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약용 역학의 본령– 역도론, 역리론, 역의론을 중심으로

        이난숙 (사)율곡학회 2017 율곡학연구 Vol.3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yidao, yili and yiyi theory in Jeong Yak-yong(丁若鏞)’s yixue(易學) and discuss the significance of its interpretations. The Chinese yixue is traditionally classified as ‘Yangfayukchong(兩派六宗: two schools with six features of study)’ in the Siku Quanshu Zongmu Tiyao(四庫全書總目提要). In this paper, Yixue has been differentiated with the Yili(義理) and Xiangshu(象數). Moreover, the perspectives of four elements in Zhouyi’s sentence(辭), change(變), symbol(象) and divine(占) have been studied through the fundamental theories of Jeong Yak-yong. Jeong Yak-yong’s theories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 in space-time and symbol mentioned in Zhouyi through documental archaeology and exegetical studies. Jeong Yak-yong explores the core elements of Zhouyi which exists in the bianyi through the theory of yidao, yili and yiyi. Jeong Yak-yong was free from the conventions of Xiangshu and Yili. However, Jeong Yak-yong analyzed yili from his perspective and methodically interpreted Xiangli and Shuli because he was not much convinced with the Yixue of Song(宋). Jeong Yak-yong’s yixue is a collective classification of prototypical elements and analytical methods. Based on these components, this paper can be comprehended as a study of Jeong Yak-yong’s explanation and composite of yixue determined in Zhouyi’s sentence, change, symbol and divine’s interpretative principle which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creative ‘Study of Yili(易理學)’. 본 논고는 정약용(丁若鏞) 역학의 본령(本領)이 되는 역도론(易道論), 역리론(易理論), 역의론(易義論)을 비교론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그의 역학이 지향한 『주역』 해석학의 본의와 특징을 해명하였다. 중국은 청대 이후 『사고전서총목제요』에 제시된 ‘양파육종(兩派六宗)’으로 역대 중국역학을 분류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중국이 분류한 상수파와 의리파의 ‘양파’ 구도와 다른 『주역』의 4대 형성요소인 성인사도[聖人四道: 사(辭)⋅변(變)⋅상(象)⋅점(占)]에 주목해 정약용의 세 역학이론이 어떤 형성요소를 규명하는 해석이론인지를 분석하였다. 종합하면, 정약용의 세 역학이론은 『주역』에 내포된 ‘시변(時變: 시공간의 변화)’과 ‘상변(象變: 상징의 변화)’을 규명한 특징이 있다. 정약용 역학은 『주역』의 핵심적 요체가 ‘변역(變易)’이라는 역의를 토대로 한다. 그는 역도론에서 천도(天道)의 변화를 강조했고, 역리론에서 「역리사법」 등 구체적인 이론체계를 완성하였다. 정약용은 상수나 의리 어느 한편에 얽매여 해석하지 않았다. 그는 송(宋)대 역학에서 미비했던 상리와 수리의 해석을 체계적으로 주해하고자 했고, 의리를 현학이 아닌 자신만의 역리로 재해석하였다. 그러한 결과를 통해서 정약용 역학이 『주역』의 원형(原形)적 요소를 주목하여 그 근간을 이해하고 해석할 방법 및 이에 대한 상징성들을 종합적으로 규명한 역학이라고 볼 수 있다. 즉 그의 역학은 『주역』의 핵심적인 형성요소인 사⋅변⋅상⋅점의 해석원리를 고르게 해명하고자 한 독창적인 ‘역리학(易理學)’의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왕필, 소옹의 중국역학과 이이, 정약용의 한국역학에 담긴 창의적 우주관

        이난숙 (사)율곡학회 2020 율곡학연구 Vol.41 No.-

        This study compares the creative cosmology of Chinese and Korean Scholars- Wang Bi(王弼) and Shao Yong(邵雍) from China and Lee Yi(李珥) and Jeong Yak-yong(丁若鏞) from Korea. Chinese scholar Wang Bi interpreted changes in space and nature from Laotzu(老莊)’s philosophy. Wang Bi established the Zouyi philosophy of yili(義理) and fused with the philosophy that deems non-existence as significant. Wang Bi interpreted transcendental Moral Philosophy. Moreover, reason of the Zouyi was replaced with yili. As a result, Xiangshuyixue(象數學: Zouyi philosophy based on symbol and number) of the Han(漢) dynasty was eliminated and Zouyi philosophy was further simplified. Shao Yong classified the cosmological changes into pre-heaven(先天) and post-heaven(後天) and by using binary system(加一倍法), explained the cosmological changes. Also, Shao Yong explained the philosophical thoughts through painting. Shao Yong cognized Taiji(太極: the origin of the universe) as mind and comprehended the principle of cosmological nature as a principle of mind (psychology). Lee Yi cognized Taiji as Li(理). However, Lee Yi stated that li(理) and qi(氣) are inseparable. This cognition is different from other Korean scholars’ interpretation on relationship between li and qi. In this way, Lee Yi comprehended the fusion of Taiji and Yin Yang and thus, a new Zhouyi philosophy was established. Jeong Yak-yong assessed the way of heaven as a cycle of natural science. According to Jeong Yak-yong, Taiji and yin and yang were qi. From this Taiji(yin and yang)’s perspective, Jeong Yak-yong criticized the analysis of Taiji and further endeavoured to examine the entire fundamental elements of Zhouyi. Jeong Yak-yong focused on the elements of the Four Saints' Reason(聖人四道) and analysed their close relationships and consequently established the cosmological perspectiv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four scholars(Wang Bi, Shao Yong, Lee Yi and Jeong Yak-yong) established different Zhouyi philosophy. However, Wang Bi, Shao Yong, Lee Yi and Jeong Yak-yong studied Zhouyi philosophy from critical perspective rather than following the prevailing Zhouyi. Furthermore, the four scholars established a cosmology that was contrary to the existing interpretations. 본고는 이이와 정약용의 한국역학 특징을 해명하는 연구지원사업 가운데 먼저 중국역학의 창의적 우주관과 비교하기 위한 논문이다. 중국역학자 가운데 창의적 역학을 주장한 왕필(王弼), 소옹(邵雍)과 한국학자 이이(李珥), 정약용(丁若鏞)의 창의적 우주관을 비교하고, 이들 역학의 독창적 특징을 해명하고자 한다. 중국 역학자 왕필은 우주와 자연 사물의 변화현상을 노장사상과 귀무론(貴無論)적 우주관을 토대로 융합적으로 해석하는 현학적 의리역학을 정립하였다. 망상(忘象)론과 망수(忘數)론으로 초월적인 의리를 주장하면서 역리를 의리로 대체하였다. 이로써 한대 상수역학을 일소하고 역사(易詞)를 간명하게 해석하였다. 소옹은 영속적인 우주의 순환과 천도를 선천과 후천으로 나누고, 가일배법의 수리(數理)로서 이를 해명하였다. 소옹은 도상설(圖象說)로서 우주변화와 형성을 구체화하고, 태극을 심법(心法)으로 해석해 우주자연의 원리를 심리로 이해한 특징이 보인다. 이이는 ‘태극즉리(太極卽理)’를 근본으로, 리기(理氣) 관계를 불상잡(不相雜)의 이원론 관계라는 해석에서 리기묘합(理氣妙合)의 불상리(不相離) 관계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이이는 태극과 음양의 선후가 없다는 융합적 이해로서 새로운 우주론을 주장하면서 성리학 이론을 새롭게 정립하였다. 정약용은 ‘일음일양(一陰一陽)’을 천도로 보았다. 이를 자연과학의 순환 현상으로 한정해 해석하면서 태극이 기氣라는 기학적 태극관을 가졌다. 이에 정약용은 형이상학적 태극론을 부정한다. 정약용은 『주역』 해석에서 성인사도(聖人四道)의 형성요소 규명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태극과 역수들을 서법(筮法)의 수로 해석함으로써 독창적 수리설과 우주관을 주장하는 새로운 역학을 정립하였다.

      • KCI등재

        한대 순상(荀爽) 역학에 관한 정약용의 인식과 평가

        이난숙 (사)율곡학회 2023 율곡학연구 Vol.53 No.-

        이 글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한대(漢代) 역학 대가인 순상(荀爽, 128~190)의 역학을 논평한 「이정조집해론(李鼎祚集解論)」과 「정강성역주론(鄭康成易註論)」, 「한위유의론(漢魏遺義論)」의 3편을 중심으로 그의 인식과 평가를 해명한 논문이다. 순상은 동한(東漢)시대 박사(博士)로 보임될 만큼의 대학자였지만, 그의 역학 저술은 일실(逸失)되어 자료가 많지 않았다. 당(糖)대에 이르러 이정조(李鼎祚)가 순상 역학을 비롯한 한역(漢易)을 수집해 주역집해(周易集解) 를 편집했고, 정약용은 이를 ‘금석지전(金石之典)’으로 여겼다. 정약용은 한역이 구가(九家)의 역학으로 집대성되었고, 다시 순상과 우번의 이가(二家)의 역학으로 집대성되었다고 판단하였다. 그러한 이유는 주역 경전의 종지(宗旨)에 부합되는 해석이 많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에 정약용은 순상 역학 가운데 사(辭)·변(變)·상(象)·수(數)에 관한 주석들을 채록해 조목조목 논평하였다. 순상 역학에 관한 정약용의 인식과 평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순상 역학은 경전의 종지에 부합되는 것이 많다. 둘째, 건괘(乾卦)를 사물의 출발점으로 본 것은 잘못이다. 셋째, 준괘(屯卦) 초구(初九)와 비괘(賁卦) 「단전」의 괘변 해석은 매우 긍정적이다. 넷째, 훈고에서 건괘(乾卦) 「상전」 ‘대인조야(大人造也)’의 해석은 긍정 평가했으나, 비괘(賁卦) 육오(六五)의 ‘비우구원(賁于丘園)과 리괘(離卦) 「단전」의 ‘려야(麗也), 쾌괘(夬卦) 구오(九五)의 ‘현륙(莧陸), 간괘(艮卦) 구삼(九三)의 ‘려훈심(厲薰心)’의 해석은 오류, 억지 해석, 또는 부족한 해석으로 평가하였다. 다섯째, 리괘(離卦) 구삼(九三) 일측지리(日昃之離)의 해석은 역의 큰 사례라고 긍정 평가했고, 순상의 상(象) 해석이 사라졌음을 아쉬워하였다. 여섯째, 수리(數理) 가운데 만물수 11,520의 책수 해석을 긍정했으나, 대연수(大衍數) 해석은 오류로 평가하였다. 일곱째, 건원(乾元) 해석에서 일부는 긍정, 일부는 부정 평가했고, 「계사전」의 추기(樞機)에 관한 해석은 그 언급을 보류하였다. 결론적으로 정약용은 한역에서 순상(荀爽)과 우번(虞翻)의 역학을 높이 평가했고, 특히 순상 역학 가운데서 주역 의 종지에 부합되는 이론은 괘변설(卦變說, 推移說)과 물상(物象) 해석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건괘(乾卦)·곤괘(坤卦) 중심의 괘 형성설을 부정하고, 훈고에서는 정미하지 못한 해석들을 바로잡았다. 수리에서는 책수 해석을 긍정하고 대연수 해석을 부정 평가함으로써 객관적인 평가를 하였다. 이처럼 정약용은 순상의 사변상점(辭變象占)에 관한 해석을 포괄해 살펴보고, 한역에는 수용할만한 이론과 해석방법론도 있지만, 또한 견강부회, 혹은 천착한 해석도 많기 때문에 세밀하게 분별해야 함을 역학평론에서 논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Jeong Yak-yong(丁若鏞. 17621-1836) on the Yixue(易學) of Xun Shuang(荀爽. 128-190), a Yi Scholar of the East Han Dynasty(東漢). Xun Shuang was an epidemiological master appointed as a court academician in the East Han Dynasty, and he wrote a lot about Yixue, but most of them were lost and not transmitted. Jeong Yak-yong commented about the Xun Shuang’s interpretation.of Yixue focusing on the inclusion of Li Ding-zuo(李鼎祚)’s The Collected Annotations of the Zhouyi(周易集解) . The content is in three sheet, namely 「The Collected Annotations of the Zhouyi by Li Ding-zuo(李鼎祚集解論)」, 「The Yi Zhu Theory of Zheng Kang-Cheng(鄭康成易註論)」 and 「On the Legacy of Han and Wei Dynasties(漢魏遺義論)」. Here, Jeong Yak-yong judges that HanYi(漢易) was compiled into the Yixue of the nine Great Master(九家), and again epitomized into the Yixue of Xun Shuang and Yu fan(虞飜).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re are many things that match the purpose of the Zouyi(周易) Classic. Accordingly, he commented even the interpretation of the changes(變) and the number(數) by collect and record focusing on he judgements(辭) and the images(象). As a result of the study, Jeong Yak-yong's perception and evaluation about .Xun Shuang’s Yixue are as follows. First, Xun Shuang's Yixue is often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Classics. Second, it is wrong to see Qian Gua(乾卦) as the starting point for things. Third, Tun Gua(屯卦) chujiu(初九). the first Yang of hexagram) and Bi Gua(賁卦) Tuanzhuan(彖傳)'s interpretation of Hexagram transformation was very positively evaluated. Fourth, among ‘the commentary work on classes(訓詁)’, Qian Gua Xiang Chuan(象傳)'s interpretation of big man-made also' was positively evaluated, while Bi gua(賁卦) liuwu(六五)'s Decoration on the Slope and Hills(賁于丘園) and Li gua(離卦) Tuanzhuan(彖傳)'s Hang(麗也), the interpretation of Guai gua(夬卦)’s jiuwu(九五)'s maranth root(莧陸) and Gen gua(艮卦) jiusan(九三)'s worry one's mind(厲薰心) were evaluated as errors or forced interpretations and insufficient interpretations. Fifth, Xun Shuang's interpretation of Li Gua jiusan(九三) ‘the Sun is hanging down(日昃之離)’ was positively evaluated as an excellent example of the station, and it was regrettable that Xun Shuang's Yixue disappeared. Sixth, among Xun Shuang's interpretation of shuli(數理), the Ceshu(策數) interpretation of the number of all things 11,520 was positive, while the Dayan number(大衍數) interpretation was evaluated by all Hanyi(漢易) scholars. Seventh, in Xun Shuang's Qianyuan(乾元) interpretation, some were positive and some were denied, and the evaluation was suspended without mentioning the interpretation of shuji(樞機) in 「the great commentary(繫辭傳)」. Therefore, Jeong Yak-yong regarded The Collected Annotations of the Zhouyi edited by Li Ding-Zuo as a valuable scripture and highly valued the Yixue of Xun Shuang and Yufan among the nine Great Master’s Yixue. However, it was intended to deny the Hexagram formation theory(卦形成說) centered on Qian Gua(乾卦) and Kun gua(坤卦), and to correct the error of 'the commentary work on classes(訓詁)'. He also expressed his view by positively evaluating Xun Shuang's correct interpretation about the judgements(辭) and the images(象). Like this, among the detailed interpretations, errors were negatively evaluated, revealing that there were also points to be noted in Xun Shuang's Yix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