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기반 학습컨설팅이 저소득층 학습부진학생의 학업동기 및 읽기전략 향상에 미치는 효과

        윤채영(Yun, Chaeyoung),김정섭(Kim, Jungsub)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학교기반 학습컨설팅을 저소득층 밀집 지역에 위치한 공립 중학교 학습부진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윤채영과 김정섭(2015)의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모형에서 제시된 학습컨설팅 과정에 따라 도입→진단→실행계획수립→실행이 이루어지고, 실행에 개입된 시험 관리개입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아, 더 기초적인 학습전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처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다시 진단→실행계획수립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처치된 개입프로그램은 읽기전략에 관한 것 이었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2학년 학습부진학생 20명(실험 10명, 통제 10명)이며, 연구기간은 2011년 2-12월까지 약 1년이다. 개입프로그램은 방과후에 매주 90분 간(2차시씩) 전체 20회기 총 40차시 실시되었다. 학습컨설팅의 효과는 학업동기 검사와 읽기전략 검사를 실시하여 중다공변량분석(MANCOVA)하는 방식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읽기전략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학업동기에서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부진 학생들의 인지적인 변화가 정서적 변화로 쉽게 전이되지 않으며, 특히 중학교 학습부진학생들에게는 학업동기와 같은 정서적 변화가 학업성취 도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으므로 개입 방안이 교과학습으로 전이되도록 스스로 연습할 수 있는 기간을 거친 후, 학생들의 학업동기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학교기반 학습컨설팅이라는 수요자 중심의 교육서비스를 바탕으로 학교구성원들과 협의하여 공교육 체제 내에서 저소득층 학습부진학생들의 학습문제를 진단-처치한 학교현장 중심의 실천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learning consultation and examine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on academic motivation and reading strategies to 8th- grade -underachievers from low-income family as after school program. The learning consulting was proceeded 5 stages from an entry, a diagnosis, planning interventions, an implementation, a disengagement. In the process, learning consultants found out the school's needs requesting the learning consulting that the underachieved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y acquired deficient learning strategies, but the school didn't have definite ideas why the students didn't have enough learning motivation and which learning strategies they particularly were needed. Therefore, the learning consultants figured out the reasons of the academic deficiency through the diagnosis process, formulated a intervention, and implemented the plan. This study was based on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A total of 20 underachieved students in the 8th grade from low-income family participated as subjects, of whom 1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consulting implementation as experimental group and a further 10 subjects forme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reading strategies education program as an intervention.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20 sessions for a school year. Academic and Motivation Reading Strategy Scales were administrated to all the subjects as the pre and post-test.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 an MANCOVA was conducted. Mean scores on reading strategy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but those of the control group did not. However, the scores on academic motivation had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s a result, the learning consulting appeared to help the underachieved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y to increase the level of reading strategies using, but not to help them to have instant positive learning motivation.

      • KCI등재

        사범계열 대학생이 지각한 열등감과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

        윤채영(Yun, ChaeYoung),이은화(Lee, Eun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본 연구에서는 사범계열 대학생이 지각한 열등감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비합리적 신념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18년 3월 초부터 말까지 약 한달 간 부산과 경남 지역 3개 대학교 사범계열 대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고, 최종 457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사범계열 대학생의 열등감과 발표불안 간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신념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사용해 매개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범계열 대학생이 지각한 열등감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부분매개 관계를 보여주는 연구모형이 완전매개를 보이는 경쟁모형에 비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연구를 통해 사범계열 대학생이 지각하는 비합리적 신념을 바꾸게 함으로써 열등감 으로 인한 발표불안이 어느 정도 완화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 으로 논의하였고 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between personal inferiority and speech anxiety of teachers` college students. A total of 457 participants was from 3 universities in Busan and Gyeongnam. Pearson correlations were examined among the study variables. And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dicated that a hypothesized model produced the better fit to the data than a comparative structural model. Bootstrapping Analyses were used to prove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The hypothesized model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peech anxiety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personal inferiority and irrational beliefs. Second, personal inferiority had an impact on speech anxiety indirectly and directly . Results indicated that irrational beliefs partly mediated the link between personal inferiority and speech anxiety. This study calls for the focus on irrational beliefs to reduce speech anxiet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진로-학습 연계 전환기적응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학업동기,시간관리기술에 미치는 효과

        윤채영(Chaeyoung Yun),김소영(Soyeong Kim)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진로와 학습을 연계한 전환기적응프로그램이 중학교신입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학업동기, 시간관리기술을 향상시키는지를 검증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담당교사와 진로교육전문가 1인, 학습전문가 1인이 협력하여 전환기 중학생의 적응에 요구되는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프로그램은 담당교사가 학급전체 학생들에게 실시하였고, 학생 개별처치를 학습전문가와 진로전문가가 진행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A중학교 1학년 2개 학급 학생 59명이었으며, 두 학급 중 1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의 29명 학생들에게는 정규교육과정인 창의적 체험활동시간을 활용하여 첫 학기에 14주 간 14회기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학생들은 동아리활동에 참여하였다. 진로자기효능감과 학업동기, 시간관리기술 검사를 사전ㆍ사후에 실시한 후 효과정도를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진로-학습연계 전환기적응프로그램은 참여 학생들의 진로자기효능감와 학업동기, 시간관리기술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전환기적응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발달과 적응과정에 요구되는 진로와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학습상황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이겨내는 마음을 가지도록 했으며, 자기관리능력을 함양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middle school transition program on career self-efficacy, academic motivation, and time management skills for middle school first graders. This study was based on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A total of 59 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irst grade participated as subjects, of whom 29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further 30 subjects forme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taken the middle school transition program with career education and learning management skills sessions as an intervention.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4 sessions. Career Self-efficacy, Academic Motivation, and Time Management Skills Scales were administrated to all of the subjects as part of the pre and post-test stage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xperiment, an ANCOVA was conducted.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there was positive develop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relation to career research,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performance among the constructs of career self-efficacy. Secondly, the transition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academic motivation of the middle school boys.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only present in the academic self-efficacy. Lastly,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general time management skill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iddle school transition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career self-efficacy, academic motivation, and time management skills for middle school freshmen.

      • KCI등재

        마이스터고 신입생의 성취목표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윤채영(Yun, ChaeYoung),김경애(Kim, Kyoung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8

        본 연구에서는 마이스터고생의 동기 요인인 성취목표와 의지통제가 마이스터고생들이 진로목표를 실현하게 하는 직접적 요인인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성취목표지향성이 진로준비행동으로 외현화되도록 하는데 의지통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2015년 4월 초에 306명 마이스터고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성실히 응답한 295명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마이스터고 생들의 성취목표 유형 중 숙달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은 의지통제와 진로준비행동과 높은 상관을 보였지만, 수행회피목표지향성은 진로준비행동과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아 매개검증 예측변인에서 제외되었다. 그리고 성취목표와 의지통제는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행접근목표, 숙달목표, 의지통제, 수행회피목표 순으로 상대적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마이스터고생들의 성취목표 유형 중 숙달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 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의지통제가 부분적으로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교육현장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nd impact of achievement goals and volitional control to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urthermore, this study tested i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volitional control would mediate the relations of achievement goal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295 students in April, 2016.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stery goals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s out of achievement goal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volitional contro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performance avoidance goals was not related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mastery goals, performance approach goals,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s in achievement goals and volition control had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revealed that the relation of achievement goals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mediated by students volitional control.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ed that high volition control Students with mastery goals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s have high level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s implication is future meister high school education should focus to achievement goals and volitional control to increase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KCI등재

        마이스터고 신입생의 학업동기와 학교만족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윤채영 ( Chaeyoung Yun ),김경애 ( Kyoung Ae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6 중등교육연구 Vol.64 No.2

        본 연구는 마이스터고 신입생들의 학업동기가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마이스터고 학생들 역시 다른 유형의 고등학교 학생들과 유사하게 학업이 학교만족도에 주는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진로 요인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매개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306명 마이스터고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회수된 296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마이스터고 신입생의 학업동기는 학교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또한 마이스터고 신입생의 학업동기가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부분적으로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고등학생이자 취업준비생의 과정에 입문한 마이스터고 신입생에게 학업과 진로의 주요 과업이 학교만족에 주는 영향을 확인한 본 연구결과가 교육현장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of academic motiva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o meister high school freshmen`` school satisfaction. Furthermore, this study tested if meister high school freshme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ould mediate the relations of academic motivation and school satisfaction among 296 student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motiva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igher school satisfaction. And academic motiva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ighe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econd, a series of mediat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relation of academic motivation to school satisfaction. was mediated by student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t``s implication is future meister high school education should focus to academic motiva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o increase meister high school freshmen`` school satisfaction. Also, the desirable education program for school adjustment in effective helping is considered to both academic motiva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factors.

      • KCI등재

        예비중등교사가 인식하는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학업동기의 매개효과

        문정우 ( Moon Jeong-woo ),윤채영 ( Yun Chaeyou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1

        본 연구에서는 예비중등교사의 진로장벽과 학업동기가 실제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나아가 예비중등교사가 인식하는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학업동기가 매개로 간접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3개 대학 사범대학에서 교직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303명의 자료를 구정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모형인 부분매개모형이 경쟁모형인 완전매개모형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의 결과는 예비중등교사의 진로준비행동은 학업동기와 정적상관을 가지며, 진로장벽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진로장벽과 학업동기는 진로준비행동을 설명하는데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비중등교사가 인식하는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업동기가 부분적으로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academic motivation as a mediating factor affecting pre-service teachers’ decision to pursuit a teaching career. The results of this study verified that academic motivation was a defining factor duri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400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teaching majors at 3 universities in Busan from which 303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initially expected to match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but the data indicated that a hypothesized model produced a better fit than a comparative structural model. The hypothesized model shows tha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a positive affect on academic motivation but a significantly negative affect on career barrier. Also, career barrier and the academic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xplaini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astly, the results confirmed that academic motivation mediated only partially in the process in the career barrier perceived by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when consider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and the limitation and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청소년의 부모와 의사소통과 대화시간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엄경주(Um, KyoungJu),윤채영(Yun, Cha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9

        본 연구는 중학교 남학생이 부모와 나누는 의사소통과 대화시간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상대적 기여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는 부산시에 소재한 남자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2015년 10-12월 약 2개월간 설 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자료처리에는 수집된 설문지 240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된 설문지를 제외하고 177부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부모와의 부정적 의사소통 방식인역기능적 의사소통은 중학교 남학생의 문제행동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긍정적 의사 소통 방식인 개방적 의사소통과 대화시간은 문제행동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중학교 남학생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기여도가 높은 변인은 부와의 의사소통이었다. 부와의 의사소통은 개방적인 의사소통과 역기능적 의사소통 모두 영향력이 높았지만, 그 중 더 영향력이 큰 변인은 부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이었다. 모와 관련된 변인 중 중학교 남학생에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모와의 대화시간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동성부모인 아버지와 나누는 의사소통이 중학교 남학생의 전반적 인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며, 이성부모인 어머니 요인은 권위위반형이나 도피형 문제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and conversation time to problem behaviors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For sampling,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40 male middle school students at 2 male middle schools in Busan.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63 questionnaires which didn’t have sufficient or credible answers was excluded, so the 177 students data was used for this study.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hypothesis. Results indicate that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and conversation tim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roblem behaviors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Futhermore, dysfunctional communication i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was significant negative related to problem behaviors,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i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and conversation tim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ed to problem behaviors. The impact of dysfunctional communication in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was the largest factor, and that of conversation time with mother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in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were the next to problem behaviors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ed that communication with father led to male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It is implicated that change of communication style between male adolescent and his father could lead to relieve male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Therefore, proper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 need to be provided to male adolescents fathers for prevention of male adolescents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these results,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서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이경미(Lee, KyungMi),윤채영(Yun, Cha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이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정서적 심리변인을 학업 스트레스, 정서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으로 상정하고, 이 연구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9년 5월 10일부터 30일까지 약 20일 간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3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학교생활적응검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318명 자료를 최종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은 학업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정서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정서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구조모형 분석결과, 상정된 연구모형은 적합도가 양호하였으며, 최종 모형에서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주는 직접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정서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을 매개로 한 간접 영향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생의 정서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을 완전 매개로 중학생이 지각하는 학업스트레스를 완화시켜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논의하였고 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stres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nterpersonal 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And it was verifie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ability mediated in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school adjustment.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400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at 3 middle schools in Busan from May 10th to 30th in 2019 and the collected data of 318 students was finally used for the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 25.0 for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AMOS 24.0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stress had an indirect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though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ability. Second, academic stress did not significantly direct influence academic stress. In conclusion, in a school field academic stress could be reduced by improving of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would be improved.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is study result, and the limitation and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진로성숙도, 학교행복감 간 종단적 관계

        백승원(Baek, Seungwon),윤채영(Yun, Chae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3

        이 연구에서는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중1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진로성숙도, 학교행복감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자기주도학습, 진로성숙도, 학교행복감의 종단적 관계를 검증하고, 연구변인 간 구조적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데이터는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중1 패널로 부산시 소재 중학교 50개교에 1학년 재학생 2,819명의 1차년도(2016년)~3차년도(2018년) 자료이다. 연구변인 간 관계의 초기상태 및 변화율에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교행복감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주도학습과 진로성숙도, 학교행복감 간 종단적 경로에서 자기주도학습은 진로성숙도와 학교행복감의 초기치에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성숙도와 학교행복감의 관계는 초기치에서 초기치, 변화율에서 변화율과 같이 동일한 잠재요인에서 정적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자기주도학습의 변화율에서 학교행복감의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자기주도학습과 학교행복감 간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진로성숙도의 초기치는 자기주도학습의 초기치가 학교행복감의 초기치로 이어지는 경로를 부분매개하였으며, 진로성숙도의 변화율은 자기주도학습의 변화율이 학교행복감의 변화율로 이어지는 경로를 완전매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ing patterns of self-directed learning, career maturity, and school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using BELS panel data.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of self-directed learning, career maturity, and school happiness was verified by using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was verified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variables. The data of this study was 2,819 first graders in 50 middle schools in Busan.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was appli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initial status and rate of chan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maturity and school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has been decreasing over time. Second, in the longitudinal path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career maturity, and school happiness, self-directed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career maturity and school happin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and school happi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ame latent factors as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in the initial value. However, the effect of the change rate of self-directed learning on the change rate of school happiness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school happiness. The initial value of career maturity partially mediated the path that the initial value of self-directed learning leads to the initial value of school happiness, and the rate of change in career maturity fully mediated the path that the rate of change in self-directed learning leads to the rate of change in school happiness. Based on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고등학생의 외향성이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신미선(Shin Misun),윤채영(Yun Chae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외상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Tedeschi와 Calhoun(2004)이 제안 한 외상후 성장 모형에 따라 개인의 성격특성인 외향성이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환경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가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25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외상경험이 없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224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등학생들 이 경험한 외상은 학업문제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주요 대상(연인, 또래, 가족)과의 관계 문제로 고등 학생이 겪을 수 있는 생활사건이었다. 외상 시기는 중학교 입학이후부터 최근 3년 이내가 가장 많았으며, 외상고통은 당시 보다 최근 현저히 완화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외향성과 사회적지지, 외상후 성장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외향성과 사회적 지지는 외상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의 상대적 영향력이 더 컸다. 또한 외향성이 외상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 매개 효과가 있었다. 이는 외향성이 높은 고등학생이 외상후 성장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 과정에서 주요 타인의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긍정적인 변화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논의하였고 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if social support plays a mediating role in relation to high school students extraversion and post-traumatic growth as Tedeschi & Calhoun’s(2004) s function-descriptive model of PTG. To fulfil its objective, the current study targeted 224 high school students in Chang-won who are experienced trauma to measure the level of extraversion, social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In addition, based on its theoretical background, a mediation model was set using measured variables fo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extraversion and social support have positively affected to post-traumatic growth. Secondly, social support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extraversion and post-traumatic growth. As a result, extraversion directly affected post-traumatic growth, and even social support mediation had an indirect grip on post-traumatic growth. Lastly,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long with the indications and limitations shown in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