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옷감 염료에 의한 모자 안테 접촉피부염

        장승호(Seung Ho Chang),은희철(Hee Chul Eun),이애영(Ai Young Lee),표형찬(Hyung Chan Pyo) 대한피부과학회 1992 대한피부과학회지 Vol.30 No.1

        Clothing dermatitis frequently goes unrecognized either becaue he clinical picture is mistaken for other disorders, such as seborrheic dermatitis, and prurius, or beacuse it is difficult to trace the causal agent. Contact dermatitis to disperse dyes, especially to azo dyes, has been well known and the most frequent sources of sensitization to dyes are dresses, stockings, and trousers made of synthetic fabrics We described a case of hat band contact dermatitis due to disperse dyes, proven by a patch test. Although chrome was not proven by the diphenylcirbizide method, many dyes known to be contact allergens were proved in different kinds of hat bands. (Kor J Dermatol 1992; 30(1): 103-108)

      • SCOPUSKCI등재

        수종 국소향균제의 배양 인체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독성도의 비교연구

        표형찬,김영근,황규왕,박영립,은희철 ( Hyung Chan Pyo,Young Keun Kim,Kyu Uang Whang,Young Lip Park,Hee Chul Eun ) 대한피부과학회 1995 대한피부과학회지 Vol.33 No.5

        현재까지 국소 항균제의 피부 도포는 이들의 생체에 미치는 영향 즉 독성도가 거의 무시된 채 사용되었고 사실상 정상적인 피부에는 여러가지의 장벽이 있어 이들이 직접적으로 피부에 많은 손상을 줄 것으로 생각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최근 화상 환자의 피부 이식에 배양된 각질형성세포의 이용이 증가되고 있고, 여러 피부 질환들에서는 정상적인 피부 방어기전이 손상되어 있으므로 국소 항균제를 사용할 경우 이들의 직접적인 세포독성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세포 배양을 하여 세포 독성을 알아보는 데는 섬유아세포 배양등 배양이 배교적 용이한 세포를 사용하는것이 편리하다고 생각할 수 있겠으나, 국소 항균제의 경우에는 항균제에 의해 직접적으로 자극을 받는 각질형성세포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상처 치유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섬유아세포와 비교해 보는 것도 의의있다고 하겠다. 정상 인체의 각질형성세포 배양은 배양 조건이 까다로와 이의 사용이 어려웠으나 비교적 최근에 와서 그 배양법이 정립되어, 이러한 계통의 연구에 이용되고 있다. Feeder 세포와 혈청을 첨가한 초기의 각질형성세포 배양법은 그 후 feeder 세포를 제거하고, collagen-coated dish를 사용한 방법들로 변형되어 왔고 그 이후에 개발된 방법으로 feeder 세포와 혈청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다. 세포 배양을 이용하여 피부 독성을 판별하는 방법으로는 배양세포에 약제를 처리한 후 세포 배양액 중에 증가나 감소되 화학 물질의 측정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방법은 기능적인 변화를 알아볼 수 있는데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 반면 어떤 물질의 직접적인 세포 독성을 알아 보는데는 세포 수의 계산이나 동위원소를 사용한 방법들이 사용된다. 동위원소의 사용은 안전도가 항시 문제되며 [^3H]-thymidine incorporation 측정법은 주로 종양세포 등의 빠른 증식을 보이는 세포들에서 사용되는데 정상 각질형성세포에서도 측정된 바 있다. 세포배양을 이용한 국소항균제의 독성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형태학적 변화를 현미경적으로 관찰 하거나 살아있는 세포를 염색하여 세포수를 계산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나 전자는 너무 주관적인 단점이있고, 후자는 부정확하고, 많은 표본을 동시에 시행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그에 비해 Mosmann(1983)이 처음 사용한 후 암 억제 물질의 선별 검사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3-4, 5-dimethylthiazol-2, 5-diphenyltet razolium bromide test(이하 MTT라 약함)는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 tetrazolium dye를 formazan 이라는 색소로 변환시켜 이 색소변화를 ELISA용 흡광도측정기로 신속한 판독이 가능한, 간편하고 빠르며 sensitivity가 비교적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세포배양을 이용한 항균제의 독성도의 측정에 MTT를 이용한 방법은 최근 Tatnall(1990) 등이 섬유아세포와 각질형성세포에서 비교 연구한 바가 있고, Damour 등15이 화상 환자에 주로 사용하는 항균제들을 대상으로 세포독성도를 측정한 바가 있을 뿐이며 과거 타 저자들은 주로 세포 수의 단순계산(Coulter count) 방법을 사용하였다. 심근 경색의 진단 및 기타 질환의 진단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lactic dehydrogenase(이하 LDH)의 측정은 세포막 손상의 지표로 이용되고 있는데 최근 배양각질형성세포의 세포독성 측정에도 이용되고 있으나 항균제의 독성측정에 이용된 바는 없었다.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국소 항균제들은 소독제 및 국소 항생제들로 창상 치유, 수술 전후 처치, 기타 여러 무균적 조작이 필요 시 소독 및 살균 목적으로 혼용되고 있는데 소독제로서는 chlorhexidine, hydrogen peroxide, povidone iodine, ethanol용액과 화상환자에서 주로 사용되는 sulfadiazine 연고제와 국소 항생제 연고로는 gentamicin, fusidic acid, bacitracin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인의 피부에서 배양된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국소 항균제를 여러농도로 처리한 후 세포의 생존력을 알아 보는 MTT방법과 세포막 손상의 지료로 사용되는 LDH 측정법 및 DNA 합성을 보는 [^3H]-thymidine incorporation 방법을 함께 시도하여 여러 항균제의 세포독성도를 종합적으로 측정 분석하고 두 세포간의 차이 및 각 항균제간의 성분 및 농도별 차이를 비교하여 독성이 적은 국소 항균제를 선별하고 그것의 사용 농도를 조사하는데 있다. The clinical use of topical antimicrobial substances is common in clean wounds as well as contaminated and chronic wounds. This use is based on the observation that the reduction of superficial bacterial contamination promotes wound healing. While the antibacterial efficacy of topical antimicrobials has been well documented, their effects on living tissue and the process of wound healing remain controversial. Recently, there have been several trials to detect the toxicity of variousantimicrobial materials by using cultured fibroblasts and keratinocytes. In this study the cytotexicity of several commonly used antimicrobials and the cytotoxic concentrations of antimicrobials on cultured human keratinocytes and fibroblasts were compared using 3 different methods:1) the MTT method showing the ability of the cells to clear the cytotoxic agents, 2) LDH release indicating damage of cell membrane, and 3) tritiated thymidine incorporation measuring DNA synthesis. In the MTT method all topical antimicrobials in their usual clinical concentration showed cytotoxicity on both keratinocytes and fibroblasts by suppressing cell proliferation. Keratinocytes were more sensitive to certain antibiotics. When the 50% inhibition concentration(IC50) of topical antimicrobials were compared, the cytotoxicity to keratinocyte was, in the decreasing order, chlorhexidine, hydrogen peroxide, povidone iodine, sulfadiazine, fusidic acid, ethanol, gentamicin and bacitracin. The cytotoxicity to fibroblasts was, in decrasing order, chlorhexidine, hydrogen peroxide, povidone iodine, fusidic acid, ethanol, sulfadiazine, bacirtracin, and gentamicin. Most of the antimicrobials tested increased LDH release by keratinocyte in IC50. Chlorhexidine, hydrogen peroxide and povidone iodin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LDH release. The tritiated thymidine incorporation study showed the order of cytotoxicity to keratinocyte in IC50 of each antimicrobials was similar to that of the MTT method. Tritiated thymidined incorporation, However, appeared to be a more sensitive method in detecting cytotoxicity than MTT because the IC50 was lower in the former. In conclusion, all topical antimicrobials are cytotoxic to keratinocytes and fibroblast in their usual concentration. Because of their cytotoxicity it is suggested that one should use topical antimicrobials in a dilution of up to 1:1,000 of commonly used concentration for a short period only especially when applied directly on a skin graft or wounds without a protective barrier. Bacitracin or gentamicin appear to be less cytotoxic among all the antimicrobials tested.(Kor J Dermatol 1995;33(5):895∼906)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