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 뒷담화 척도 타당화

        이말순 ( Mal Soon Lee ),박성옥 ( Seong Ok Park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21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청소년 뒷담화 척도 2차 연구로 D 광역시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중에서 뒷담화를 경험한 504명에게 수집하여 교차 분석과 수렴 타당도를 통해 타당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7.0으로 분석하였다. 최종 청소년 뒷담화 동기척도는 도출된 ‘수동 공격성’ 5문항, ‘인정 욕구’ 3문항, ‘관계 욕구’ 5문항, ‘경쟁 욕구’ 4문항으로 총 4개 요인 17개 문항의 타당화가 확인되었다. 뒷담화 기능 척도는 도출된 ‘욕구 충족 기능’ 8문항, ‘역기능’ 6문항으로 총 2개 요인 14개 문항의 타당화가 확인되었다. 뒷담화감정 해소척도는 도출된 ‘해소감’ 5문항, ‘불편감’ 4문항으로 총 2개 요인 9개 문항의 타당화가 확인되었다. 내적 일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청소년 뒷담화 동기 척도, 기능 척도, 감정 해소 척도 Cronbach's α값은 .70 ~ .84로 신뢰로운 값이 나왔다. 청소년 뒷담화 척도가 관계적 공격성척도와 갈등 대처 방식척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시사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secondary study on youth backbiting scale, and 504 students who experienced backbiting among students enroll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D city were collected and validated through cross-analysis and convergent valid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1.0 and AMOS 27.0. The final backbiting motivation scale was derived from ‘passive aggression’ 5 items, ‘recognition desire’ 3 items, ‘relationship desire’ 5 items, and ‘competition desire’ 4 items, and the validity of 17 items of 4 factors was confirmed. As for the backbiting function scale, the derived 'desire satisfaction function' 8 items' and 'dysfunction function' 6 items confirmed the validity of 14 items with 2 factors. In the scale of backbiting emotion relief, the validity of 9 items with 2 factors was confirmed with 5 items of 'resolving feelings' and 4 items of 'discomfort feelings'. Cronbach's α value for the youth backbiting motivation scale, function scale, and emotion relief scale for examining internal consistency was .70 to .84, which showed reliable values. It was confirmed that the youth backbiting scal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relational aggression and the conflict coping method. Finally,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study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 SCOPUSKCI등재

        생후 발생단계에 따른 한국재래산양 위장관에 있어서 somatostatin 면역반응세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이형식,이말순,Lee, Hyeung-sik,Lee, Mal-soon 대한수의학회 2000 大韓獸醫學會誌 Vol.40 No.2

        한국재래산양의 개체발생의 단계별 (1일령, 1개월령, 6개월령, 성체) 차이에 따른 위장관에 존재하는 somatostatin 면역반응세포의 부위벌 분포와 출현빈도률 알아보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던 바, somatostatin 면역반응세포는 모든 실험군의 전 위장관에 분포하였으며, 위저부에서 가장 다수로 관찰되었으며, 각 실험군에서 소화관의 원위부로 갈수록 또 연령이 중가할수록 이들 세포는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이들 세포들의 형태는 유문부에서 주로 구형, 타원형, 난원형의 폐쇄형 세포가 주로 관찰되었으며, 장 부위에서는 방추형의 개방형 세포가 다수 관찰되었다. 이들 면역반응세포의 각 연령에서외의 정확한 의의는 알 수 없으나 분포 및 빈도의 차이는 연령에 따른 식이습성과 생리적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relative frequency of somatostatin-immunoreactive cell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were studied during the postnatal development(1 day old, 1 month old, 6-month-old and adult) of the Korean native goat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s. Somatostatin-immunoreactive cells were found in the entire gastrointestinal tract and were most predominant in the fundic gland region except for the pyloric gland region of the 1 day old. The number of these cells was observed to decrease along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to decrease according to the increase with age in all postnatal stages. In this study, immunoreactive cells revealed the differences of regional distribution and the relative frequenc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the functional significance of fetal endocrine cells remains unknown, this was caused by changing of feeding habits and physiological conditions during different ages.

      • SCOPUSKCI등재

        아무르장지뱀의 위장관 내분비세포에 관한 조직화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이형식,이말순,이재현,Lee, Hyeung-sik,Lee, Mal-soon,Lee, Jae-hyun The Korean Society of Veterinary Science 1995 大韓獸醫學會誌 Vol.35 No.1

        아무르장지뱀(Takydromus amurensis)의 위장관 점막에 분포하는 내분비세포의 분포와 출현빈도 및 세포의 종류를 알아보기 위하여 몇가지 도은법 및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Grimelius법에만 염색된 은호성세포(argyrophil cell)는 유문부에 다수로 십이지장에 중등도로 국한되어 출현하였다. 한편 bovine CG면역반응세포는 유문부에서 최고의 빈도로 전장관에 걸쳐 분포하였다. BPP면역반응세포는 소장부위에서만 동정되었다. 따라서 아무르장지뱀의 위장관 내분비세포에서 은호성세포와 bovine CG면역반응세포는 분포와 출현빈도에서 일치하지 않았다. The distribution and the frequency of endocrine cells in the GIT of the Amur lizard(Takydromus amurensis) were investigated using silver techniques and immunohistochemical method. Only argyrophil cells stained by the Grimelius technique were found numerous in the pyloric glands and moderate in the duodenum. Two types of immunoreactive endocrine cells were identified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 Bovine CG-immunoreactive cells were demonstrated the entire GIT. BPP-immunoreactive cells were restricted in the duodenum and the ileu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argyrophil cells was lower than the number of cells stained with bovine CG antiserum. Therefore, bovine CG-immunostaining and the Grimelius silver technique did not correspond with various endocrine cells in the Amur lizard.

      • SCOPUSKCI등재

        An histochemical study of endocrine cells in the alimentary tract of the red-eared slider, Trachemys scripta elegans

        이형식,구세광,박기대,이재현,이말순,Lee, Hyeung-sik,Ku, Sae-kwang,Park, Ki-dae,Lee, Jae-hyun,Lee, Mal-soon The Korean Society of Veterinary Science 2000 大韓獸醫學會誌 Vol.40 No.2

        붉은귀거북이(red-eared slider, Trachemys scripta elegans)의 소화관에 존재하는 위장관내분비세포의 부위별 분포 및 출현빈도를 Grimelius 및 Masson-Hamperi(M-H)도은 염색을 이용하여 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다. 소화관은 식도, 기저부(fundus), 유문부, 십이지장, 공장, 회장 및 대장의 7부위로 구분하였다. 소화관 전 부위에 걸쳐 은호성세포(argy-rophil, Grimelius-positive cell) 및 은친화성세포(argentaffin cell, M-H-positive cell) 들이 관찰되었다. 타원형에서 방추형 또는 난원형에서 원형의 은호성세포 및 은친화성세포들이 기저부와 유문부의 위샘(gastric gland), 장 및 식도상피의 기저부에서 관찰되었으며, 소화관 각 부위별로 다양한 출현빈도를 나타내었다. 은호성세포들은 식도를 포함한 소화관 전 부위에서 관찰되었으며, 중등도의 출현빈도를 나타낸 직장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식도, 기저부, 십이지장, 공장 및 회장에서 극소수, 유문부에서는 소수 관찰되었다. 은친화성세포들 역시 소화관 전 부위에서 관찰되었으며, 은호성세포와 유사하게 다수의 출현빈도를 나타낸 직장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직장 이외의 부위에서는 소수의 세포들이 관찰되었다. The regional distributions and relative frequencies of endocrine cells were studied histochemically (Grimelius and Masson-Hamperl (M-H) silver methods) in the alimentary tract of the red-eared slider, Trachemys scripta elegans. Samples were taken from the esophagus, fundus, pylorus, duodenum, jejunum, ileum and large intestine. Argyrophil (Grimelius-positive) cells and argentaffin (M-H-positive) cells were found in the whole alimentary tract in this study. Spherical to spindle and/or oval to round-shaped argyrophil or argentaffin cells were located in the gastric glands of the stomach regions, in the basal portion of the epithelium of intestinal tract or the esophagus with variable frequencies. Argentaffin cells were more numerously detected in the whole alimentary tract compared with those of argyrophil cells in this study. Argyrophil cells were observed in the whole alimentary tract including the esophagus and the most predominant region was the rectum with moderate frequency. The relative frequency of these cells was rare in the esophagus, fundus, duodenum, jejunum and ileum, respectively and a few frequency in the pylorus. Argentaffin cells were also observed in the whole alimentary tract including the esophagus and the most numerously demonstrated region was the rectum with numerous frequency. They were observed with a few frequencies in the remaining regions of the alimentary tract except for the rectum, respectively. However, to know the exact type of the argyrophil cells and argentaffin cells that were observed in this study, more developmental methods such as immunohistochemistry were needed.

      • 생후 6 개월령 한국재래산양의 위장관에서 chromogranin A 면역반응세포에 대한 분포 및 출현빈도에 관한 연구

        이형식,이말순 慶山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2000 基礎科學 Vol.4 No.2

        생후 6개월령의 한국재래산양 위장관에서 chromogranin A 면역반응세포의 각 부위별(위저부, 유문부, 십이지장, 공장, 회장, 결장 및 직장의 7부위) 분포와 출현빈도를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한 결과, chromogranin A 면역반응세포는 위장관 전부위에서 관찰되었다. 위장관 부위별 출현빈도는 위저부(126.0/1㎟)에서 가장 높은 출현빈도를 나타내었고, 유문부(125.0/1㎟), 직장(80.0/1㎟), 결장(70.0/1㎟), 공장(54.0/1㎟), 회장(54.0/1㎟) 및 십이지장(47.0/1㎟)의 순으로 관찰되었다. 이들 chromogranin A 면역반응세포들은 주로 위저부, 유문부, 십이지장, 회장 및 결장부위에서는 점막샘에 다수, 점막 상피에 소수 관찰되었으며, 공장과 결장에서는 점막 전체에 산재되어 관찰되었다.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relative frequency of chromogranin A-immunoreactive cell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Korean native goat at 6-month-old were studied with immunohistochemical methods. The digestive tract was divided into seven portions, fundus, pylorus, duodenum, jejunum, ileum, colon and rectum. Chromogranin A-immunoreactive cells were detected throughout the whole gastrointestinal tract and they were situated to the mucosal glands, which were located in the basal parts of digestive tract, with round, oval and/or spindle shape and surface epithelium with spindle shape. These cells were most predominant in fundus and the relative frequencies of the other portions were observed to be in the following order : fundus > pylorus > rectum > colon >> jejunum = ileum > duoden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