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족종교에 나타난 한국 정신문화의 원류

        김현우 ( Kim Hyon-woo ),이경원 ( Lee Gyung-wo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2

        19~20세기 초 한국에는 다양한 종교운동이 분출하였다. 서구 기독교가 유입하여 크게 성장하였고, 전통 유교 역시 종교로서 변화를 모색했다. 동시에 새로운 종교들도 나타났는데 대표적인 것이 동학(천도교), 대종교, 증산교, 원불교의 민족종교이다. 대체로 이들 민족종교는 한국의 전통적 종교성과 연관된 한국 정신문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민족종교 속에 내재한 한국 정신문화를 추론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 전통의 정신문화인 단군신화, 제천의식, 소도등과 외래문화와 한국 정신의 융합을 추구한 최치원, 원효, 일연, 이황 등의 철학을 경천사상, 실천사상, 조화사상 등으로 정리하고, 이후 민족종교인 동학, 원불교, 증산교에서 이들이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추론하고자 한다. To the mid 19th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here were many movements about religion in Korea society. Protestant which first flew in 1885 grew up greatly and Confucianism of traditional thought sought for religionization to survive. At once new religions named Korea ethnical religion appeared. They are Donghak(東學), Daejonggyo(大倧敎), Jeungsangyo(甑山敎) and Won-Buddhism. Generally speaking, these ethnical religions deeply relates with Korea original mental culture. In this paper, I want to infer that these religions have Korea origin metal culture. The first, I will consider some traditional thoughts of ① worshiping of Heaven, ② practice and ③ harmony from traditional (religious) ceremonies and thoughts. Ans then I will infer how these traditional thoughts from origin mental culture appear in ethnical religions of Donghak(東學), Won-Buddhism(圓佛敎), and Jeungsangyo(甑山敎).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대순진리회와 대순종학

        이경원 ( Gyung-won Lee ),엄혜진 ( Hye-jin Eom ) 한국신종교학회 2021 신종교연구 Vol.44 No.-

        신종교는 비교적 역사가 짧지만 현대사회의 변동에 따른 사회적 요구에 부응한 결과로서 볼 때 오히려 보다 적극적으로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주도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본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주요특징으로는 언택트(Untact), 통제사회, 개인화문화의 확산과 4차 산업혁명기반 기술의 발전, 글로벌정부의 탄생과 종교통합, 해피팬더믹으로의 전환가능성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시대의 특징에 입각하여 본고는 한국신종교의 사례연구로서 대순진리회의 대응과 대순종학의 전망을 고찰해보았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와 대순진리회의 관계에 대해서는 먼저 대순진리회 교리적 관점에서 바라본 병겁과 코로나 사태를 진단하였으며, 현재까지 대순진리회 종단이 코로나 사태에 대응한 다양한 사례들을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아울러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대순진리회 종단사업을 어떻게 다변화할 것인가에 대하여 포덕, 교화, 수도, 사회사업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전망하였다. 포스트코로나 시대 대순종학의 문제와 관련하여서는 대진대학교 대순종학과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현재까지의 대순종학 연구현황과 전망을 살펴보았다. Although new religions have relatively short histories, as a result of responding to the social demands of modern society, it seems that new religions are well-equipped to lead more actively in the post-COVID-19 era. The main features of the post-COVID-19 era are contact-reduction (so-called Untact in Korea), controlled societies, the spread of personalized culture,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birth of global governance, religious integration, and the possibility of finding happiness even amid a pandemic.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is time period, this paper considers the response of Daesoon Jinrihoe and the prospects of Daesoon Theology as a case study on Korean new religion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COVID-19 era and Daesoon Jinrihoe, first, the disease can be re-diagnosed from the perspective of Daesoon Jinrihoe’s doctrines. In addition, forecasts and analysis were applied to diversifying Daesoon-Jinrihoe’s longitudinal projects in the post-COVID-19 as observable via propagation, edification, cultivation, and social engagement. Regarding the issue of Daesoon Theology as an avenue in the study of new religions in the post-COVID-19 era, first and foremost,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and future prospects were looked into for this research. This exploration focused on the curriculum offered by the Department of Daesoon Theology at Daejin University.

      • KCI등재

        대순진리회 치성의례의 종교적 특질에 관한 연구

        이경원 ( Gyung Won Lee ) 한국신종교학회 2009 신종교연구 Vol.20 No.-

        본 논문은 종교의례의 중요성과 관련하여 대표적인 신종교의 의례 절차를 고찰하고 그 종교사상과 관련하여 상징적인 의미를 밝히는데 있다. 앞선 연구에서 필자는 한국 신종교 대순진리회의 기도의례를 다룬 적이 있으며, 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희생제의(犧牲祭儀)의 형태를 지닌 치성의례(致誠儀禮)를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치성의례(致誠儀禮)는 현재 종단 대순진리회에서 정기적(혹은 부정기적)으로 거행하는 종교행사이며 주요 의례의 하나이다. 이는 개인적인 차원에서 행해지기도 하고, 집단적인 차원에서 정해진 장소와 시간에 거행되기도 한다. 유형별로는 가입의례로서의 입도치성이 있고, 달력의례로서 절기치성과 경축일 치성이 있다. 희생제의에 기원을 두고 있는 치성의례는 원칙적으로 인간과 신의 `교제`(communion)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강하다. 즉 드리는 자와 받는 자의 관계에서 `제물`(祭物)은 양자(兩者)를 매개하고 있으며, 그 자체가 성화(聖化)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양자는 제물에 참여함으로써 서로 교제하는 것이다. 대순진리회 치성의례의 종교적 특질은 크게 여섯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고찰할 수 있다. 첫째는 참례자이며, 둘째는 치성물, 셋째는 의례행위, 넷째는 시간과 공간, 다섯째는 치성의 대상, 여섯째는 치성의 의도이다. 이상의 항목들에서 발견되는 종교의례적 특질은 대순진리회가 지닌 고유한 종교성을 나타내는 주요한 단서가 된다. 즉 한국의 신종교로서의 대순진리회가 의례면에서 전통을 계승하는 측면과 창조적인 측면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룬 대순진리회 치성의례는 한국의 신종교문화를 익히고 엿볼 수 있는 주요한 자료가 된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rocess of the sacrificial rite of Daesoonjinrihoe, which is typical of the new religions of Korea, related to the importance of religious ritual. In a previous research project I described the prayer ritual in Daesoonjinrihoe. At this time I will explain the properties of sacrificial rite of it. The sacrificial rite of Daesoonjinrihoe, one of its major rites, is performed at both regular and irregular intervals. It is performed by either an individual or a group at a fixed time and place. There are two types of the sacrificial rite. The one is the rite of initiation and the other are calendrical rites. Calendrical rites can be distinguished in terms of seasonal and commemorative celebrations as well. Theories of sacrifice have tended to focus on the communion between humans and gods. In the relation of the offerer and recipient, the offering is a mediation between two parties that is regarded to be sanctified. The two partie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participating in the offering. There are six dimensions in the properties of the sacrificial rite of Daesoonjinrihoe. The first one is the sacrificer. The second one is the material of the oblation. The third is the rite (manner and method) of sacrifice. The fourth is the place and time of sacrifice. The fifth is the recipient of the sacrifice. The sixth is the intention of sacrifice. These dimensions, including their contents, can be essential keys which represent the unique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Daesoonjinrihoe. In fact Daesoonjinrihoe, a new Korean religion, has dual aspects of succession of tradition and the creative. I expect this article can be useful to any person who is willing to practice the culture of new Korean relig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강증산 천지공사의 종교적 상징체계에 관한 연구

        이경원 ( Gyung Won Lee ) 한국신종교학회 2006 신종교연구 Vol.14 No.-

        A symbol is an expression of an invisible abstract substance using a visible from. Particularly when the invisible substance indicates something sacred, transcendental and divine, the symbol becomes religious. Because the world accessed through symbols pursues invisible and high dimensional things, the value of symbols is raised higher when they find their meanings in religious phenomena. That is, the core of religious symbolism is that symbols are not regarded merely as symbols. Rather, because people try to approach the realities of religion closer through symbolic expressions, they can participate in the real life when they contact the religious symbols. Here, the faith that one has becomes a precondition for experiencing the universal and ultimate reality through the medium of such religious symbols. The present study examined Gang Jeung san`s record of the Cheunjigongsa(heavenly and earthly works, 天地公事) filled with numerous symbolic expressions, and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symbols from the viewpoint of religious symbolis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s. For this, we examined the meanings of symbols such as natural objects, rituals, myths, sentences, figures, place names, buildings, food, articles and colors that are mentioned in the Cheunjigongsa. In addition,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e symbolic system has the belief of Gucheonsangje(九天上帝) and the view of universe of Hucheongaebyeok(後天開闢) as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symbols and, furthermore, supports the symbolic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 Ki(氣) Theory of the Orient.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shows that symbols are used richly in religious expressions by Gang Jeung san, a new modem religionist in Korea, and it is important to interpret these symbols to understand his idea.

      • KCI등재

        동아시아 신종교의 삼교합일론 비교연구-중화 일관도와 한국 대순진리회를중심으로-

        이경원 ( Gyung Won Lee ) 한국신종교학회 2014 신종교연구 Vol.31 No.-

        동아시아 문화의 정체성 가운데에서 그 정신문화적 배경과 관련되어 가장 대표적인 특징으로 꼽을 만한 것은 바로 삼교(三敎)의 전통이다. 일반적으로 학자들의 논의에서 동아시아 문화는 유교와 불교 그리고 도교 사상이 혼합된 정신문화의 총체로보고 있다. 그만큼 종교가 차지하는 문화적 비중이 어떤 다른 요소보다도 크다고 할수 있으며 또한 동아시아 문화가 서구의 종교문화와 대비될 수 있는 고유한 맥락을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고의 연구대상으로 삼는 것은 동아시아의 근대 신종교에 대한 비교이며, 대표적으로 중화권(中華圈)의 일관도(一貫道)와 한국의 대순진리회(大巡眞理會)를 중심으로 그 삼교합일(三敎合一) 사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것은 공통적으로 삼교(三敎)의 전통에 입각한 동아시아 문화에서 근대의 시기에 등장한 양국의 신종교가 이를 어떻게 해석하고 또한 어떤 고유점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는지를 비교 고찰함으로써 동아시아 신종교 연구의 방법론을 찾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일관도와 대순진리회의 삼교합일의 방법론을 대조해보면 일관도는 삼교의 근원성을 강조하여 본성 회귀적인 방법을 통해 삼교합일을 이룰 수 있다고 보며, 대순진리회는 삼교의 통합성을 강조하여 단계적인 성숙의 경지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특징이 드러난다고 본다. 세계관에 있어서 일관도는 삼기말겁을 주장하고 내세주의적 관념을 지니고 있으며, 대순진리회는 후천개벽을 주장하고 현세적인 특징을 지니고있다. 또한 일관도는 유교를 중심으로 삼아 삼교합일을 이루고자 하며, 대순진리회는 선도를 중심으로 하여 삼교를 통합하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특징은 오늘날 동아시아 신종교의 종교적 정체성을 파악하는데 있어서도 유용한 단서가 될 수 있다고본다. Maybe the most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of East Asian culture concerning to spiritual area is the tradition of Three Religions. Generally speaking, the East-asian culture is the complex of Confucianism, Buddhism, Daoism as a whole. It means that the percentage of religions in culture is much more than the others and needs to attention on the unique context that has comparable thing with western one. The main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with two East Asian modern new religions. The comparative study is focused on Chinese I-Kuan Dao and Korean Daesoonjinrihoe and the main issue is “the three religions are one”.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the methodology of study in East asian new religions according to comparing how these two new religionsinterpretate the three traditional religions and harmonize them to the oneness. In this article I am writing on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wo new religions. The first one is that the IKuan Dao emphasize returning to the original nature and it will realize “three religionsare one”. On the other hand Daesoonjinrihoe has stressed the integration of three religions seeking after the mature stage step bystep. The second one is the difference of world view between two religions. I-Kuan Dao has a view of Samgimalgup(the final disaster of three stage). Daesoonjinrihoe has a view of Huchungae byuk(greattrans formation of Later World). The third one is the difference ofcore religion between them. I-Kuan Dao regard Confucianism as the core religion. Daesoonjinrihoe regard Korean Daoism as the corereligion. In this research we can refer the identity of East Asian new religions based on this conclusion.

      • KCI등재

        대순진리회 기도의례의 종교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이경원 ( Gyung Won Lee ) 한국신종교학회 2008 신종교연구 Vol.19 No.-

        대순진리회는 그 고유의 종교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나의 분명한 실천체계를 지니며, 이는 종교 내에서의 헌신과 사회적 봉사로 나타난다. 특히 종교 연구의 한 분과로서 자리 잡고 있는 의례적인 측면은 대순진리회 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이해는 대순진리회 신앙의 본질과도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종교의례의 가장 보편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기도의례에 주목하고, 대순진리회에 있어서 그 현상과 종교적 상징성을 논하고자 한다. 기도절차에서 법배는 인존사상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주요한 동작이다. 천지의 모든 권위와 기운을 인간이 다 거두며, 나아가 천지의 신명을 거느리고 우주의 주인이 된다는 것으로 인간의 가치를 극대화하여 표현하고 있다. 인존사상은 대순진리회 인간관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기도에서의 송주절차는 한편으로 대순진리회의 신관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즉 신의 이름을 소리 내어 불러서 신과 마주한 뒤 기도하는 사람의 소망을 신에게 직접적으로 요청하는 모습은 신과 인간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기도에서 갑일과 기일을 중요시 여긴다는 것은 음양이 서로 교류하는 과정에서 오행의 성질로서 토(土)의 특성을 중시하고, 이러한 토(土)의 본성과 이념에 부합하고자 한다는 데서 상징성을 찾을 수 있다. 기도시간에 있어서도 특별히 진·술·축·미(辰戌丑未)시를 중시하는 것은 이 시간대가 토(土)의 기운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오행에서 토(土)의 덕성은 조화와 새로운 창조를 위한 이념에 부합하고 있으며 후천으로의 개벽을 위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즉 조화와 개벽의 이념을 담고 있는 토(土)의 덕성을 실현하고 후천의 선경을 지향하는 대순진리회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오늘날의 기도의례가 행해지고 있다. Daesoonjinjihwoe has a distinctive practice system to achieve the religious purpose, which is shown as the dedication in the religion and the services in the society. The rituals aspect, which becomes an important part in the religious study, has important meaning in Daesoonjinrihwoe, whose understanding is led to the essence of the religion.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prayer rituals which is considered as the most universal in religious ritual, and tries to discuss the phenomenon and its religious symbolism. Beopbae in the prayer procedure is the major action symbolically showing the ideology of Iinjon. It expresses human value maximizing it as it has all the authorities and energies in heaven and earth, leads all the gods in heaven and earth and becomes the owner of the universe. Injon is the core doctrine in the view of humans. The chanting procedure in the prayer shows the vision of Daesoonjinrihwoe on God. As we call the names of the gods and face them before making a request to them, it show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gods and human beings. Placing importance on Gabil and Giil means we place importance on the characteristics of Earth (土) in the course of Yin and Yang exchange. We can find the symbolism in that we try to comply with the nature and ideology of Earth (土). The reason why we place special importance on Jin, Sul, Chuk and Mi (辰戌丑未) hours is because they fall under the energy of Earth (土). The virtue of Earth (土) in five elements complies with the ideology for harmony and new creation and is understood as the action for the great transformation. In other words, we perform prayers to achieve the goal of Daesoonjinrihoe to realize the virtue of Earth containing the harmony and creation and to orient for the paradise on earth of Later World.

      • KCI등재

        대순사상의 심체론(心體論) 연구

        이경원 ( Gyung Won Lee ) 한국신종교학회 2002 신종교연구 Vol.6 No.-

        Daesoon thoughts is one of the new religion in the later Chos in dynasty. GangJeungSan(姜甑山 1871~1909) is the object of worship in that doctrine.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theory of the mind in the Daesoon thoughts. The mind is the center of the heaven and earth and wins all space including the north, south, east and west over to the side. The activity of the human which is the body is depending here. The mind becomes the substance of the cosmos as the Simche(the substance of mind) This is the basis which harmonize all everything from the human self. The Simche is also the Simlyeongsindae.(the mysterious mind as the house of god) This is related with the substance to be the god to the organic. The mind counters the god all be. The mind is on its way gods coming and go. It is also the house which gods stay. Therefore it is the mysterious mind and is then the house of god. The Simche(the substance of mind) of the human can become the substance of the cosmos we uniting with the god. Such Simche appears to various phenomenon. We have the activity of the people with the activity of sky here with the activity of the earth. Especially the good and evil of the human contain the substance of the god. The human has the support toward the good and must decide well so that it can realize the ideal. Self consciousness of the human is to be displaied by the Simche. The Simche is also the real Self consciousness. We have three kind subject for the practice of doctrine. The first thing, we must not deceive own mind. The second, we must not give the grudge to others. The third is speak well about others. All these are the method to reveal the Simch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