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휴대용 부정맥 모니터의 개발(II)

        이명호,안재봉,박장춘,Lee, Myoung-Ho,Ahn, Ja-Bong,Park, Jang-Choon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89 의공학회지 Vol.10 No.3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of portable arrhythmia monitor and associated algorithm for automated diagnosis based-on microcomputer in the ambulatory ECG recording, analysis, and transmitting to a hospital host computer immediately through the telephone system. The device differs from Molter recorder in that it does not store normal ECG signals but captures and alarms the ECG during suspected abnormal periods and selected temporal epochs to a central hospital site. This porta file arrhythmia monitor makes use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and software will be changed to meet the custom requirements of individual physicians and patients. At present it is very obvious that each cardiologist has his own method of analyzing ECG recordings and utilizes past experience more than the firm quantitative analysis of data.

      • KCI등재후보

        LPG 벌크로리 이충전에 따른 가스사고 피해범위 예측에 관한 연구

        이명호(Myoung Ho-Lee),이수경(Su-Kyung Lee) 한국위험물학회 2014 한국위험물학회지 Vol.2 No.2

        The number of small size LP storage tanks increased about 14 times from 2,612 in 2001 to 35,457 in 2013. Therefore, The increment of installation of the tanks results in higher frequency of Unloading of LPG bulk lorry and the possibility of gas accidents rises as well. The research estimates and analyzes secondary damage caused by gas release while a bulk lorry is charging a small size LP storage tank affects other surrounding restaurants, factories and facilities. According to our research, the degree of risk depends on the maximum Maximum distance of explosion extent and radiation heat in fires, that vary with the seasons, wind velocity and so on. For this reasons, we want help gas suppliers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gas release by observing safety guidelines in feeding LPG into tanks from bulk lorry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사회의 ‘관계윤리’ 다시 생각하기 : 동양사상의 ‘중(中)’을 중심으로

        이명호(Lee, Myoung Ho) 동양사회사상학회 202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3

        사람들 사이의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한국사회에서 관계를 잘 유지하고 관리하는 것은 중요한 덕목이다. 이 덕목들은 관계에 참여하는 행위주체의 도덕적 완성을 지향한다. 즉 한국사회의 윤리적 전통에서 “어떤 사람이 좋은 사람인가”라는 질문은 도덕 실천을 위한 관점과 전략을 집약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과 전략은 한국사회에서 여전히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현실에서 이 관점과 전략이 실패하고 있음을 높은 자살률과 그 이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제는 ‘이상적 인격’을 묻는 질문 대신에 “어떤 관계가 좋은 관계인가?”라는 질문을 던져야 한다. 최근 연구자와 연구대상자 사이의 관계윤리, 의료인과 환자 사이의 관계윤리, 조직 내에서의 관계윤리 등 특정하고 구체적인 관계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관계에 관한 윤리적 관심은 여전히 부족하다. 연구자는 이처럼 관계에 대한 윤리적 관심과 전략의 부재가 한국사람들이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라고 생각한다. 이 연구는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하나의 사회문제로 규정하고 실천의 차원에서 이 문제를 다룰 것을 제안한다. 이는 예의범절로 상징되는, 인간관계에 적용되는 관습이 확고한 한국의 문화를 고려하면 매우 어색한 상황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에서 사람들 사이의 관계에 적용되는 윤리규범과 그 적용방식, 그리고 한국사회에서 관찰되는 ‘관계에서의 어려움’을 정리하였다. 또한 현대 한국사회에서 관찰되는 관계에 적용될 수 있는 ‘관계윤리’의 대안을 제시하려 노력하였고, 그 과정에서 연구자는 루만의 도덕이론을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도덕은 사회가 기능분화사회로 이행하면서 독립된 기능체계를 형성하지 못했고, 사회를 통합하는 기능을 상실하였다. 도덕은 각 기능체계의 작동을 보장하는 조건에서 부수적인 역할을 수행할 뿐이다. 하지만 이는 도덕의 기능 상실 혹은 폐지를 뜻하지는 않는다. 도덕은 여전히 상호작용을 성립시키고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각각의 기능체계들의 구조적 조건들에 따라 작용한다. 그리고 도덕을 경험적 현상으로 파악하고 관찰과 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한다. 이러한 루만의 윤리론에 기초하여 ‘좋은 관계’란 관계 그 자체에 집중하는 ‘중(中)’에 기초하고 ‘중’이 실현된 관계라고 주장할 것이다. In Korean society,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are very important. Maintaining and managing relationships well is an important virtue. In the ethical tradition of Korean society, the question “Who is a good person?” is very important. And people try to have the virtues of a good person. These ethical perspectives and strategies are still valid in Korean society. However, the failure of these ethical perspectives and strategies is confirmed by the high suicide rate and the reasons for it. Now, instead of asking the question of “ideal personality,” we have to ask the question, “What kind of relationship is good relationship?” Recently, the interest about in specific relationships such as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ers and research subjects,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personnel and patients, and relationship ethics within organizations is increasing. However, the interest about the Ethics of Relation is still lacking. I suppose that this lack of ethical interest and strategy for relationships is the reason why Koreans have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study recognizes ‘difficult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a social problem and proposes to deal with this problem in terms of practice. In this study, code of ethics applied to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its application methods and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observed in Korean society are summarized. In addition, I tried to suggest an alternative to ‘relational ethics’, and Luhmann’s Theory of Morality was briefly summariz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Lastly, among the various values of the East Thoughts, it was focused on the “Middle Path” and suggested “good relationship”.

      • KCI등재

        갈등전환의 토대로서 허응 보우의 불이사상 검토

        이명호 ( Lee Myoung-ho ) 동양사회사상학회 2020 사회사상과 문화 Vol.23 No.1

        이 논문은 보우의 사회활동과 활동의 근거가 된 불이사상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갈등전환의 관점에서 보우의 활동과 사상을 분석하였고, 현대 한국사회에서 그의 사상을 갈등전환이론으로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과제는 무엇인지도 검토하였다. 보우는 불이사상에 기반한 갈등전환,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계전환을 통해 유교와 불교의 갈등, 선종과 교종의 갈등을 극복하려 하였다. 비록 그의 시도는 실패하였지만, 그의 활동과 사상을 재해석하고 재구조화한다면 오늘날 한국사회의 갈등구조에 적용할 수 있는 갈등전환이론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연구자는 기대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보우의 사상을 인간론-수행론-사회론의 체계로 재구성하였다. 일정론은 본성의 차원에서 모든 인간이 동일하다고 주장하는 인간론으로, 일체론은 갈등하는 세력들의 화합을 추구하는 사회이론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보우 불이사상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우선, 일정론은 갈등당사자들이 공유하고 있는 보다 근원적 정체성을 확인하고 이를 소통과 협의, 타협의 근거로 활용하려는 이론적 근거로 재해석할 수 있다. 동양의 철학과 종교들은 인간의 본성은 자연의 본성을 담고 있다는 주장을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을 받아들이고 소통과 협의의 근거로 삼는다면 모든 사람은 동일한 정체성을 공유하는 존재로 서로를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 있다. 둘째, 일체론은 공동체를 강조하는 동양사회의 오랜 전통에 부합하는 갈등전환이론이다. 사회에 만연한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 일체론적 관점에서는 다양성과 함께 동질성에도 주목한다. 현대사회의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에 부합하게 집단의 다양성을 인정하면서도 대립하는 세력/집단들이 근원적인 정체성을 공유한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서로를 포용하고 차이를 줄일 것을 제안한다. 갈등 관계에 있는 세력들 모두가 인정할 수 있는 공통점을 찾고, 이를 갈등전환, 즉 관계전환의 출발점으로 삼는 것이다. 이를 통해 빈곤층과 중·상층, 보수와 진보, 근로자와 고용주, 수도권과 지방, 개발과 환경보존, 노인층과 젊은 층, 남자와 여자, 종교, 내국인과 외국인, 성적 지향 등과 같이 남들과 구분되는 정체성을 토대로 하는 관계를 갈등당사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보다 근원적인 정체성을 토대로 하는 관계로의 전환을 시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개인과 사회를 매개하는 수행은 공동체에서 소외받고 상처 입은 사람을 치유하여 사회로의 복귀를 도와주는 프로그램으로 적극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paper begins with the interest in Bowoo’s social activities and his thought. A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is activities and thought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flict transition and to see how they can contribute to Korean society today. For this purpose, the Bowoo’s theory were reconstruc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human nature, ‘the one rights theory’(一正論) is claimed that ‘all human beings are equal’. Therefore, this theory can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conflict transformation. ‘The consensus theory’(一體論) can be understood as a social theory pursuing the harmony of two conflicting force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we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the Bowoo’s ‘non-dualism’ (不二思想). First, the one rights theory can be reinterpreted as the idea of the underlying identity shared by the parties to the conflict. It is because human beings can accept each other as beings who share the same identity based on the claim that human nature contains nature’s nature. Second, the consensus theory is a conflict transformation theory that correspond with the Asian tradition that emphasized community. In order to overcome the widespread conflict in society, the consensus theory suggests that conflict parties must recognize diversity and at the same time embrace each other and reduce differences based on human homogeneity. It is to find common ground that both powers can recognize and use it as the starting point for conflict transitions. Finally, the practice of mediating individuals and society can be actively understood as a program that helps to return to society by healing alienated and wounded people in the community.

      • 승가공동체의 운영 원리와 현대적 함의

        이명호(Myoung-Ho Lee)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8 불교와 사회 Vol.10 No.2

        이 논문에서는 초기불교 시대의 승가공동체를 공동체의 전범(典範)으로 상정하고, 그 운영원리를 도출하고, 이를 현대사회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재해석하였다. 승가공동체의 운영원리는 세가지로 정리된다. 제1원리는 ‘충분한 합의를 위한 민주적 의사결정’, 제2원리는 ‘재화의 공유’, 제3원리는 ‘자치와 규범’이다. 제2원리는 공동체의 안정성을 위해 요구되는 물적 기반을 위한 것이며, 제3원리는 공동체 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토대이다. 이 두 토대가 굳건한 승가공동체에서는 제1원리 즉, 모든 구성원들이 참여하고 충분한 합의를 지향하는 민주적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 이 세 운영원리는 현대사회에서는 첫째, 구성원들의 이해관계 조정과 타협을 위해서는 다른 어떤 가치보다 이해당사자들이 모두 참여하는 충분한 논의와 합의가 필요하다는 것, 둘째, 현대사회에서는 사람들이 사적 이해관계를 벗어나 공공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충분한 사회안전망이 구축되고 작동되어야 한다는 시사점, 마지막으로 주민자치와 주민참여는 특정한 지역공동체의 정체성과 자신이 해당 공동체의 구성원이란 소속감을 형성한 이후에나 가능하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have assumed the community of the early Buddhism as the Ideal type of community. Then, we have summarized the operating principles of the Sangha community and reinterpreted these principles so that it can be applied in contemporary society. The operation principles of the Sangha community are organized into three principles. The first principle is “democratic decision-making for full consensus”. The second operating principle is “sharing of goods”. The third operating principle is “autonomy and norms”. The second principle is for a material basis for the stability of the community. The third principle is the basis for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members of the community. The Sangha community that these two principles are firm, is worked properly the first principle, that democratic decisions are made in which all members are involved and fully agreed. These three operating principle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in contemporary society: First, there is a need for sufficient discussion and consensus that all stakeholders are involved in all the other values to reconcile and compromise the interests of the members. Second, in contemporary society, a sufficient social safety net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for people to get out of private interests and to gain publicness. Finally, residents' autonomy and citizen participation are possible only after the identity of a specific community and the feeling of belonging of the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