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걸음마기 아동 행동 발달 선별 척도-부모용 설문지(BeDevel-Q/P:Behavior Development Screening for Toddlers-Questionnaire/Parents) 개발 및 타당화

        이경숙(Lee, Kyungsook),정석진(Jung, Sukjin),윤현숙(Yoon, Hyeonsuk),정희승(Jung, Huiseung),오경민(Oh, Gyeongmin),이귀종(Lee, Guijong),신용우(Shin, Yongwoo),조영일(Cho, Youngil) 한국자폐학회 2019 자폐성 장애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9~47개월 영유아를 대상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위험군을 선별하기 위한 부모 보고용 설문 검사인 걸음마기 아동 행동 발달 선별 척도-부모용 설문지(BeDevel-Q/P:Behavior Development Screening for Toddlers-Questionnaire/ Parents)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국내외 문헌 연구와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 및 부모 대상 자료를 토대로 예비 문항 505개를 개발하였다. 자폐스펙트럼장애 관련 다학제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 영유아 자폐스펙트럼장애 자녀를 둔 부모 대상 안면타당도 검증과 예비 조사를 거쳐 51개 예비 문항을 추출하였다. 이후 예비 조사(총 289명, 이 중 일반발달 196명, 자폐스펙트럼장애 43명, 발달지연 51명)와 본 조사(총 2,273명, 이 중 일반발달 1,918명, 자폐스펙트럼장애 221명, 발달지연 134명)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월령대가 9∼11개월, 12∼23개월, 24∼35개월, 36∼47개월로 구분되고, 월령별로 10∼28개 문항이 개발되었으며, 3개의 하위요인이 도출되었다. BeDevel-Q/P와 M-CHAT, Q-CHAT-10, ADOS-2, K-CARS, CBCL 1.5-5의 전반적 발달문제 척도, BITSEA의 자폐증 선별에 민감한 문항, K-DST의 사회성 영역과의 상관분석 및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 발달지연 집단, 일반발달 집단간 차이 분석을 활용하여 BeDevel-Q/P의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본 척도는 받아들일 만한 수준(acceptable level)의 타당도를 보였다. BeDevel-Q/P의 민감도(78.5∼84.0%), 특이도(81.0∼82.0%), 문항 내적 일치도(Cronbach’s α=.85∼.88), 검사-재검사신뢰도(r=.712∼.980)에서도 높은 수준의 결과를 나타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 방향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developed and validified the Behavior Development Screening for Toddlers-Questionnaire/ Parents (BeDevel-Q/P), an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screening instrument. This assessment serves the purpose of parental reports for early screening of ASD on infants aged 9-47 months. 565 preliminary questionnaires were generated based on prior studies of ASD infants and parents. After Context Validity tests of interdisciplinary ASD experts, Face Validity tests of parents with ASD children, and preliminary research, 51 questionnaires were created. Pilot test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289 people (N = 196 typical development, N = 43 ASD, N = 51 developmentally delayed). A total of 2273 participants were tested N = 1918 typical development, N = 221 ASD, N = 134 developmentally delayed). The results showed a line between age ranges of 9-11 months, 12-23 months, 24-35 months and 36-47 months. Each age ranges consisted of 10-28 questionnaires and 3 subfactors. BeDevel-Q/P validity was tested by the general developmental criterion of BeDevel-Q/P, M-CHAT, Q-CHAT-10, ADOS-2, K-CARS and CBCL 1.5-5 DSM 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Autism items from BITSEA were also employed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sociability items from K-DST, and general differentiation factors between ASD, developmental delayed, and normal groups were also considered. Results showed a reasonable level of acceptability. BeDevel-Q/P showed high sensitivity (78.5-84.0%), specificity (81.0-82.0%), high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0.85-88) as well as high test-retest reliability (r=0.712-980). Last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s suggested.

      • URL을 이용한 Browsing방식의 File공유모델의 설계 및 구현

        이경숙(Kyungsook Lee),송영한(Younghan Song),박원배(Wonbae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C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네트워크의 특화된 주소인 지정된 URL로 Address Mapping기법을 이용하여 Peer 상호간의 파일공유 및 검색이 가능한 Peer-to-Peer프로그램을 구현하여 보았으며, 이를 응용한 하나의 제안으로써 원격지 상에 존재하는 내 컴퓨터의 저장드라이브를 같은 방법의 URL ID로 제어하여 Server운영체제 없이 개인용 PC를 자료공유용 Server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구현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P2P프로그램의 기본기능과 비교하여 Web Brower상에서 원격지 개인 PC의 자료실을 손쉽게 운영할 수 있는 Web Service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였고, 인터넷 사용자가 손쉽게 파일 검색 및 공유, 저장,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UI에 초점을 맞추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KCI등재

        소외계층 영재 특성에 대한 교사 인식

        이경숙(KyungSook Lee),이신동(ShinDong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1

        본 연구는 소외계층 영재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를 목적으로 한다. 일반 교사 및 영재 교사 177명을 대상으로 영재성과 환경과의 관계, 소외계층 영재의 특성, 선발과 교육과정 및 이를 위한 교사 역량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참여 교사들은 영재성은 가지고 태어나지만 적절한 환경이 제공되지 않으면 사장되며, 영재성이 성별, 문 화, 인종에 비해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에서는 덜 고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 학생 개인의 노력만으로 영재성이 발현되는 것에 대해 2.08로 낮은 점수를 주어 영재성 발현에 있어 개인 노력보다는 환경 영향이 큰 것으로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다. 소외계층 영재 선발을 위한 적절한 구인으로 창의성, 과제 집착력, 인지, 리더 십, 자존감 순으로 평가되어 창의성, 과제 집착력, 인지적 특성이 소외계층 영재의 특 성으로 교사들은 인식하며, 리더십, 사회성, 자존감은 다른 능력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에 소외계층 영재 선발에서 리더십, 상대방 이해 등은 적절하지 않은 구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외계층 영재의 과소선발의 이유로 교사들은 선발방법이나 교육구조의 모순보다는 결핍적 환경으로 인한 인지 격차를 주요인으로 보았으며 환경이 원인임에도 불구하고 개인능력 부족으로 보는 귀인오류경향이 조사되었다. 교사들 은 일반 영재보다 소외계층 영재에 대한 이해가 더 낮으며 교사추천에서도 소외계층 영재추천을 더 어려워하며, 영재교육이나 소외계층 영재 경험이 없는 일반 교사가 더욱 낮은 이해와 어려움을 보였다. 소외계층 영재 프로그램은 사회•정서적 발달을 내 용으로 포함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eachers’ perception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177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iftedness and th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identification and specific educational programs for these gifted students, and their own capacity to identify and teach them. The participants believed that giftedness could die out without educational support and that the identification of a gifted student might be more affected by parental social-economic status than by gender, culture or race. They gave the lowest point (2.08) to show the belief that giftedness could not be developed through only the students’ individual endeavor, suggesting that environmental support played a key role in nurturing giftedness. They thought the appropriate factors to identify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were creativity, task-commitment, cognitive ability, leadership, and self-esteem, in this order such that leadership and self-esteem were the weakest indicators. They regarded cognitive disparity caused by deficient family environment as the reason for underrepresentation of these students rather than improper identification methods and unsuitable school cultures or systems. The teachers found it more difficult to understand gifted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than other students. Teachers without any educational experience in dealing with gifted students (economically disadvantaged or not) faced more difficulties than those with relevant experience. The study shows that programs for gifted low income students are required for their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s.

      • KCI등재

        인문역량 검사도구의 개발: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이경숙(KyungSook Lee),이상욱(Yi Sang Wook),박민아(Mina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4차 산업혁명이 새로운 시대적 패러다임으로 등장하는 시대에 예측 불가능한 미래에 대비하는 역량 있는 인재를 키우는 것은 증요하다. 우리나라 정부는 인문학을 기반으로 한 융합과정을 통해 4차 산업의 시대에 역량을 갖춘 인재를 키우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융합교육의 목적은 시대에 맞는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인문대학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인문학적 역량을 정의하고 역량의 구성요소를 파악하여 인문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절차는 크게 4단계로 이루어졌다. 1단계에서는 선행연구와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하고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인문역량을 정의하고 3대 핵심축과 각 축의 구성요인을 선정하였다. 2단계에서는 전문가 5인에게 각 구성요인에 대한 설문문항을 의뢰하였다. 3단계에서는 2017년 7월 A대학의 인문대학생을 대상으로 179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구글 문서로 작성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179개의 문항은 리커트 5점 척도로 측정되었다. 4단계에서는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신뢰도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전문가가 최종 검토하여 125문항으로 구성된 1차 검사도구 제작을 완료하였다. In the era of the new paradigm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n government has supported a number of educational programs at university level to strengthen students capabilities. Through academic convergence, these programs aim at nurturing talented students who will lead the challenging future with uncertainties. Under the CORE(Human Resources Capacity Building) project, the selected universities have established various convergence curricula to cultivate their students’ capabilities so that they can take up the challenge in the future. The Project prompts the participating universities to develop and manage humanities-based convergence educational curricula for humanties majors, as well as for more comprehensive humanties education for some specific target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st tool to measure humanities capability,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a developed through the CORE project. We provide in the paper the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otal 125 items, of which are divided into 3 main axes, identity, communication, and future adap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