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룰 기반 미디에이터의 설계 및 구현

        이경하(Kyongha Lee),이상(Sang Lee),이강찬(Kangchan Lee),이규철(Kyuchul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B

        최근의 컴퓨터 기술의 빠른 발전에 따라, 사용자가 요구하는 데이터의 양이 급속도로 증가하게 되었으며, 네트워크를 통한 광범위한 데이터 통합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 경우, 기존의 데이터들이 서로 다른 운영환경 위에서 서로 다른 데이터 모델로 표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일관적인 데이터를 제공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런 이질적인 데이터를 통합하기 위하여, 미디에이터 시스템이 최근 연구되고 있으나, 정보 자원 표현이나, 데이터 모델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독자적인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구현 및 사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혼 클로우즈(Horn Clauses)를 이용한 룰 기반의 미디에이터를 설계 및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미디에이터보다 데이터 모델 정의와 질의 표현의 편리성과 구현의 용이함, 데이터 모델 변환 작업의 단일성을 보장하도록 한다.

      • XML 기반의 이질 정보의 통합 방법론

        이경하(Kyongha Lee),이강찬(Kangchan Lee),이규철(Kyuchul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Ⅰ

        현재의 인터넷은 HTML 뿐만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문서 포맷 및 질의 가능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발전함에 따라 단순한 정보 전달만이 아닌 하나의 통신 수단으로써 활용되는 양상을 띄고 있다. 또한, XML의 등장으로 인하여 구조적 문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인터넷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기존의 정보 시스템들은 인터넷을 통하여 기존에 존재하던 데이터들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새로 작성되거나 재구축되어 왔다. 이런 경우 기존의 정보시스템들이 제공하는 데이터들은 질의 형식 및 데이터 모델, 스키마 구조,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이질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자치적인 시스템으로써 분산되어 존재한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이질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인터넷 데이터들을 XML을 공통 데이터 모델로 이용하는 미디에이터 방식을 이용하여 통합하는 방법(XMF: XML-Based Mediation Framework)을 제시한다.

      • KCI등재

        [분산 데이타베이스] Hadoop 분산 파일 시스템의 효과적인 저장 공간 절약 기법

        안후영(HooYoung Ahn),이경하(KyongHa Lee),이수호(SooHo Lee),이윤준(YoonJoon Lee),이상민(SangMin Lee),김영균(YoungKyu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9 No.3

        분산 파일시스템은 서로 분산된 여러 서버들을 가지고 파일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높은 확장성과 고가용성을 지원한다. 현재의 분산 파일시스템들은 내고장성을 위해 주로 데이터 복제 기법에 의존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저장 공간을 추가로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가진다. 이 논문에서는 이 추가 저장 공간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erasure coding을 이용한 패리티 블록의 작성을 통해 데이터 복제본을 대체함으로써 동일 수준의 내고장성을 유지하면서도 저장 공간을 보다 절약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동일 노드 상의 서로 다른 파일의 블록들을 하나의 스트라이프로 구성하여 패리티 블록을 생성함으로써 인코딩, 디코딩 시의 I/O 효율을 향상한다. 또한, erasure coding 적용 이후에도 신뢰성이 유지되는 블록 배치 기법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Conventional distributed file systems support high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with many machines. Most of the distributed file systems mainly rely on data replication for providing fault-tolerance. However, the replication scheme also increases the storage overhead of the file system. To address the issue, we provide a novel method which substitutes the replica blocks with parity blocks by using erasure coding techniques. Especially, by making a stripe with the blocks which come across different files but are stored in a single node, we reduce I/O cost for encoding and decoding blocks significantly. Furthermore, we also propose and implement a novel block placement policy that supports high reliability as much as when using data replication scheme.

      • KCI등재

        동적 소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분산 컨텐츠 공유 및 동기화

        안후영(HooYoung Ahn),이경하(KyongHa Lee),김수형(SooHyung Kim),이윤준(YoonJoon Lee),이상민,김영균(YoungKyu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2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8 No.3

        유비쿼터스 웹 환경과 스마트폰의 활성화에 힘입어 Facebook, Twitter 등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 간의 분산 컨텐츠 공유와 동기화 방안을 연구 하였다. 특히, 모바일 기기를 통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증대에 따른 보다 동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환경에서 구성원들 간의 분산 소셜 미디어 컨텐츠의 공유 및 동기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이 기법은 소셜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공유하기 위해 컨텐츠 저장 시 메타데이터를 자동으로 추출하며, 컨텐츠 검색 시 사용자 맞춤형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협업 필터링 기법을 통해 검색 결과를 랭킹한다. 제안한 방법은 더욱 다양하고 방대해지는 소셜 미디어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공유하는데 기여한다. The social network such as Facebook, Twitter has been rapidly popularized by the proliferation of mobile devices and their ubiquitous web connections. We present a novel way to share and synchronize media contents in the social network. The proposed system enables users to search and share their social media contents efficiently in mobile environment. Our system extracts metadata from social contents automatically during storing the social media contents. It also provides ranking techniques which are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to support personalized searches. Thereby, the proposed method helps users to share large scale and heterogeneous social media contents in social network.

      • KCI등재

        정신분열병 입원 환자의 외상적 사건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유병률

        김대호,최선경,이경우,이경하,남정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6 신경정신의학 Vol.45 No.3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traumatic ev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in an admission cohort of schizophrenic patients from two university affiliated psychiatric units in Korea. Differences in symptomatology between those with and without trauma were also assessed. Methods : The consecutive sixty one inpatients (32 women and 29 men), who were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by SCID-I, completed the Clinician-Administered PTSD Scale (CAPS),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Results : Forty patients (66%) had at least one traumatic event in their life time. The most common traumatic event was child physical abuse (34%), followed by accidents (21%), traumatic loss (18%), witnessing violence (15%), child sexual abuse (10%), natural disaster (8%), adult physical assaults (8%), adult sexual assaults (5%), and psychotic symptoms (5%). Only one patient (2%), however, was diagnosed with current PTSD. Patients with traumatic events compared to those without traumatic events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State anxiety scale (p=.006) and several subscales of SCL-90-R including paranoia, anxiety, phobia,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degree of psychosis. No differences of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background variabl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Low rate (2%) of current PTSD found in this study is comparable to North American literature reporting 10-46% of PTSD within the schizophrenic population. Absence of substance abuse or homelessness and low rate of sexual violence in these Korean patients may explain the discrepant rates. However, distinct symptom profiles of patients with trauma may suggest that PTSD diagnosis runs short of describing such patient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mply that schizophrenia per se may not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prevalence in current PTSD diagn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