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현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노화에 관한 연구

        이근하 ( Keun Ha Lee ),박수남 ( Soo Nam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08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현초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분석 및 elastase와 tyrosinase 저해효과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sub>50</sub>)은 50 % 에탄올 추출물(15.0 μg/mL) < ethylacetate 분획(4.5 μg/mL) <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0.9 μg/mL) 순으로 증가하였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하여 Fe<sup>3+</sup>-EDTA/H<sub>2</sub>O<sub>2</sub>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현초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50 % 에탄올 추출물(OSC<sub>50</sub>, 0.23 μg/mL) < ethylacetate 분획(0.16 μg/mL) < aglycone 분획(0.04 μg/mL)순으로, aglycone 추출물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현초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현초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1 ∼ 50 μg/mL)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에서 50 μg/mL 농도에서 τ<sub>50</sub>이 676.7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Aglycone 분획은 tyrosinase와 elastase 저해활성(IC<sub>50</sub>)이 각각 70.0, 19.9 μg/mL로 매우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현초 추출물 중 ethylacetate 분획의 당 제거 반응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은 TLC에서 2개의 띠로 분리되었으며 HPLC 실험(370 nm)에서도 2개의 피이크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2가지 성분은 quercetin, kaempferol이었으며, 그들의 성분비는 각각 15.3 %, 82.8 %로 kaempferol의 함량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현초 추출물이 <sup>1</sup>O<sub>2</sub>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현초 성분에 대한 분석과 ethylactate분획의 당 제거 실험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의 큰 elastase 저해활성으로부터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도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effects and inhibitory effects on elastase and tyrosinase of Geranium nepalense extracts were investigated. The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ies (FSC<sub>50</sub>) of extract/fractions of Geranium nepalense were in the order: 50 % ethanol extract (15.0 μg/mL) < ethylacetate fraction (4.5 μg/mL). < deglycosylated flavonoid aglycone fraction (0.9 μg/mL).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ies (OSC<sub>50</sub>) of some Geranium nepalense extracts on ROS generated in Fe<sup>3+</sup>- EDTA/H<sub>2</sub>O<sub>2</sub> system were investigated using the luminol-dependent chemiluminescense assay. The order of ROS scavenging activities were 50 % ethanol extract (OSC<sub>50</sub>, 0.23 μg/mL) < ethylacetate fraction (0.16 μg/mL) < deglycosylated flavonoid fraction (0.04 μg/mL). Deglycosylated flavonoid fraction showed the most prominent scavenging activity. The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fractions of Geranium nepalense on the rose-bengal sensitiz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were investigated. The Geranium nepalense extracts suppressed photohemolysi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particularly deglycosylated flavonoid fraction exhibited the most prominent celluar protective effect (τ<sub>50</sub>, 676.7 min at 50 μg/mL). The inhibitory effect of aglycone fraction on tyrosinase (IC<sub>50</sub>, 70.0 μg/mL) and elastase (IC<sub>50</sub>, 19.9 μg/mL) was very high. Aglycone fractions obtained from the deglycosylation reaction of ethyl-acetate fraction among the Geranium nepalense extracts, showed 2 bands in TLC and 2 peaks in HPLC experiments (370 nm). Two components were identified as quercetin (composition ratio, 15.3 %), kaempferol (82.8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xtract/fractions of Geranium nepalense can function as antioxidants in biological systems, particularly skin exposed to UV radiation by scavenging <sup>1</sup>O<sub>2</sub> and other ROS, and protect cellular membranes against ROS. And component analysis of Geranium nepalense extract and inhibitory activity on elastase of the aglycone fraction could be applicable to new functional cosmetics for smoothing wrinkles.

      • KCI등재후보

        Kaempferol 및 Kaempferol Rhamnosides의 항산화 활성 및 항염 효과에 관한 연구

        이근하 ( Keun Ha Lee ),조영롱 ( Young Long Cho ),주철규 ( Chul Gue Joo ),주연정 ( Yeon Jeong Joo ),권순상 ( Sun Sang Kwon ),안수미 ( Soo Mi Ahn ),오수진 ( Su Jin Oh ),노호식 ( Ho Sik Rho ),박청 ( Chung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11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7 No.3

        본 연구에서는 kaempferol 및 그 배당체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free radical 소거활성, ROS inhibition assay, TARC 생성 억제 관련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kaempferol과 그들의 rhamnosides (α-rhamnoisorobin, afzelin, kaempferitrin)의 구조에 따른 생리적 활성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Kaempferol과 α-rhamnoisorobin은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50)에서 각각 62.5, 50.0 μM이 측정되었으며 afzelin과 kaempferitrin은 농도와 상관없이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ROS inhibition assay에서는 시료 농도를 10, 50, 100 μM을 처리한 결과 kaempferol은 대조군(100 %)에 비하여 ROS 발현 농도를 각각 97.5, 57.8, 47.8 %로 감소하였으며 α-rhamnoisorobin은 93.1, 59.1, 41.4 %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TARC (thymus and activation regualted chemokine) 생성 억제능 실험을 통해 시료의 항염증 효능을 평가한 결과 kaempferol은 10, 50, 100 μM 농도에서 대조군(100 %)에 대비하여 각각 48.8, 5.5, 4.4 %로 농도 의존적으로 TARC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α-rhamnoisorobin은 88.1, 19.0, 1.0 %로 TARC 생성의 감소 효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kaempferol과 그들의 rhamnoside 중 kaempferol과 α-rhamnoisorobin은 항산화, 항염증에 대한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며 더 나아가서는 항노화 및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화장품에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kaempferol and its rhamnosides, we performed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ROS inhibition assay and TARC (thymus and activation- regulated chemokine) assay. Also, we studied physiological activity of kaempferol and its rhamnosides (α-rhamnoisorobin, afzelin, kaempferitn) by structure-activity relations. The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ies were determined with kaempferol (62.5 μM) and α-rhamnoisorobin (50.0 μM) but afzelin and kaempferitrin did not show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Kaempferol showed a 97.5, 57.8, 47.8 % inhibition of ROS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ed at concentrations of 10, 50 and 100 μM, compared to control (100 %). α-rhamnoisorobin showed a 93.1, 59.1 and 41.4 % inhibition of ROS at the same concentration.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kaempferol and its rhamnosides on TARC expression. Kaempferol showed a 48.8, 5.5 and 4.4 % inhibition of TARC generated at 10, 50 and 100 μM, compared to control. α-Rhamnoisorobin showed a 88.1, 19.0 and 1.0 % inhibition of TARC generated at the same concentration.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kaempferol and α-rhamnoisorobin have good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that could be applicable to new functional cosmetics for anti-aging and anti-inflammation.

      • KCI등재후보

        치아 씨앗으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의 성분분석과 보습 효과

        이범천 ( Bum Chun Lee ),주철규 ( Chul Gue Joo ),허지연 ( Ji Yeon Hur ),이근하 ( Keun Ha Lee ),김영진 ( Young Jin Kim ),이찬우 ( Chan Woo Lee ),김진웅 ( Jin Woong Kim ),박용일 ( Yong Il Park ),김현숙 ( Hyun Sook Kim ),최태부 ( Tae 대한화장품학회 2010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6 No.2

        본 논문에서는 치아 씨앗으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proteoglycan)의 성분분석과 분자량 측정 및 피부보습 효과를 연구하였다. 분리된 단백다당체의 성분분석 결과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를 이루고 있는 당 성분(%)은 galactose (46.8), glucuronic acid (27.1), rhamnose (8.7), xylose (7.6), glucose (4.9), fructose (2.3), mannose (1.8), arabinose (0.9)로 확인되었으며, 함유된 단백질의 함량은 31.3 mg/g으로 이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성분(mg/g)은 Asp (1.9), Glu (3.6), Ser (0.9), Gly (3.6), Thr (0.8), Arg (1.0), Ala (2.0), Tyr (0.4), Cys (4.8), Val (1.1), Phe (0.5), Ile (0.6), Leu (0.9)로 확인 되었다.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에 의해 측정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의 분자량 범위는 100,000 ~ 250,000 Da로 분자량 분포에 의한 평균 분자량은 170,000 Da이었다. 또한, 사람을 이용한 피부수분 보유 효과 및 피부 수분 손실량을 평가한 결과, 피부의 수분함량을 유지하는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표피 수분 손실량 또한 적어서 피부 보습제로서 매우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치아 씨앗의 다당체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를 화장품에 응용하면 우수한 보습효과를 가지는 화장품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kin hydration and composition analysis of proteoglycan (chia seed polymer) produced from chia (Salvia hispanica) seed. The result showed that proteoglycan of chia seeds is composed of galactose (46.8 %), glucuronic acid (27.1 %), rhamnose (8.7 %), xylose (7.6 %), glucose (4.9 %), fructose (2.3 %), mannose (1.8 %), arabinose (0.9 %) and the amount of proteins contained is 31.3 mg/g with the constituent amino acid compositions (mg/g) of Asp (1.9), Glu (3.6), Ser (0.9), Gly (3.6), Thr (0.8), Arg (1.0), Ala (2.0), Tyr (0.4), Cys (4.8), Val (1.1), Phe (0.5), Ile (0.6), Leu (0.9).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roteoglycan measured by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is the range of 100,000 ~ 250,000 Da and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is 170,000 Da. The moisturizing effects and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of chia seed polymer in cosmetic products (O/W emulsion) were studied in vivo. Chia seed polymer showed good skin hydration effects when compared with sodium hyaluronate which is a common moisturizer. Taken all together, chia seed polymer should be a very useful cosmetic ingredient as a moisturizer and a protecting agent from various skin irritations.

      • KCI등재후보

        제주 자생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에 관한 연구(II)

        김진영 ( Jin Young Kim ),양희정 ( Hee Jung Yang ),이근하 ( Keun Ha Lee ),전소미 ( So Mi Jeon ),안유진 ( You Jin Ahn ),원보령 ( Bo Ryoung Won ),박수남 ( Soo Nam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07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3 No.3

        선구 연구로부터 저자들은 제주 자생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세포보호 효과에 대한 결과의 일부를 이미 보고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나머지 37종의 식물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미백 그리고 주름생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효과는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DPPH)을 이용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Fe<sup>3+</sup>-EDTA/H<sub>2</sub>O<sub>2</sub>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으로 인한 luminol의 화학발광을 이용한 소거 활성, 사람 적혈구를 대상으로 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활성산소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측정으로는 각각 tyrosinase,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free radical의 소거 활성(FSC<sub>50</sub>)은 소귀나무 수피(Myrica rubra, 5 g/mL), 광대싸리 수피(Securinega suffruticosa, 8 g/mL)에서 높게 나타났고, 활성산소 소거 활성(OSC<sub>50</sub>)은 상수리나무 잎(Quercus acutissima)과 광대싸리 수피(Securinega suffruticosa)에서 0.009 g/mL로 높게 나타났으며, 세포보호 효과( 50)는 50 g/mL에서 광대싸리 수피(Securinega suffruticosa, 895 min), 버드나무 줄기(Salix koreensis, 640 min)에서 크게 나타났다. 200 g/mL에서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sub>50</sub>)는 소귀나무 수피(Myrica rubra, 77.8 %),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IC<sub>50</sub>)는 버드나무 줄기(Salix koreensis, 76.2 %)에서 큰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광대싸리 수피, 소귀나무 수피, 상수리나무 잎, 버드나무 줄기, 동백나무 잎/줄기 추출물은 기능성 화장품 제조를 위한 원료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에 제품화를 위하여 좀 더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In the previous study, we reported the antioxidative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Jeju native plant extrac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nti-wrinkle and whitening effects of new 37 plant extracts collected from self-growing plants in Jeju isl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by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ssay in Fe<sup>3+</sup>-EDTA/H<sub>2</sub>O<sub>2</sub> system. The cytoprotective properties of 37 plant extracts were assessed in the rose-bengal sensitiz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The inhibitory effect of 37 plant extracts on tyrosinase were investigated to assess their whitening efficacy. Finally, their anti-elastase activities were measured to predict the anti-wrinkle efficacy in the human ski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tracts of Myrica rubra stem bark and Securinega suffruticosa have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SC<sub>50</sub>: 5, 8 g/ mL, respectively), and the extracts of Quercus acutissima leaf and Securinega suffruticosa stem bark have the prominent ROS scavenging activity (OSC<sub>50</sub>: 0.009 g/mL). Photohemolysis of erythrocytes in the presence of rose-bengal as a sensitizer was inhibited by the extracts of Securinega suffruticosa stem bark and Salix koreensis stem (τ<sub>50</sub>, 895 min, 640 min at 50 g/mL, respectively. Myrica rubra stem bark extract (77.8 % at 200 g/mL) and Salix koreensis stem extract (76.2 % at 200 g/mL) also have the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nd elastase activities,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em park of Myrica rubra, Securinega suffruticosa, and Camellia japonica, the stem of Salix koreensis, and the leaf of Quercus aqutissima and Camellia japonica could have the benefitial effects when they are added as ingredients in cosmetics.

      • SCOPUSKCI등재

        대두피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가 설사개선에 미치는 영향

        임지혁(Ji-Hyuck Yim),정일환(Il-Hwan Cheong),박태화(Tae-Hwa Park),이윤복(Yoon-Bok Lee),한재흠(Jae-Heum Han),박점선(Jeom-Seon Park),이균희(Kyun-Hee Lee),이상화(Sang-Hwa Lee),안준배(Jun-Bae Ahn),김광엽(Kwang-Yup Kim),이근하(Keun-Ha Lee) 한국식품과학회 200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9 No.5

        대두 가공 부산 폐기물로부터 발생되는 대두피에서 식이섬유를 분리하여 대두 자엽 및 타 식물 유래 식이섬유와 설사개선에 미치는 효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설사를 유발시킨 Sprague Dawley 수컷 흰쥐를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CON), 불용성과 수용성 식이섬유가 혼합된 대두 자엽 유래 식이섬유(S-COTL), 불용성 대두피 추출 식이섬유(S-HULL) 및 수용성인 치커리 식이섬유(CHI)가 각각 동량 함유된 식이의 네 군으로 나누어 24시간 동안 실험 식이를 공급한 결과 CON과 S-HULL에서 S-COTL과 CHI보다 약 10-20% 가량 높은 변수분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탈수 증상의 척도인 혈청 삼투압 변화 측정 결과 역시 네군 중 CON과 S-HULL에서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해 대두피에서 추출한 식이섬유의 설사 개선 효과가 기존의 타 식이섬유에 비해 우월하다는 사실을 생화학적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나아가 현재 경관급식 환자식에 대두 자엽 유래 식이섬유 및 기타 수용성 식이섬유 등이 사용되고 있음에도 자주 발생하는 잠재적이고도 심각한 위협이 되는 설사증상을 본 연구 결과에서 제시한 대두피 추출 식이섬유원으로 대체하는 것에 의해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covery effects of dietary fiber extracted from soybean hulls on diarrhea in rats. Diarrhea-induced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divided randomly into 4 groups and fed experimental diets for 24 hours. The diets, based on the AIN93G diet, were as follows: CON (control diet), S-COTL (67.2 g/kg soybean cotyledon fiber diet), S-HULL (59.6 g/kg soybean hull fiber diet), CHI (55.6 g/kg chicory fiber diet).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10-20%) reductions of fecal water content in the CON and S-HULL groups, as compared to the S-COTL and CHI groups. The change in serum osmolality, a measure of dehydration symptoms,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CON and S-HULL as compared to the S-COTL and CHI groups.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soybean hull fiber functions well for diarrhea recovery in rats. Consequently, soybean hull fiber is an important food source that could be used as a medical food in patients suffering from diarrh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