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한 고관절 전치환술: 5년 중기 추시결과

        임수재 ( Soo Jae Yim ),장문석 ( Mun Suk Jang ),윤준희 ( Joon Hee Yoon ),이상혁 ( Sang Hyok Lee ),강희경 ( Hee Kyung Kang ) 대한고관절학회 2011 Hip and Pelvis Vol.23 No.4

        목적: 세라믹에서 나타나는 강성 성질을 완화하여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에서 나타나는 합병증을 시멘트형 대퇴 스템을 사용함으로써 감소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여 중기 추시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시멘트형, 무 시멘트형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5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각각 30명 32예와 31명 33예를 대상으로 임상적 평가와 방사선학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Harris 점수와 WOMAC 점수는 시멘트형 군과 무 시멘트형 군에서 수술 전 보다 최종 추시상 모두 향상되었다(P<0.05). 그러나 Harris 점수나 WOMAC 점수의 시멘트형과 무 시멘트형 간의 증가에 대한 특이한 차이는 없었다(P=0.304, P=0.769). 무 시멘트형 군에서만 보행 시 발생한 고관절부 불편감 3예, 대퇴부 통증 5예가 있었다. 양군에서 비구 컵의 골성 고정을 얻었고, 삽입물의 이동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시멘트형 군에서 대퇴 스템의 침강은 30예서 1 mm이내, 2예에서 2 mm 이내였으며, 무 시멘트형 군의 모든 예에서 대퇴 스템의 골성 고정을 얻었다. 결론: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한 무 시멘트형과 시멘트형 고관절 전치환술의 중기 추시 결과는 통계학적으로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Purpose: We believe that cemented femoral stems will relieve the stiffness of ceramic-based bearings, resulting in reduced complication of ceramic-on-ceramic bearing total hip arthroplasty (TH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dterm effect of ceramic-on-ceramic bearing THA using cemented femoral stems.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32cases (30 patients) of THA using ceramic-on-ceramic bearing cemented femoral stems and 33 cases (31 patients) of THA using ceramic-on-ceramic bearing cementless femoral stems. All total hip arthroplasties were performed between January 2004 and December 2005 and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5 years. The clinical results and radiographic results were evaluated. Results: The mean HHS improved from points pre-operatively to points at the last follow-up in both the cemented and cementless stem groups (P<0.05). The mean WOMAC score also improved from points pre-operatively to points at the last follow-up in both the cemented and cementless stem groups (P<0.05).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the cemented and cementless stem groups in HHS and WOMAC scores (P=0.304, P=0.769). There were 3 patients with a sense of discomfort on ambulation and 5 patients with thigh pain in the cementless stem group and no cases in the cemented stem group. There was no instance of acetabular loosening in either group. Subsidenc of the cemented femoral stem was less than 1mm in 30 cases and less than 2 mm in 2 cases. All cementless femoral stems acquired firm bony union. Conclusion: Midterm results showed no statistical links between ceramicon-ceramic-bearing THA using cemented femoral stems or cementless femoral stems.

      • KCI등재

        실감형 화재관리기술 검증을 위한 테스트베드 적용방안 연구

        최우철(Woo-Chul Choi),김태훈(Tae-Hoon, Kim),윤준희(Joon-Hee, Yo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3

        최근 밀양 세종병원(2018), 종로 고시원(2018), 김포 요양병원(2019) 등 재난약자를 포함한 다수의 시민들이 사용하는 다중이용시설물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하여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초래되고 있다. 이러한 피해를 줄이고자 여러 시범적인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최신 공간정보 및 IoT 기술을 활용한 첨단 화재대응기술 개발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업 적용기술 개발을 위해 실감형 재난관리기술 연구를 기반으로 도출된 세부 기술들을 실증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첫째, 테스트베드의 건축물 조건 및 후보지를 조사·분석하여 연구대상 건축물의 만족조건과 후보대상 건축물을 도출하였으며, 둘째, 테스트베드를 선정하여 필요한 센서 및 시설물 인프라 구축 등 성과물 실증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술실증을 위한 시나리오를 제작하였으며, 테스트베드용 시스템을 개발하여 실제 테스트베드 현장 실증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해당 테스트베드는 실감재난관리 연구사업의 중간성과물을 검증하고 개발기술들의 질적 향상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가 향후 타 연구과제에서 테스트베드 구축 시 참조할 수 있는 모범사례가 되어, R&D 성과의 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cently, a large fire occurred in a multi-use facility used by a large number of citizens, including the vulnerable, resulting in a lot of injuries and damages. Although several pilo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reduce such incidents, the development of advanced disaster response technology using the latest spatial information and IoT technology is still insufficient. In this study, a pilot test bed is built to demonstrate detailed technologies derived through the first stage of realistic fire management technology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applied technology in the field. In detail, the building conditions and candidate sites of the test bed were first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derive satisfactory conditions and candidate target buildings. A second pilot test bed was then selected, and the necessary sensor and facility infrastructure were built to demonstrate the outcomes. Finally, a scenario was produced for technology verification, and a test bed system was developed. The pilot test be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verifying intermediate outcomes of realistic fire management research projects, enhancing the quality of the developed technologies.

      • KCI등재

        연속적으로 시행한 양측 슬관절 전치환술에서의 자가수혈장치는 술 후 동종수혈량을 감소시킨다

        임수재 ( Soo Jae Yim ),이상혁 ( Sang Hyok Lee ),장문석 ( Mun Suk Jang ),송현석 ( Hyun Seok Song ),윤준희 ( Joon Hee Yoon ) 대한슬관절학회 2011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3 No.1

        목적: 양측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자가수혈장치를 사용한 경우 수술 후 출혈량과 동종수혈 요구량을 얼마나 감소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본원에서 양측 슬관절 전치환술을 연속적으로(sequential) 시행받은 95명의 환자들 중 자가수혈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50명의 환자들(제1군)과 자가수혈장치를 사용한 45명의 환자들(제2군)에서 출혈량 및 동종 수혈량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1군에서는 수술 후 혈색소 수치를 기준으로 하여 동종수혈을 시행하였으며, 2군에서는 수술 후 자가수혈장치에 모인 혈액을 재 주입한 후 혈색소 수치를 기준으로 하여, 다시 동종수혈을 시행하였다. 환자의 의무 기록을 조사하여 총 실혈량, 총 수혈량 등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인자들과 환자의 동종수혈량과의 상관관계를 통계학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실혈량과 수혈량은 양 군에서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평균 동종수혈량은 1군에서 1,270.0mL, 2군에서 564.4 mL고, 이는 2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결론: 연속적인 양측성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자가수혈장치를 이용한 경우 동종수혈량의 필요성과 양을 줄일 수 있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in the reduction of the amount of required allogenic transfusion after b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when an autotransfusion device was used.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ninety five patients who underwent sequential b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from January 2006 to May 2010 by one surgeon. The first group was 50 patients who did not have an autotransfusion device used and second group of 45 patients were those who had an autotransfusion device used during the postoperative period. Group 1 received allogenic blood transfusion with a standard level of postoperative hemoglobin. The group 2 patients were reinfused with as much blood as was collected by an autotransfusion suction bag and then they received allogenic blood transfusion with a standard level of postoperative hemoglobin. Results: The total blood loss and amount of blood transfusion were almost the same in the two groups. The mean amount of allotransfusion was 1,270.0 mL in group 1 and 564.4 mL in group 2 and the reduced amount of allotransfusion in group 2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Conclusion: Using an autotransfusion device is a good method to reduce the mean amount of allotransfusion after bilateral sequential total knee arthropl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