제 정세변동기에 고려인들이 익숙했던 기존의 외교 질서에 따라 공식적으로 전달된 가장 최근의 연호를 계속 사용한 것이라 정리해 보았다. In the beginning of the 13th century the Goryeo people encountered two unfamiliar groups; one group was the Khitan rebels who rose in revolt against the dominant Jin dynasty and another was the new rising power, the Mongols. Since the remaining official history accounts of the period record that the Mongols came into the Goryeo territory during their military operations on the Khitan rebels who had rejected to surrender to the Mongols, the observers of the 21st century sees these incidents in sequence. However, did the contemporary Goryeo people understand as we do? This paper has been developed during the process to understand how the contemporary Goryeo people perceived the diplomatic events that are assigned as so by the modern his torians. The Goryeo people composed a sort of biography when their loved one dies to remember and commemorate their lives. The biography was inscribed on a stone and they buried it. As the Goryeo epitaphs were enclosed inside the tomb it carries highly assessed contemporary information on the exact time at which the epitaphs were buried. Also the epitaphs were written within the ‘private" context rather than the dynastic or national level. Thus, I believe the Goryeo epitaphs of the 13th century would be the most proper primary sources to peruse the contemporary individuals" viewpoints on the world they belonged to. According to the epitaphs of this period it seems that the two incidents were seen as two independent events, which coincidently happened almost at the same time. We who live in the 21st century call the Khitans as ‘Khitan Rebels"(契丹遺種) as it is written in the Official History of Goryeo (『고려사』). But the contemporary Goryeo documented them, in the epitaphs, also as ‘the Liao soldiers"(遼兵・ 遼師) and even ‘the Jin citizens"(金人). The Mongols were usually described as ‘beasts"(禽獸) but also appeared as heroic figures. And the instances of year naming were only partly coherent to the ‘official" way of the dynasty. This paper construes that this discordance are the evidence of the diverse individual perceptions of the 13th century Goryeo.

      • KCI등재

        고화준설토의 역학적 특성과 식생 발아 특성

        이미지(Miji Lee),문경주(Kyoungju Mun),윤길림(Gillim Yoon),음현미(Hyunmi Eum),김윤태(Yuntae Kim)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4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5 No.3

        본 논문에서는 준설토를 친수공간 조성과 같이 친환경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고화준설토를 제작하였고, 역학적 특성과 식생 발아 특성을 분석하였다. 사용된 고화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기본재료로 고칼슘플라이애시 및 알칼리 복합 활성화제를 이용하여 제작한 고화제(Non Sintering Binder, NSB)이며, 비교?분석을 위해 포틀랜드 시멘트도 사용하였다. 고화준설토의 지반공학적인 개량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유동성 시험, 단위중량 시험, 일축압축시험 등과 같은 다양한 실내 시험을 실시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중금속 용출과 식생 발아 실험을 실시하였다. 일축압축강도를 통하여 고화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모든 고화준설토의 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볼 수 있으며, NSB 고화준설토가 OPC 고화준설토보다 높은 강도를 나타냈다. 식생발아 실험 결과 OPC 고화준설토보다 NSB 고화준설토에서 발아 시기와 발아율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고화준설토의 pH와 7일 강도가 클수록 발아율과 발아 시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In this paper, mechanical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tabilized dredged soils were investigated to recycle dredged soil in eco-friendly manner such as waterfront construction. Non sintering binder (NSB), which was developed by using interchemical reactions between slag, high-calcium fly ash, alkali activator on the dredged marine clay, was added to dredged soil. Ordinary Portland cement was also used for the comparison of two binders. Experimental tests such as flow test and unconfined compressive test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stabilized dredged soil. Leaching test, pH measure, vegetation germination test were also conducted to consider environmental applicability. The unconfined compressive tests shows that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UCS) also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curing time and mixed ratio. UCS of NSB mixtures were higher than those of OPC mixtures. Germination tests showed that germination and sprouting date are better in NSB mixture than OPC mixture. It can be explained that germination decreased as pH and 7-day strength increased.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2014.3 적용)〈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영역 분석

        李美智(LEE, Miji),吳致勳(OH, Chi Hoon) 한국사학회 2014 史學硏究 Vol.- No.115

        이 글은 2014년 3월부터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된 8종의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고려시대사 서술을 분석한 글이다. 고려시대사는 교육과정의 영역 구분에 따르면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에 해당되는데, 이는 교과서 목차 상 두 번째 대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사회과 교육과정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의 내용을 사회ㆍ경제사, 사상사 및 대외관계사를 중심으로 구성하도록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현 교과서의 목차 구성을 준용하여 대외관계사와 경제사, 사회사ㆍ사상사ㆍ문화사를 중심으로 각 교과서 상 고려시대사 서술과 구성의 장ㆍ단점을 분석하였다. 대외관계 부분에서는 세계사와의 연관 속에서 한국사를 이해하도록 설정한 교육과정 상의 교과 목표에 따라 다양한 학습 보조 자료가 제시되었으며 새로운 설명 방식이 시도되기도 하였다. 다만 송 중심의 외교 관계 서술이 여전히 두드러진다는 점과 전쟁사 위주의 거란관계사 서술, 금과의 사대 관계 평가 문제, ‘여원연합군’ 용어 문제, 10~12세기 동아시아외교 관계 개념도 등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이었다. 경제사 분야에서는 8종 교과서의 목차 구성과 서술 방식이 상당히 유사하게 나타났는데 그러면서도 서술형 소제목을 택한다던가, 대외 무역에 관한 내용을 경제사의 소단원으로 구성한다든지, 혹은 신분제도와 사회모순을 함께 구성하는 등 획일적인 구성에서 벗어나 교과서를 실제로 사용하는 학습자와 교수자의 편의를 배려하려는 시도가 나타나기도 했다. 문화사 영역과 관련하여서는 교육과정과 집필기준에서 ‘교류’의 의미를 지나치게 제한적으로 규정한데서 연유한 구성 상의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한국사 교과서에서 교류의 여러 측면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다양한 사례와 서술 방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교과서 검정 제도의 긍정적인 기능이 확인되었다고 생각된다. New textbooks for Korean History from eight different publishers have been released to the first year students of high school as of March 2014. The new textbooks were technically re-written in conformity with the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Annex 7 (Social Studies Curriculum) #2009-41 (Feb. 26, 2008) and have been authoriz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in 2013 who has been delegated of pertinent authority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is article is an outcome of a project to analyze how the new school curriculum has been implemented in the new Korean History textbooks and, as a result, how it affected the narrative of the textbooks mainly in the sections of the diplomatic relations, the economic affairs, and the socio-cultural domain of history of the Koryo dynasty. Even though several mistakes and minor errors survived through the former revisions accompanied by the revisions of the school curriculum, it is certain that the new textbooks generally proved many positive potentials of the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in several areas: diverse learner-centered learning materials, various approaches to different historical interpretations, high-quality visual materials, and user/ reader-oriented editing techniques.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this analysis useful also in the area of the study of teaching, the authors introduced better examples of presentation among the eight textbooks; in some cases, rough directions of supplementation were also suggested.

      • KCI등재

        고려 초기 지칭 표현을 통해 본 對거란 관계

        李美智(Lee, Miji) 한국사학회 2010 史學硏究 Vol.- No.99

        본고는 고려가 선택하여 사용한 거란에 대한 지칭 표현을 주요 소재로 하여 고려가 구상했던 거란과의 관계는 어떠한 것이었는지를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명시적인 거란 지칭어 외에 戎狄?賊?仇? 등과 같은 유표적 지칭 표현 및 고려가 구상하고 있던 거란과의 관계를 짐작하게 하는 交隣?請和 등의 표현 역시 거란 지칭 표현이라는 큰 범주에 포함하여 검토하였으며, 해당 지칭 표현의 발화자와 청자 및 발화 상황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태조대에서 성종대에 걸쳐 나타나는 無道?禽獸之國?强惡之國?戎狄 등의 거란 지칭 표현을 발화 맥락 속에서 분석해 본 결과, 이와 같은 부정적인 지칭어들은 정책적으로 선언되거나 혹은 고려 내부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사로써 사용된 측면이 있었음이 확인된다. 거란과의 관계를 지칭하는 표현들을 통해서는 당시 고려가 거란과의 관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보다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고려는 이를 자주 隣으로 묘사하였고 거란을 修好의 대상으로 파악하였다. 최승로가 태조대의 대외관계를 사대와 교린으로 나누었던 것을 보면 고려는 거란과의 관계를 중원 왕조와의 사대 관계와는 구분되는 교린 관계로 파악한 것으로 보인다. 고려와 중원 왕조 간에는 책봉이라는 외교 형식을 통해 양국간에 상하관계가 선명하게 드러났지만, 국초 거란과의 교린 관계는 五代 및 송과의 관계와는 구분되나 아직 뚜렷한 질서나 구체적인 외교 형식이 성립하지 않았다는 특징이 있었다. 이는 외부 정치체들과 개별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각각에 맞는 외교 관계를 수행해가던 고려 대외정책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The address terms which the Koryo used in 918-993 for the Khitans, were reexamined in the paper. The Koryo described the Khitans as "immoral(無道)", "bestial nation(禽獸之國)", "tough and vicious country(强惡之國)", "barbarians (戎狄)". Previous researches have argued that these phrases directly shows how much the Koryo disdained the Khitans. However, the neutral phrases for the Khitans, such as "they(彼)", "that country(彼國)", "the foreign country(外國)", are also used in the same period. Moreover, if we re-read the despising terms in the "context" including the speaker, the listener(s), and the communication situation, it is not convincing that the Koryo selected those terms only to contemn the Khitans. This paper also focused on the terms used when the Koryo defined their relations with the Khitans. The frequently chosen word was "neighbouring (隣)". Another significant phrase that reveals the Koryo"s conception on the relations with the Khitans was "getting along with the neighbours(交隣)". The Koryo differentiated "getting along with the neighbours(交隣)" from "serving the powerful(事大)". Why and how the Koryo separate those two different foreign relations is further argued in the pa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