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과 보호자의 관계로 다시 읽는 <심청전> - 영화 <코다>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경하(Kyungha Lee) 국문학회 2022 국문학연구 Vol.- No.46

        본고에서는 장애인과 보호자의 관계에 집중해 <심청전>을 분석했다. 심청의 ‘이효상효(以孝傷孝)’로 그것이 진짜 효인가 묻기는 하지만, 장애인 보호자로서의 심청에 주목한 연구는 아직 없다. 판소리계 고전소설 <심청전>에 나타난 장애인과 보호자의 관계를 집중 분석하기 위해, 영화 <코다>(2021)를 비롯한 현대물과 많이 비교했다. 이것은 비교를 통해 과거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였다. 이를 위해 1장에서는 장애인과 보호자의 관계를 위한 논의의 필요성을 <심청전> 연구, 장애인 연구, 서발턴 연구, 능력주의 등 여러 각도에서 역설하였다. 2장에서는 장애인과 보호자의 관계가 잘 드러난 영화 <코다>를 분석하였다. 영화 <코다>의 청각장애인 부모와 비장애인 딸과 <심청전>의 심학규와 심청처럼, 시간이 지날수록 비장애인 보호자는 흔히 장애인의 ‘무능’을, 장애인과 보호자 모두 보호자의 ‘희생’을 당연시한다. 3장에서는 보호자로서의 심청이 효녀가 아닌, ‘내가 없으면 안 된다’ 여기는 과도한 보호자임을 논증하였다. 이러한 보호자의 과잉보호가 장애인의 자립을 방해하고 장애인을 더욱 무능하게 만든다고 보았다. 그리고 4장에서는 장애인과 보호자의 관점에서 희생을 다시 보고, 심청이 황후가 되고 심학규도 눈을 뜬 결말의 해피엔딩을 장애인과 비장애인 보호자의 환상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 상기 내용을 요약하고, <심청전>과 영화 <코다>의 비교에서 드러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특히 비장애인 보호자와 장애인의 속성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Shimcheongje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abled and the guardians. In chapter 1, the necessity of discuss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abled and the guardian was emphasized from various angles. In chapter 2, Koda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abled and the guardian is analyzed. Like the deaf parents and non-disabled daughters of the movie Koda, non-disabled people often take the incompetence of the disabled and the sacrifice of the disabled and the guardians as time goes by. The daughter of the non-disabled daughter, who is responsib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alone, gives up singing and college for her family and tries to sacrifice. In chapter 3, I have demonstrated that Shim Chung as a guardian is not a filial daughter but an excessive guardian who thinks that I should not be there. This overprotection of the caregivers hinders the independence of the disabled and makes the disabled more incompetent. In Chapter 4, I saw the sacrifice agai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sabled and the guardian, and I saw the happy ending of the ending that Shim Chung became the empress and Shim Hak-gyu opened his eyes as the illusion of the disabled and the guardian.

      • KCI등재

        유아 다문화교육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기사를 중심으로-

        이경하 ( Kyungha Lee ),박세진 ( Sejin Par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4

        국제결혼과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증가에 따라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는 우리나라는 최근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가정 유아들은 언어 및 사회정서 발달 지체, 학습부진 및 정체성 형성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다문화교육은 다문화가정 유아들에게만 국한된 문제는 아닐 것이다. 따라서 다문화 사회로 진입한 우리사회가 발달의 결정적 시기에 있는 유아를 위한 다문화교육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사 텍스트를 통해 담론을 형성 및 확산하는 신문 매체를 대상으로 페어클로우의 비판적 담론 분석을 통해 유아 다문화교육에 대한 담론의 변화와 시사점을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시혜적 지원으로서의 유아 다문화교육에서 상호이해를 위한 유아 다문화교육으로 담론이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단순한 지원보다는 장기적인 교육에 초점을 둔 정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IAs international marriage and foreign migrant workers increase, Republic of Korea is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As a result, interest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s increasing in Korea recently. Howeve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re suffering from a delay in language, social development and learning, and from the formation of identity. In addition, multi-cultural education is not limited to them.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Korea that has entered the multi-cultural societ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Korea. In this study, we analyzed Korean newspaper articles that formed and spread discourses by publish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scourse change i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its implications through Fairclough’s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change of discourse from welfare to mutual understanding. Second, we need policies that focus on long-term education rather than support.

      • KCI등재

        심청의 효 및 장애 관념 비판

        이경하(Kyungha Lee)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3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46

        본고는 심청이 그다지 효녀가 아님을, 흔히 말하듯 ‘이효상효’ 때문이 아니라, 생전에도 그릇된 장애 관념으로 인해 효 행실이 불완전했음을 밝히고자 했다. 즉 심청의 장애 관념이 효 관념에도 영향을 끼쳤다는 말이다. 선행연구는 장애 관념이 효 관념과 아무 상관없는 듯 다루었지만, 적어도 심청에게 둘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심청전>에서 심봉사의 장애는 현재도 효녀의 대명사로 쓰이는 심청을 돋보이게 하는 서사적 장치에 불과한 듯 보이지만, 장애인의 관점에서 볼 때 심청은 장애 관념이 잘못되어 효 관념도 잘못되었다고 본 것이다. 이것은 심청의 새로운 정체성을 찾는 작업이기도 했다. 이를 위해 고전 <심청전>과 20세기의 장애학 성과를 반영한 동화 <청아, 청아, 눈을 떠라>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시각장애인의 시점을 담아 내지 못한 고전 <심청전>을 경판이든 완판이든 장애인에 대한 편견이 낳은 작품으로 보았다. 2장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중심으로 <청아, 청아, 눈을 떠라>를 먼저 분석해 장애 문제의 기준을 제시하고, 3장에서는 고전 <심청전>의 대표적인 경판본과 완판본을 대상으로, 심청의 효와 장애 관념의 그릇됨을 분석하였다. 우선 공자의 말을 인용하여, 심청처럼 물질봉양에 그치는 효의 불완전함을 논하고, 장애인은 의존적이라는 당대의 보편적 인식을 바탕으로 뭐든 대신 하여 아버지로 하여금 스스로 쓸모없다고 더 느끼게 하였으니, 심청의 생전의 이른바 효행은 불완전하였음을 논하였다. 그리고 심청의 소통을 문제 삼아 심청과 장승상 부인의 관계, 심청과 심봉사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살펴, 비장애인 심청이 장애인 아버지를 애당초 의논의 대상으로 여기지 않은 것이 문제라고 보았다. 이처럼 고전 <심청전>과 현대 <청아, 청아, 눈을 떠라>의 차이는 단지 현실성 여부의 차이 이상으로, 장애 관념의 차이였음을 밝혔다. 또한 심청의 시대뿐 아니라, 현대인 다수가 여전히 갖고 있는 장애와 효 관념을 비판하는 것이 본고의 또 다른 의도다. 이 연구는 고전의 가치가 시대에 따라 가변적인 데 있다는 믿음에서 비롯되었다. This paper tried to reveal that Simcheong was not a very filial daughter, not because of “Lee Hyo Sang Hyo[以孝傷孝]” as it is often said, but that the filial piety was incomplete due to the wrong idea of disability during her lifetime. To this end, the classic Shimcheong-jeon and the fairy tale Cheong-a, Cheong-a, Open Your Eyes reflecting the achievements of disability studies in the 20th century were compared. In addition, Shimcheong-jeon. which failed to capture the perspective of the blind, was viewed as a work caused by prejudice against the disabled, whether it be Seoul editions or Jeonju editions. Also the difference between the classic Shimcheong-jeon and the modern Cheong-a, Cheong-a, Open Your Eyes was more than just a difference in reality, and a difference in disability concepts.

      • KCI등재

        동물기르기와 연계하여 예비유아교사가 제작한 과학그림책 분석

        이경하(Kyungha Lee),한남주(Namjoo 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3

        목적 본 연구는 동물기르기 경험과 연계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이 제작한 과학그림책의 주제와 그림책에 포함된 이야기 구성 및 그림 표현을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가 장래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과학교육을 실시할 때 선정하는 교육내용의 특징과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확인하여 양성기관에서의 유아과학교육 수업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북지역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15명의 동물기르기 관찰일지, 개별적 스토리보드와 제작의도, 조별 스토리보드 및 그림책, 개별 평가지를 수집하고, 개별스토리보드와 과학그림책의 텍스트와 그림을 중심으로 주제와 특징을 분석하고, 개별적으로 작성한 제작의도와 평가지에서 의미를 찾기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이 구성한 개별스토리보드와 조별 그림책의 주제는 대부분이 동물의 성장과정을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명의 소중함 및 자연애와 관련된 주제는 포함되지 않았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관찰한 내용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구성하고 그림으로 표현하였지만 일부 내용 및 그림 표현에서는 과학적 오류가 있거나 관찰한 내용과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동물기르기와 연계한 그림책만들기 활동은 관찰일지 작성, 개별스토리보드 구성, 조별 그림책 제작 및 공유, 동료 평가지 작성과 같이 반복된 반성적 사고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예비유아교사들이 스스로 실천적 지식의 오류를 점검하고 올바른 과학적 지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방법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themes of science picture books produced by pre-early childhood teachers in connection with their experience raising animals, the composition of stories and picture expressions included in the picture books, and identified problems that may arise when pre-early childhood teachers conduct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We sought to explore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classes at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Methods We collected animal raising observation logs, individual story boards, production intentions, group story boards and picture books, and individual evaluation sheets from 15 third-yea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four-year university in the Gyeongbuk region, focusing on the text and pictures of individual story boards and science picture books. Themes an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meaning in the individually written production intentions and evaluation sheets. Results First, most of the topics of the individual story boards and group picture books composed by pre-early childhood teachers appeared to deal with the growth process of animals, and topics related to the preciousness of life and love of nature were not included. Second, the pre-early childhood teachers composed stories and expressed them with pictures based on what they observed, but it was confirmed that some of the content and picture expressions contained scientific errors or were different from what was observed. Conclusions Picture book-making activities linked to raising animals are the same as writing observation logs, composing individual story boards, producing and sharing picture books for each group, and writing peer evaluation sheets.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repeated reflective thinking, pre-early childhood teachers can check for errors in their practical knowledge. It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hat can help form correct scientific knowledge.

      • KCI등재

        管의 전통, 그 일상의 정치

        이경하(Lee, Kyungha) 국문학회 2007 국문학연구 Vol.15 No.-

        One topic of this essay is that women s Haengjang(行狀), records of a dead person s life, and Myojimyong(墓誌銘), a kind of epitaphs, originated from a tradition of Donggwan(彤管). In ancient China, Donggwan originally meant documents that Yeosa(女史), a female historiographer, recorded daily lives of queens, and the meaning changed to a history of ideal women in Joseon Dynasty. In this essay, I regard women s Haengjang and Myojimyong as writing belonged to tradition of Donggwan as well as tradition of writing for the dead . Another topic is to discuss what value women s Haengjang and Myojimyong have as historial materials. Scarcity of materials and historical records is one of big problems in studies of women s classical literary history. In this viewpoint, Haengjang and Myojimyong are very important sources for women s history. Because so many women s Haengjang and and Myojimyong were written during Joseon Dynasty and the documents often contained many kinds of informations about women s daily lives. However, women s daily lives were usually represented as very normative forms, which spoke for gender politics in women s daily lives in the Middle Ages.

      • KCI등재

        과학자서전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인식 연구

        이경하(Lee, Kyung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8

        본 연구는 유아들의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데 영향을 미치는 교사가 가지고 있는 과학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2014년과 2015년에 27명의 예비유아교사와 2015년에 18명의 현직유아교사들이 어린 시절부터 현재까지 과학에 관련된 모든 경험들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유롭게 기술한 과학자 서전을 수집하고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유년기의 과학에 대한 인식을 보면 예비유아교사들은 과학을 재미있고 흥미로운 놀이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과학을 무서운 것으로 인식하기도 하였다. 현직유아교사들은 자신들의 생활이 곧 자연이었고, 자서전을 쓰면서 살펴보니 자연 역시 과학의 일부라고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학교과학교육시기의 과학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예비교사들 은 과학을 어렵고 복잡한 과목으로 인식하기도 하였지만 한편으로는 흥미롭고 즐거 운 경험으로 인식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현직유아교사들은 과학을 교과서나 이론위 주의 수업과 낮은 성적을 받은 교과목으로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현재의 과학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예비유아교사들은 과학을 자신들의 생활과 공존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영유아에게 과학을 잘 지도하기 위하여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직유아교사들은 자신들은 과학을 잘 배우지 못하였지만 현재의 아이들은 좋은 과학교육을 받아 더 발전된 생활을 이끌 수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희망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과학은 지도하기 어려운 과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 teacher s thoughts about science in improving scientific literacy of young children. The science biographies which 27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18 teachers in service with different school science curriculum experience had written were analyzed qualitatively. First,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ware of the science as funny and interesting subject and teachers in service recognized the nature exprience of childhood as a part of science after writing biography. Second, one recoginized the science as a difficult and complex subject, while also recognized as interesting and enjoyable one on the basis of experience of school science education. However, the other recoginzed it as theory-oriented and receiving low grade subject. Third,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ware that science co-exists with their lives and concerned to teach science to infants competentl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rvice had a vague hope that children got a good science education and could lead to more advanced life, although they did not learned about science well. Still, they recognized it as difficult subject to teach.

      • 온라인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사례 분석을 통한 BIM 프로젝트 속성정보 도출

        이경하 ( Kyungha Lee ),엄미영 ( Miyoung Uhm ),이화연 ( Hwayeon Lee ),이강 ( Ghang Lee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5 No.2

        When starting a new project, generally similar existing projet are searched. As Building Modeling Information(BIM) has short history and experience, the dependence on similar project is high. Small and medium sized design companies are depending on website search tool for information of BIM project besides companies maintaining the Database(DB) from lots of project experience. However, the information level and contents provided by websites differ drastically from each other which makes it difficult to utilize the information and apply cases. Furthermore, the different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sites makes the situation even worse. Therefore, we collected and analyzed over 100 BIM cases from 18 global websites, to develop a system for BIM case application. Result showed that over 90% of our subject pool provided basic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struction type, characteristics of the client (public/ private), location of the project, and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primary usage. Moreover, the reasons for applying BIM where to solve problems of geometric design, building system like MEP and construction. Furthermore, there was a contrast between cases conducted only within Korea and cases conducted with other countries. While there was almost always helpful information regarding the administrative steps for Korean BIM cases, there was close to no information for projects carried out outside of Korea. These results could contribute to verifying the trend of information provision of the websites for BIM projects data, and this is believed to be helpful for developing an application system for BIM cases which have an organiz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level as well as for bench marking.

      • KCI등재

        1976년 톈안먼 광장의 기록 - 『톈안먼시초(천안문시초(天安門詩抄))』(1978)의 탄생과정 연구

        李庚夏 ( Lee Kyungha ) 중국어문학회 2020 中國語文學誌 Vol.0 No.72

        The Tian’anmen Poems was originated from the Tian’anmen Poetry Movement, which was the movement that the countless people who filled Tian’anmen Square before and after the Qingming Festival in 1976 were expressed their cherish memory on Zhou Enlai and anger of ‘Gang of Four’ on many wall posters. Thus, The Tian’anmen Poems has been read and studied with political weight and implications from the beginning.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foreign researchers who can maintain an objective distance geographically and periodically, it is believed that the meaning of the study of The Tian’anmen Poems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its birth, and this paper focused on the following contents. Firstly, the previous studies published in China were introduced by period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briefly analyzed. The main research achievements related to the Tian’anmen Poetry Movement since 2000 have been able to broaden the horizon of research by boldly raising issues with skepticism, freeing from the attitude of blind admiration and praise. It can be pointed out that it has become possible to promote the quality of growth of the related researches. Secondly, we investigated the gener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Tian’anmen Poetry Movement, and through this, we can see how much hardship has suffered by numerous authors, mortals, and colle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Tian’anmen Poetry Movement. Thirdly, the process of The Tian’anmen Revolutionary Poems, which was printed in duplicate in 1977, was published in the unofficial publication The Revolutionary Poems, the first printed version of the ‘Tong Huaizhou’ editorial team version and ‘The seventh Ministry of machinery industry’ editorial team version. Fourthly, by dividing the appearance of The Tian’anmen Poems as an official publication into “changed statu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characteristic of the preface as a legitimate publication”, We had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special political landscape of China once ag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