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植物遺體에 基礎한 新石器時代 農耕 에 대한 觀點의 再檢討

        이경아(Lee Gyoung Ah)(李炅娥) 한국신석기학회 2005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0

        본고는 필자가 지금까지 분석한 식물유존체 자료에 기초하여 신석기시대 생계상 및 농경에 대한 관점을 재점토한 것이다. 필자가 분석한 자료는 전기의 세죽리, 비봉리유적, 중기와 동삼동, 후기의 용유도와 상촌리유적에서 수집되었다. 세축리 자료는 명아주속을 중심으로 한 잡초종자로 인간 거주지 주변에서 흔한 종들이다. 당시 주민들이 주변의 야생식물자원을 관리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비봉리에서는 전기층에서 다량의 도토리와 함께 조 1 립이 출토되었다. 동삼동 자료는 조와 기장이 전체 종자의 45%를 차지하며 나머지는 명아주 위주의 일년생 잡초종자이다. 상촌리 자료에서는 조와 기장의 비중이 더욱 커지고 잡초에서는 가장족이 명아주속을 대체한다. 반면 서해안의 용유도 유적에서는 어떠한 재배종 유체도 검출되지 않았다. 현재까지 분석된 자료로 볼 때 신석기시대의 식물 이용상은 지역별, 유적 특성별로 차이가 있다. 동남부지역의 경우 조와 기장이 재배되는 시점이 중부지역 즐문토기의 확산기와 대략 일치하며, 주거와 자원 이용 양상 역시 변화한다. 만약 비봉리 출토 조의 연대가 전기로 밝혀지면 작물 및 재배기술이 다른 문화현상에 앞서 확산되었음을 의미한다. 기존 자원 이용 계획에 큰 저해가 되지 않는다면 조, 기장 같은 재배종은 쉽게 수용될 수 있다. 조와 기장의 확산에서 지역별 다양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중서부 도서의 신석기유적에서는 경작의 흔적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반도 전역의 다양한 생계경제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식물유체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과 시기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한반도의 선사시대유적에서 발견된 작물은 다른 지역에서 재배화가 일어난 후 들어왔으므로 한반도는 작물의 기원상 이차적 지역에 속한다. 또한 작물 재배가 이루어진 한반도 신석기시대의 경제상은 집약적 농경 단계 이전의 저차원 식량생산단계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tries to review briefly the perspectives on Korean Neolithic subsistence and agriculture based on archaeobotanical remains which I have examined. M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ejuk-ri and Bibong-ri sites of early Neolithic. Dongsam-dong site of middle Neolithic. and Sangchon-ri and Yongyu-do site of late Neolithic. Sejuk-ri samples are mainly weed seeds of anthropogenic taxa in which Chenopodium species are most abundant. which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the management of surrounding wild plant resources by hunter-gatherers. Among Dongsam-dong samples 45% of seeds are cultivated millets, and others are annual weed seeds mainly of Chenopodium. In Sangchon-ri, the importance of millets were increased and Paniceae weeds replaced Chenopodium ones.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cultivated remains from Yongyu-do site in western coast. Comparing the samples examined so far, plant exploitation system in Korean Neolithic were varied according to periods. regions, and function of the site. In case of the southeast region. the appearance of millet cultivation was roughly correspondent with the spread of mid-west style chulmun pottery. and the patterns of settlement and plant exploitation were also changed at that time. The regional diversity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pread of millet cultivation since the evidence of cultivation has not been found so far from any Neolithic sites in mid-western islands.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verse Neolithic subsistence economy pattern across Korean peninsular, we urgently need the study on the region and period where no systematic archaeobotanical analysis have been done. Generally it might be said that the subsistence economy during middle and late Neolithic in Korean peninsular belonged to the low-level production with domesticates, being secondary context of agricultural origins.

      • 신석기시대 식물자원 활용연구 성과와 과제

        이경아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5 고고학지 Vol.21 No.-

        본고는 신석기 유적에서 보고된 식물 유체 및 압흔 자료를 검토하여 식물자원의 이용상 및 그 변천, 특히 작물의 기원과 생계경제상 중요도를 고찰하고자 한다. 중국 황하유역에서 작물화된 조와 기장은 신석기 중기부터 도입되었다고 간주되었으나 최근 압흔분석에 의하면 조기에 동남해안 지역에 수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콩과 팥은 한국과 일본, 중국에서 다발적으로 작물화되었을 가능성이 유전학과 고고학에서 거론되고 있다. 콩과 팥의 탄화 유체는 중기부터 출토되나, 오산리 유적 조기 무문양토기에서 팥의 압흔이 확인되고 그 탄착물의 연대가 조기로 측정되어 가장 이른 자료가 되었다. 이와 더불어 전기 운서동 유적 횡주어골문토기에서 확인된 팥 압흔 역시 이른 자료이다. 살내 유적 전기토기에서 각각 보고된 콩의 압흔은 좀더 검토할 필요가 있다. 신석기시대 식물자원의 이용, 특히 도작 이전 잡곡 재배는 생계경제상 중요도가 낮고 문화상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농경의 집중화나 식생활의 큰 변화를 시사하지는 않더라도 신석기인이 이르면 조기부터 작물을 이용 혹은 재배하면서 주변 환경을 개척할 수 있는 기초를 쌓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문화진화상 중요한 전환점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즉 조와 기장 및 팥은 조기부터 수용되었으며 이러한 이른 수용을 거쳐 중기에 이르면 최소한 일부 지역에서는 전작이 생계경제의 일환으로 자리 잡았으리라 추정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plant use patterns and origins and role of plant resources in the Neolithic Korea, based on the findings of plant remains and grain impression. Foxtail and broomcorn millets, originated from the Huangehe Basin, are beloved to have been introduced to Korea during the Middle Neolithic period, but the recent study on grain impressions reveal their adoption as early as the Initial Neolithic period along the eastern part of southern coastal regions. Both genetic and archaeological studies suggest the multiple origins of azuki and soybean in China, Korea, and Japan. The earliest charred remains of both legumes are dated to the Middle Neolithic period. Azuki impression was found at the Initial Neolithic plain pottery at Osanri with the matching AMS date on encrustation on it, suggesting a possibility of early use of azuki. Moreover, azuki impression was also identified on the Chulmun pottery at the Unseodong site. Soybean impression at the Salnae Early Neolithic site needs to be reexamined. A role of plant resource in Neolithic diet and subsistence has been overlooked, regarding them as minor resource and no cultural significance. Despite of actual contribution to diet, the management of landscape for intensive harvesting and management of plant resources itself was a significant part of cultural niche construction, a turning point of the cultural revolution. That is, initial adoption and use of both millet taxa and azuki paved an evolutionary path to a more established dry farming by the Middle Neolithic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