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항로의 심설과 서학(西學) -벽사록변(闢邪錄辨)ㆍ아언(雅言) 양화(洋禍)를 중심으로-

        김현우 ( Kim Hyon-woo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9

        이항로(李恒老)의 심설(心說)은 기정진(奇正鎭), 이진상(李震相), 전우(田愚) 등의 심설과 비견되는 중요한 학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항로 심설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서학(西學)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서학은 17세기 초부터 유입되었으며, 18세기에는 사회 안정과 함께 유교지식인들의 연구대상이었다. 그러나 19세기로 들면서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혼란과 더불어 서학 역시 배척되었다. 이항로에게 서학은 서세동점(西勢東漸)의 원인을 분석하는 도구였다. 그는 서학을 주로 기독교의 입장에서 보았다. 특히 기독교를 인간보다는 신을 중시하는 종교로 인식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유교 즉 성리학은 신이 아닌 인간의 도덕 주체성을 중시하는 사고체계로 이해했다. 이 과정에서 心은 인간의 주체성으로 확장되어 갔다. 하지만 이항로는 기존 유교 질서의 묵수를 강조하여 서학의 합리성을 도외시하였다. 즉, 서구문명을 주체적으로 수용하지도, 당대 세계질서에 적절하게 대응하지도 못하였다. 한편, 현재 우리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문명의 시대로 들어가고 있다. 이에 이항로의 심설에서 서학과 관련한 부분은 이 새로운 문명을 주체적으로 수용하는데 중요한 방법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Lee Hang Ro's Mind-theory(心說) is an important theory comparable to it of Gi Jeong Jin, Lee Jin Sang and Jeon Woo.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Western-school(西學) i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Lee’s theory. Since the Western-school had flowed in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in the 18th century it was subject to Confucian intellectuals along with social stability. However, listed in the 19th century, along with the turmoil of the 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the Western-school was also rejected. The Western-school was a tool to analyze the cause of Western invasion(西勢 東漸) in him. Lee saw The Western-school from the standpoint of Christianity mainly. Especially Christianity was recognized as a religion that emphasizes God rather than humans. In contrast, Confucianism was understood as a thought system that emphasizes human moral subjectivity rather than God. In this process mind was expanded to the subjectivity of human. However, Lee only emphasized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order and ignored the rationality of the Western-school. He could not accommodate western civilization actively and properly respond to the world order in that time. On the other hand, we are now in the era of a new civilization call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this the remarks of Lee's Mind-theory will be an important suggestion point for organizing the new civilization actively.

      • KCI등재

        박은식의 기독교 수용과 양지론

        김현우(Kim, Hyon-Woo) 한국양명학회 2015 陽明學 Vol.0 No.42

        박은식은 양지론을 중심으로 대체로 1909년부터 양명학으로 전환하였다. 한편 그의 전환에는 기독교의 영향도 있었다. 이 시기는 박은식이 상경이전에 활동했던 북삼도를 중심으로 개신교계 기독교가 급속도로 확산되었고, 또 이후 그의 전적에서 기독교와 관련된 언급이 여러 차례 나왔기 때문이다. 특히 그 언급들에는 양지와 관련된 것이 많았다. 그는 1909년 고아학생제군 에서 최초로 양지를 영혼 즉 성령과 비교하였다. 1910년에 발행한 『왕양명실기』에서는 양지를 기독교의 영혼 즉 성령과 연결시키면서 인간의 생명, 삶 그리고 변화의 근본적 원인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나아가 양지를 통해 인간은 선을 실천하는 현실적 주체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그가 양지를 종교적 영성의 차원에서 해석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동시에 그의 양지론은 기독교와는 달리 신을 배제한 인간의 독립적인 주관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 이론은 1911년 서간도 망명기에 작성한 『몽배금태조』에서 민족심으로 확장되고 있다. 박은식의 양지론은 유교 즉 양명학의 기반 하에서 기독교의 성령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다만 그에게서 기독교의 신 즉 인격신의 개념은 차용되지 않았다. 즉 박은식의 양지론은 ‘인간을 자기 결정권을 가진 영적이고도 주체적인 존재로 인식하는 철학적 근거’로써, 한국 전통 유교와 근대전환기 전래된 기독교를 통섭하는 철학 담론으로써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Pak Eun Sik changed his Confucian to Yangming-thought in 1909 and its main issue was Yangji.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was included by Christianity, too. Because that was about the time when the Protestant spreaded rapidly in 3 north districts in Korea and he often had written sentences which related at Christianity since that time. Especially there were many sentences on Yangji. He first compared Yangji to spirit, the Holy Sprit in letter to our students in 1909. He described it as reason of life, living and change related the Holy Spirit in the Biography of Wangyangmyeong published in 1910. And more he told that human is the practical main agents with Yangji who practice righteousness. This shows that he interpreted Yangji as the religious spirituality. However, at once his Yangji theories stressed just human independent identity not something about God of Christianity. This theories expanded national-mind In Dream to meet the First Empire of Geum written in 1911 when he fled to western Gando. His theories on Yangji was formed based on Yangming-thought, influenced by the Holy Spirit in Christianity. But they didn’t have the conception of God of Christianity, of a theistic view. Therefore, his theories, as the philosophical basis that human is the spiritual and identical being has the right of self determination, are a important consilience between Korea traditional philosophy and imported Christianity.

      • KCI등재

        ‘우리철학’에서 본 최치원의 삼교론

        김현우 ( Kim Hyon Woo ),서영이 ( Seo Young Yi ) 동양철학연구회 2019 東洋哲學硏究 Vol.97 No.-

        최치원(崔致遠, 857∼?)과 그의 삼교론은 한국의 원형 사유를 분석하는데 중요한 연구대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우리철학’의 관점에서 재검토하였다. 우리철학이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즉 한국인의 철학으로, 고유한 역사, 언어, 전통 종교 등의 인문적 요소들을 배경으로 한다. 최치원은 「난랑비서(鸞郞碑序)」에서 우리 고유의 원형 사유를 “풍류(風流)”로 명명하고, 이를 유학(儒學)·불교(佛敎)·도교(道敎)의 핵심적 내용으로 재해석하였다. 삼교가 당시 동아시아 보편학문이었다는 점에서 볼 때, 그의 선언은 한국의 원형 사유를 당시의 보편적이고 합리적인 학문체계로 재구성하는 철학 작업의 결과였다. 동시에 여기에는 생략된 것들도 있다. 삼교와 대비적인 초월 담론, 무속, 주술, 참위 등이 그것들이다. 이 같은 그의 작업은 전통만의 묵수도 신지식체계만의 지향도 아닌 지평의 확장이자 우리철학의 정립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Choi Chi Won(崔致遠, 857~?) and his theory of Tri-doctrine are important subjects for analyzing the reason for the Korean original thoughts. In this study, we reviewed this from the perspective of "Woori-philosophy", which is the philosophy of Korea, and based on the unique elements of humanities such as history, language and traditional religion in Korea. Choi named the original thoughts in Korea as "Pungruy(風流)" and re-interpreted it as the cor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y were universal studies in East Asia, his declaration was the result of his philosophical work to reconstruct the reason for Korea's original thougts as a universal and rational system. At the same time, some of them are omitted. These include transcendentalism that contrasts with the transcendentalism, shamanism, magic tricks, and hypocrisy. Therefore, his work is not just a traditional art form, nor a new knowledge form, but rather an extension of the level.

      • KCI등재

        유교를 통한 한국적 다문화 사회 구상 - 화(和) · 대동(大同) · 효(孝)를 중심으로 -

        김현우 ( Kim Hyon-woo ),이미림 ( Lee Mi-rim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38 No.-

        `다문화 사회`란 일정한 사회 속에 이질적인 복수의 삶의 형태나 그러한 것들이 공존한다는 사고를 전제로 한다. 흔히들 단일민족으로 구성되었다고 믿는 한국 사회도 최근 30여년 사이 많은 다문화적 요소와 현상을 가지게 되었다. 그중 주목할 것은 인적구성의 변화이다. 결혼 이주 여성과 이주노동자의 급격한 증가가 주 원인으로 이를 통해 한국사회에서는 다문화에 대한 담론이 형성되었다. 이미 세계적으로는 많은 다문화 담론들이 만들어지고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과정이 순탄한 것만은 아니었다. 더욱 짧은 시간에 다문화 사회로 진입한 한국사회에 있어서 그 대응 양상은 진지한 성찰의 여유도 없이 이주민들에게 일방적인으로 문화적인 편입과 동화를 요구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주류적 전통 가치관인 유교에서 `화`(和), `대동`(大同) 그리고 가정윤리로써의 `효`(孝)를 추론하여 이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 사회 모델을 구상하여 우리 사회가 보다 긍정적인 미래지향적 사회로 이행하기를 바란다. Multicultural society is based on different life styles and the thought that may be them in one society. Korea society which, generally speaking, is composed of a united ethnic group have had many elements and phenomena of multiculture for about 30 years. Noteworthy, constituent of human resources is changed. In oder to increase in much number of marriage migrant women and migrant workers, the debate on Korea multiculture society is formed. Already there are many debates on multiculture in the world. But their formal processes are all not loyal roads. In Korea which had gone into the multiculture in short time, the society impels unilaterally to transfer and assimilate into Korea culture without the detailed counter processes and the philosophical introspection. In this paper, we want to solve the problem for `harmony`(和), `great unity`(大同) and `filial duty`(孝) in Confucian values of Korea tradition. And we hope that our society designs Korean model of multiculture society and advances to a future-original society.

      • KCI등재

        대종교의 민족 정체성 인식

        김현우 ( Kim Hyon-wo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0 No.54

        근대전환기 발생한 4대 민족종교는 민족의 위기를 종교를 통해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중 대종교는 단군신화를 종교화하였다는 점에서 우리사회에 근대적 민족주의 형성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대종교 형성과정에서 우리 민족을 정형화하고 교리화하는 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나철은 1900년대 도쿄[東京]로 가서 일본의 조선 식민지화를 비판하였으며, 을사오적 암살 시도라는 급진적 항일운동을 펼치기도 했다. 그러던 그는 1909년 이후 소수 지식인의 한계를 느끼고 전 국민이 참여하는 항일운동을 도모하기 위해 대종교를 창설하였다. 그는 유교적 지식을 버리고 신화 속의 남겨진 단군을 민족적 신으로 재정립하였다. 이 과정에서 단군은 민족의 시조로 등장하고 민족적 정체성으로까지 확대되었다. 대종교는 일제의 탄압으로 인해 근거지를 간도로 옮기고 지속적으로 항일운동을 펼쳤으며, 봉오동전투, 청산리전투 등의 무장투쟁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해방으로 항일투쟁이 종료된 이후 대종교는 타 민족종교와는 달리 교세가 급격히 위축되었다. 민족적 위기 극복에 치중한 나머지 해방이후에는 교단의 방향성이 모호해졌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개천절, 고조선, 배달민족 등 근대전환기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성립하는데 있어서 대종교의 역할은 매우 중요했다고 평할 수 있을 것이다. 4 Korea ethnic religions tried to overcome national crises with religionism in modern transition times. Daejonggyo, one of them, contributed to our modern nationalism to establish the myth of Dangun as religion. I studied on the modern standardization of traditional ethnic thoughts in process of Daejonggyo formation in this paper. La Cheol(羅喆), who is one of founders, criticised the colonialization by Japan in Tokyo, and tried to assassinate Five Eulsa Traitors after Japan-Korea Treaty. But feeling limit of minority intellects in 1909, he established Dajonggyo to lead all nation people to anti-Janpanese struggle. He left from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rebuilded the national god from Dangun(檀君) in the myth. In processing, Dangun was developed to the national spirit and expanded the national identity. Daejonggyo moved the base into Gando because of Japan`s suppression but had been fighting for Korea independence from Japan, like Battle of Bongodong and Battle of Cheongsanli, the since 1945. However, not needing struggle after 1940, Daejonggyo was rapidly intimidated unlike other ethnic religions. Because it had concentrated on overcome national crises for Japan ruling era but it directionality blurred after 1945. Nevertheless, the role of Daejonggyo wa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modern national identity like the National foundation Day of Korea(開天節), The Ancient Joseon and Baedal nation(倍達民族).

      • KCI등재

        민족종교에 나타난 한국 정신문화의 원류

        김현우 ( Kim Hyon-woo ),이경원 ( Lee Gyung-wo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2

        19~20세기 초 한국에는 다양한 종교운동이 분출하였다. 서구 기독교가 유입하여 크게 성장하였고, 전통 유교 역시 종교로서 변화를 모색했다. 동시에 새로운 종교들도 나타났는데 대표적인 것이 동학(천도교), 대종교, 증산교, 원불교의 민족종교이다. 대체로 이들 민족종교는 한국의 전통적 종교성과 연관된 한국 정신문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민족종교 속에 내재한 한국 정신문화를 추론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 전통의 정신문화인 단군신화, 제천의식, 소도등과 외래문화와 한국 정신의 융합을 추구한 최치원, 원효, 일연, 이황 등의 철학을 경천사상, 실천사상, 조화사상 등으로 정리하고, 이후 민족종교인 동학, 원불교, 증산교에서 이들이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추론하고자 한다. To the mid 19th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here were many movements about religion in Korea society. Protestant which first flew in 1885 grew up greatly and Confucianism of traditional thought sought for religionization to survive. At once new religions named Korea ethnical religion appeared. They are Donghak(東學), Daejonggyo(大倧敎), Jeungsangyo(甑山敎) and Won-Buddhism. Generally speaking, these ethnical religions deeply relates with Korea original mental culture. In this paper, I want to infer that these religions have Korea origin metal culture. The first, I will consider some traditional thoughts of ① worshiping of Heaven, ② practice and ③ harmony from traditional (religious) ceremonies and thoughts. Ans then I will infer how these traditional thoughts from origin mental culture appear in ethnical religions of Donghak(東學), Won-Buddhism(圓佛敎), and Jeungsangyo(甑山敎).

      • KCI등재

        『학규신론』에 나타난 박은식의 경학관 연구

        김현우(Kim, Hyon-woo) 한국고전번역원 2014 民族文化 Vol.43 No.-

        박은식의 초기 전적 중 하나로 1904년 발간된 『學規新論』에는, 『논어』를 중심으로 한 다수의 유교 경전 지문이 조선의 전통 성리학과는 달리 재해석되어 서구 학문의 수용의 타당성을 논리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이 책은 현존하는 그의 전적들중에서 『王陽明先生實記』(1910)와 더불어 그의 경학관을 볼 수 있는 극소수의 전적중 하나이자 그의 초기 경학관 및 유교관을 배경으로 한다는 점에서 볼 때, 그의 양명학에 포커스가 맞춰진 기존 연구들을 보완하는 학술적 가치가 있다. 나아가 그가 개혁적 유교지식인이라는 점에서 당시 그들의 경학관을 구체화하는 데도 일조할 것으로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규신론』의 경전 해석 중 조선의 전통 성리학적 해석과 차이가 있는 『論語』의 네 구절에 대한 그의 해석을 朱子, 丁若鏞 등의 경학과 비교해 보는 방식으로 그의 초기 경학관을 추론ㆍ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학규신론』의 이 네 구절은 (1)爲周南召南ㆍ(2)聖人多能ㆍ(3)道齊以政刑ㆍ(4)學優則仕, 仕優則學 들로 각각 (1) 천성에 따른 유아 교육의 필요성, (2) 서구의 다양한 학문의 수용, (3) 서구에 반대하는 위정척사파에 대한 강력한 통제, (4) 유교를 근저로 한 신학문의 수용 등을 논리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특히 이 해석들은 정약용 경학과 연결되는데, 이는 ‘그가 젊었을 때 정약용의 후학들과 교류한 적이 있다.’는 기록과도 일치한다. 또한 이는 박은식처럼 개혁적 유교지식인 중 일부는 조선의 자생적 근대 사유인 실학을 서구 학문을 인식의 한 방법으로 보았음을 확인하는 실증적 성과이기도 하다. 한편 『학규신론』이 도입전개부에서는 서구 수용의 필요성을 적극 주장하면서도, 후반부로 갈수록 국가와 사회의 올바른 발전을 위해서 도덕 기반으로써 전통 유교의 가치 역시 분명히 강조하고 있다. 이 후반의 사고는 한일강제합병(1910)이후 발간된 『韓國痛史』(1915)의 國魂論에서도 반복된다. 즉 그에게 유교는 국가와 사회를 공명정대하게 만드는 도덕적 단초이자, 한일강제합병이후 독립운동의 사상적 기반이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보다 빠르게 변화하고 다양한 사회적 병폐가 발생하는 현재 한국 사회에서, 한국적 가치와 미래 이상의 합리적 융합이라는 그의 근대적 사유는 좋은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하겠다. 《New theories on the Education System》 published in 1904, is important to view Pak’s early Confucian Classics Hermeneutics including quotations and re-interpretations on Confucian Scriptures in order to accept Western-Studies. After the Protectorate Treaty in 1905, he was mainly active in newspapers and journals to inspire Korean spirits and Strenuous efforts and so had few methodical books on Hermeneutics. In 1910, he published 《the history of Wang Ying Ming ; (王陽明先生實記)》 again, but it just has Ying Ming Studies and its Classics Hermeneutics. Therefore, the text is worth researching his Xingli-Studies(性理學) or Dasan-Studies(茶山學) before his era of Yingming-Studies. Furthermore, it is also important to include thoughts of reformist Confucian intellectuals because he is one of them. In the paper, I want to infer his early Classics Hermeneutics to compare 4 sentences of the Analects, which is different from Classics Hermeneutics with traditional perspective of Zhuxi’s. 4 sentences in 《New theories on the Education System》 are (1) ‘study poetry of Juman(周男) and Sonam(召南)’, (2) ‘Saint is multi-capable’, (3) ‘rule with law and punishment’ and (4) ‘remarkable student must be government official, remarkable official must study.’ Each sentence is based on (1) necessity of infantile education accor ding to nature, (2) acceptance for Western Studies, (3) firm control to Conf ucian conservatives and (4) Keeping on Confucian theology. We know that he got through traditional Confucianism but approached Jeong Yak Yong’s Studies as records that he had stood Jeong’s Studies when young. And it is positive result that some reformist Confucian intellectuals cognized Western studies through Silhak(實學) which was one of Korean native modern thoughts. Meanwhile, Pak emphasizes Confucianism Value in second half as firmly as necessity of Western Studies in first half. Those thoughts in second half had connected theory of National Religion in 《Suffering History of Korea ; 韓國痛史》(1915), published after Japan’s forced annexation of Joseon in 1910. So we recognize that his independence movement is connected to Confucian Value in Joseon. I think that his modern fusion thought is good implication for Korea society, which is changed even faster than the past and whose problems are increased even more, but which would overcome and go forward future through reasonable fusion under Korean Value.

      • KCI등재후보

        구한말 개혁적 유교지식인들의 변통론적 근대 인식

        김현우 ( Hyon Woo Kim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인문학연구 Vol.0 No.24

        구한말 조선의 개혁적 유교지식인들은 밀려오는 서구 세력에 맞서 국가를 지키기 위해 『주역』에 근거한 ``變通論``을 통해 새로운 시대에 적응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런데 이 변통론은 이들이 생산한 것이 아니라, 이미 조선시대 개혁가들이었던, 조광조, 이이, 김육, 정약용 등이 사용한 용어로써 결국 이들이 이 용어를 개혁의 슬로건으로 사용한 것은 그들의 개혁이 조선의 역사적 개혁정신을 계승하고 있음을 밝힌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변통론이 일정한 것은 아니었고 주관심사에 따라, ① 실학복원파(1899년 이후), ② 한국 유교의 정체성 확립파 또는 자강파(1905년 이후), ③ 유교구신파(1908년 이후)의 세 단계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이들은 독립협회, 을사늑약등의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하여 그 지향점이 ``국가(실학복원파)→국민(정체성확립파)→개인(유교구신파)``으로 바뀌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들의 궁극적 지향점이 근대적 의미로써의 개인이었다는 점은 전통적 유교적 가치관을 통한 근대적 사고에 도달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다. 또한 이는 유교를 전통적 가치관으로만 인식하려는 시각에서 탈피하여 근대적 사고체계로써 제시한 것 이라 할 것이다. In late Joseon, reformist Confucian intellectuals tried to keep their dynasty from being influenced by the West, suggesting to adapt to a new world era with a theory of ``Byeon-Tong(變通)`` based on 『Zou-I(周易)』 or 『I-Ching(易經)』. But they were not the original authors of this theory; such Joseon reformists as Jo Kwang-jo, Yi Yi, Kim Yuk, Jeong Yak-yong, etc. had already used it beforehand. So it can be assumed that they used the theory in order to express their will to continue the original ethos of Joseon Dynasty to reform. The thoughts embedded in ``Byeon-Tong(變通)``, however, were not uniform. According to the diversity of their major concerns, they can be divided into three schools: ①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實學) (since 1899), ② School upholding Korean version of Confucianism or self-defense(自强) (since 1905), ③ School to reform Confucianism (since 1908). Historically significant, their aspirations can be viewed as having developed consecutively from nation-state(Realist School), people(National identity School), and individuals(School to reform Confucianism). That they reached the idea of individualism demonstrates that they were ready to open their minds to Western modernism through a new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 KCI등재

        조포충효론(趙苞忠孝論)에 나타난 이곡(李穀)의 충효관

        김현우 ( Kim Hyon-wo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1 儒學硏究 Vol.55 No.-

        이곡은 위로는 이규보(李奎報)와 이제현(李齊賢)을 아래로는 이색(李穡)을 잇는 고려 말의 유학자로 「조포충효론(趙苞忠孝論)」을 통해 그만의 독특한 충효관을 펼쳤다. 이 편은 『후한서(後漢書)』 열전에 기록된 동한 시대 조포(趙苞)를 주인공으로 한 전(傳)으로, 동아시아 고전에서 조포를 체계적으로 다룬 최초의 전적이자 한국 효자전의 효시이기도 하다. 여기서 이곡은 조포의 행동을 불효이자 불충이라고 평가하였는데, 이는 『후한서』의 범엽(范曄)의 주장과는 다른 것이며, 심지어 송원대 이후 조포 논의를 촉발시킨 정이(程頤)의 평가보다도 더 비판적인 것이었다. 이러한 평가는 이곡의 시대 상황과도 무관하지 않다. 이곡은 고려와 원나라의 관료를 역임하였는데, 이는 이곡에게 민족주의를 퇴색시키는 원인이었다. 즉 그가 원나라의 쇠퇴와 고려의 자주성 회복을 인지하지 못하는 과정에서 충보다는 효를 강조하였던 것이다. 충은 효의 확충에서 만들어지며, 단순히 통지차에 대한 충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현대에서도 충은 공동체를 유지하는 노력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이곡이 조포를 불효과 불충으로 평가한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평가였다. Li Gok, a Confucian scholar who succeeded Lee Kyu-bo, Lee Jae-hyun and bridged to Li Seak, explained his unique view of filial piety in his book "JopoChunghyo-Ron". This story is written on Jopo in the biography of the Later Han Book of Confucianism and is the first to systematically deal with mortuary guns in East Asian classics, as well as the beginning of the biography of the late Han Dynasty. Although the song considers Jopo's behavior to be unfaithful and insufficient, it differs from the claim of Fàn Ye in the Later Han Book, and is even more critical than the evaluation of Cheng Yí, which inspired the discussion after the SongㆍYuan Dynasty. Such evaluation is not unrelated to the current situation of Li Gok. He served as a former bureaucrat with Gorye and Yuan Dynasty, but this caused nationalism to fade for him. In other words, he emphasized filial piety rather than loyalty because he could not recognize the original decline and the recovery of Gorye's independence. Chung was born from the expansion of filial piety and was not merely loyal to the ruler. Chung can be understood as an effort to extend filial piety in a community. In this regard, it was undesirable for Li Gok to evaluate that Jopo is not only to be not loyal but also to be not filial to his parents.

      • KCI등재

        ≪황성신문≫의 실학 인식

        김현우 ( Kim Hyon-wo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0 No.52

        현재 우리가 ‘전통 유교의 경세학적 변용’으로 자주 사용하는 ‘실학’ 개념은 실제로는 1930년대 최남선 등의 정의의 연장선으로, 전통 유교에서 사용했던 개념과는 다소 차이가 난다. 원래 이 개념은 현재와 같이 단순히 경세학만을 의미하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근대 전환기 ≪황성신문≫의 ‘실학’ 인식을 통해 이러한 변화에 담긴 철학적 의의와 한계를 추론하고자 한다. ≪황성신문≫은 창립시부터 문명개화에 많은 부분을 할애했다. 그러나 창립 초기의 문명개화는 단순히 서구 문명만을 의미하지 않았다. 전통 유교나 한국의 합리적 전통도 서구 문명과 연결시켜 해석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들의 ‘실학’에는 서구 문명과 더불어 전통 유교도 포함되어 있었다. 하지만 1905년 을사늑약이후에 서구 문명이 보다 강화되었다. 그 결과 을사늑약의 원인을 미개한 국민 탓으로 규정하고 전국적인 계몽운동을 펼친다. 특히 이 와중에서 유교적 가치관을 중심으로 전통 인문학적 가치는 생략되고 오로지 서구 학문만을 국력 회복의 방안으로 생각하게 된다. 이러한 사고들은 신구학문 간의 경쟁을 부추기는 한편, 동시에 종교적 항일저항, 의병운동 같은 전 계층의 반일운동을 도외시하는 태도로 이어지게 되고, 결국 ‘개명한 완고’라는 비난까지 듣게 되었다. 이는 지나친 서구 문명 중심의 문명개화가 낳은 비극인 것이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실학’ 역시 과거 일제강점기나 해방 후 권위적 정부의서구식 경제발전 논리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하지만 분배를 우선시해야 하는 현재에 있어서 이 같은 ‘실학’ 인식은 재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황성신문≫의 ‘실학’ 인식과 변화 양상은 우리시대에도 다양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Now the conception of ``Silhak(實學)``, which have understood ``Confucian``s change to good governing``, is based on Choi Nam Seon``s definition in 1930``s, and real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conception. Because Silhak does not mean just the side of the governing. I want to describe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philosophical changes, in light of especially Hwangseoungsinmun``s understanding of Silhak in this papers. Hwangseongsinmun had devoted to the civilizational enlightenment since its establishment. But its thought of the enlightenment meaned not merely the western civilization but also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the reasonable Korea tradition. So its theory of Silhak also is something including both western and traditional. However, after the Protectorat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concluded in 1905 its thinking was changed. Especially they, many members of it, spread the enlightenment movement to define the cause of that treaty as the uncivilized nation. In this way, they had just considered the western studies and technique instead of the moral values based on traditional Confucianism to regain sovereignty. These thinkings and actions caused the competition between new western studies and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more, they caused their intentional ignorance of the national resistance like the religious resistance and the militia movement of Confucian scholars. Now a ideology of ``Silhak`` is used to be a theoretical basic on western economic development in the Japan ruling ara and the Korea-dictatorship period. But now we seek both the development and the distribution and more had better take interests of this. So Hwangseongsinmun``s cognition of Silhak shows implications to 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