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사 기법으로서의 퀴어-김영하의 소설 “사진관 살인 사건”, “거울에 대한 명상” 그리고 영화 “주홍글씨”의 서사 구조 분석-

        윤정화 대중서사학회 2012 대중서사연구 Vol.- No.28

        이 논문은 변혁 감독의 영화 <주홍글씨>(2004)에 서사적 틀을 제공한 김영하의 <사진관 살인사건><거울에 대한 명상>의 작품들의 퀴어적 서사내용이 영화 <주홍글씨>에서 어떻게 영상의 서사구조로 재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영화 <주홍글씨>는 구조적 미학을 위해 제목과 서사 구조에 이르기까지 형식과 내용의 일치성을 고려한 작품이다. 나다니엘 호손(Nathaniel Hawthorne)의 소설 제목을 영화제목으로 내세운 기획 자체에 ‘퀴어’의 위반과 전복성을 함의하고 있다. 영화 <주홍글씨>는 소설 <사진관 살인 사건>을 두 이야기의 병행 서사 중 외적 서사로 이용하면서 소설 <거울에 대한 명상>을 내적 서사로 진행한다. 이 내적 서사의 진행에서 ‘퀴어’의 발견 시점을 클라이막스(절정)에 배치함으로써 관객이 발견하는 충격의 크기를 폭발적으로 강화한다. 관객의 예상을 뒤엎는 깨달음과 충격의 반전을 내적 서사의 후기에 배치하고 급히 종료하는 것이다. 중심 서사가 종료된 후에 소설에는 없는 <사진관 살인 사건>의 이야기를 영화의 뒷부분에 배치함으로써 영화에서는 소설과는 다른 효과를 창조한다. 영화 <주홍글씨>에서는 ‘퀴어’라는 서사내용이 서사 기법의 ‘반전’으로 기능함과 동시에 서사 구조 내에서 남성 화자의 지배적 위치를 전복시키는 기능을 한다. 동시에 주인공을 비극적 깨달음의 최고치에 이르도록 이끄는 기법적 작용까지 하고 있다. 이러한 반전의 ‘발견’과 그에 따르는 ‘깨달은 자’의 재현에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가 기획했던 ‘퀴어’의 전복성이 개입하게 된다는 점을 이 논문에서는 서사구조 분석을 통하여 밝혀 보았다. 소설 서사구조의 재미와 영화에서 기획하고 있는 두 가지 이야기의 융합의 재미는 다르다. 소설이 영화로 매체적으로 변이하면서 ‘퀴어’라는 서사가 어떠한 기법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또 다르게 사용되었다면 그 의도는 무엇인지를 분석해 봄으로써, 현재 한국사회에서 ‘퀴어’에 대한 체온감각은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 볼 수 있다. 그 다른 지점의 차이에 주목할 때 영화에서 감독이 추구하고자 했던 ‘퀴어’에 대한 인식 또한 발견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부부자산합산과세 위헌결정에 관한 소고 : 헌재 2002.8.29. 2001헌바82 결정

        윤정화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0 이화젠더법학 Vol.1 No.1

        조세제도가 젠더평등의 문제와 함께 논의될 때에 가장 주요하고도 빈번하게 논하여지는 것이 바로 과세단위라고 할 수 있다. 2002년에 우리 헌법재판소가 자산소득에 대한 부부단위 합산비분할주의가 합리적인 사유없이 합산대상자간 소득이 있는혼인한 부부를 소득세 부과에 있어서 차별 취급하는 것이기 때문에 헌법 제36조 제1항에 위반된다고 판시함에 따라 과세단위가 개인단위주의로 전환된 것을 기점으로 우리나라에서도 과세단위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소득세법 제61조의 규정이었던 부부의“자산소득합산과세”위헌결정소원(헌재 2002. 8. 29. 2001헌바82 결정)은 조세법상의 젠더평등을 점검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이정표가 된 판결이며, 남녀의 현실적인 삶의 차이를 반영하여 여성의 삶을 고려한 과세를 하는 것에 접근한 판결이라고 할 수 있다. 부부자산합산과세와 같이 순수한 조세법 규정에서 조세부과를 혼인관계에 결부시키는 것은 가족법 등에서 혼인관계를 규율하는 것과는 달리 소득세법 체계상 사물의 본성에 어긋나므로, 자산소득합산과세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득세 부담의 증가가 소득세법의 본질상 혼인관계를 기초로 발생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할 것이다. 차별취급의 적합성 여부나 차별취급의 필요성 여부, 그리고 법익의 균형성 여부에 모두 부합되지 않는다고 판시한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후 종합부동산세법 제11조 위헌소원 등에서 다시 한번 세대별 합산규정은 혼인한 자 또는 가족과 함께 세대를 구성한 자를 비례의 원칙에 반하여 헌법 제36조 제1항에 위반됨을 보여주고 있다. When taxation system is coupled with gender equality issues, tax unit often rise to the center of attention and discussion. In 2002, Constitutional Court judged that non-separation of cumulative taxation on a married couple to income from assets is discriminating against married couples with income from assets in laying income tax without any reasonable cause and, as a consequence, violating Article 36-1 of the Constitution. By the judgment, the individual unit system took place and facilitated further research on tax unit in Korea. Unconstitutionality verdict(CC 2002. 8. 22, 2001Hen-Ba82) on “Cumulative taxation on a married couple to income from assets” from Article 61 of Income Tax Law clearly marked a turning point to ensure gender equality on taxation system and approach women’s issues more closely by reflecting different lives between men and women. Associating taxation with marriage is inappropriate under the strict taxation law as in the case of Cumulative taxation on a married couple to income from assets and the term of marriage does not fall under the same category suggested by the Family Law Act. Therefore, it is unacceptable to bear additional burden of income tax due to Cumulative taxation on a married couple to income from assets on the basis of Income Tax Law for married couple. We need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verdict statement saying the disparate treatment is neither proper nor necessary and not even applicable to balancing of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And shortly thereafter, Constitutional complaint on Article 11 of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once again substantiated that joint filing of married couple or family violates the principle of proportion, Article 36-1.

      • KCI등재

        50년대 유종호론 -페허 위에 비평의 새 집 짓기-

        윤정화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0 No.-

        In 1950s, many professional critics appear. Their activities are summarized as positioning as new criticism. Among these new generation critics, Yu, Jong-ho reviews the position of criticism which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literature in a new perspective, and emphasizes the spirit of criticism as an intellectual reflection. This reflects Yu's views that criticism should participate as an alternative writing to solve the problems during the time. Yu's argument was similar to building a strict and firm new house on the rubbles of the post-war ear in the 1950s. This was because the ruins of the generation shared similar traits with the non-existence of genres. Yu was the first critic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reconfigure the basics of the criticism by recognizing that his generation lacked literalism in the era of no professional criticism. Yu's view was that the duty of critics was to contribute by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through interpreting complex literature, and that this recreated criticism into a creative criticism. At this point, he argued that criticism should position itself as rebelling against the violence during the 1950s when the society forced people to take sides. This means that criticism should stand against violence by maintaining balanced views as a language of moderation in the era of forcing people to be purist or participants. Yu's methodology of criticism is concluded as his interest on literature language itself, and this literature language means aboriginal mother language. In this case, mother language is not defined as regional Korean language, but encompasses Chinese characters with long history. The final destination of literature language he wanted to reach was works which could depict Korean literature language's aesthetic culmination; for poems, it can be created through musicality, and sincerity for proses. Yu configured the position of the critics in the field of writers who create communication as the language of moderation, and sought for a real modernization by expanding the boundaries of language which were the objects of criticism. At this point, literature should possess truth, and through this sincerity can be achieved. Through this analytic view on the actual criticism on literature, he has shown an good example of literature which the generation should pursue. The writers who fall into Yu's selective standards include Kim, So-wol, Jeong-Ji-yong, Seo, Jeong-joo, Yun, Dong-joo, Hwang, Soon-won, and Sohn, Chang-sup.

      • KCI등재

        재일한인작가 이양지 소설에 나타난 모국 이해와 치유의 서사적 재현

        윤정화 한중인문학회 2013 한중인문학연구 Vol.40 No.-

        재일한인에게 모국은 상처다. 모국을 밝히는 순간, 정주국에서 배제되는 아픔의 기억은 오 랜 트라우마로 작용한다. 재일한인작가 이양지1) 또한 이러한 트라우마를 갖고 있었다. 일본에 서 여러 겹의 경계 밖에 살면서도 그녀는 자신의 불행을 끌어안고만 있지 않았다. 그녀는 상 처를 방치하지 않았고 자신의 상처를 들여다보고 적극적으로 그 상처의 기원인 모국에 대한 이해를 예술적으로 승화하기 위해 노력한 작가이다. 치유는 상처를 이해함으로부터 시작된다. 자신의 상처를 외면하지 않고 회피하지 않기란 쉽지 않다. 이양지도 처음에는 자신을 불행하게 하는 상처의 기원을 알고 외면하고 부정한다. 그러나 부정은 치유를 약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자신의 상처에 화해와 용서의 손을 내민 다. 그것은 이해하기의 행위이다. 그녀가 모국을 이해하기 위한 행위는 모국의 소리와 모국의 몸짓에 본능적인 끌림으로 재현된다. 1975년, 이양지는 가야금과 한국춤사위에 매혹당하고 그 소리와 몸짓이 자신의 상처를 어루만지는 것을 느낀다. 이양지는 이 모국의 감각이 모국에 대 한 상처를 치유할 것이라고 믿는다. 그리고 그녀는 이 모국의 감각을 직접 모국에서 체득하기 로 결정한다. 이양지는 <해녀>, <각>, <나비타령>과 <유희>에서 그녀가 체험한 모국을 재현한다. 그 녀는 소설에서 자신이 아닌 타자의 시점과 목소리로 자신을 대상화하고 객관화한다. 이러한 시점변화기법은 모국을 이해하고 치유하려는 역지사지, 입장바꾸기의 서사적 재현이라 할 수 있다. Korean-Japanese female writer Yang-Ji Lee is outsider, or minority, that has not been able to settle down in her host country. Lee is a subaltern who has suffered. At the origin of her pain is the fact that she has settled down in Japan as part of a diaspora. She experienced a higher degree of alienation and exclusion in her motherland, which she had visited out of longing. To the diaspora living in a host country, the motherland is a wound that can never be stitched up. However, she overcomes the violence prejudice of those that regard her as an object through efforts to objectify herself through her work. Yang-Ji Lee discovers her identity by reviewing and pondering her status as an 'other'–a status created through the views of the majority. The healing of her trauma is completed inside the novel, which is the space of writing.

      • KCI등재

        재일한인작가 정승박 소설에 나타난 ‘태평양 전쟁체험’과 ‘내셔널리티’

        윤정화 한중인문학회 2013 한중인문학연구 Vol.38 No.-

        재일한인이 발생한 기원은 전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전쟁의 발발로 동아시아인의 대 이 주, 재일한인의 디아스포라가 발생되었으며, 그들의 혼곤한 삶이 시작되었다. 전쟁이라는 사 건 속에 내던져진 운명으로 인해 재일한인의 정체성은 지금까지 미결정되어 있으며 이들은 여전히 부유하고 있다. 재일한인은 자신의 내셔널리티를 전쟁을 통해 최초로 인식하였고, 결 과적으로 전쟁 속에서 모호해지는 자신의 非내셔널리티를 각성하게 된다. 전쟁은 재일한인의 내셔널리티의 실체를 각성하게 되는 사건적 계기로 작동하는 것이다. 정승박의 소설에서는 작가 자신의 표상인 주인공 ‘승덕’이 유동적 주체로 자신을 자각하고 스스로 비국민에서 초국민이 ‘되어’ 가는 과정적 주체의 진행형 서사를 목도할 수 있다. 처음 에는 자신이 비국민이며 무국적의 인간이라는 것에 공포와 분노를 느끼지만, 이러한 공포와 분노로 인해 그는 탈주할 기획을 수립한다. 비국민의 위치에 대한 공포는 탈주에 대한 기획을 세우고 수행하게 된 계기를 마련하며 이러한 과정적 서사의 발현은 재일한인의 저항적 수행 성이 시작되는 지점인 것이다. 재일한인작가 정승박은 ‘포로 수용소’라는 이질적 공간 속에서 함께 전쟁을 경험하는 아시 아적 신체들과 자신을 대칭적으로 위치해 보면서 자신의 내셔널리티를 변증법적으로 구축하 게 된다. 이러한 과정적 인식은 전쟁 포로의 체험과 탈주라는 서사로 재현된다. 전쟁을 함께 경험하는 포로로서 재일한인은 중국군이라는 타자와의 교섭적 사고작용을 통 해 자신을 국가적, 민족적으로 재위치화 한다. 그리고 화자인 ‘나’는 비국민이라는 과정적 사 고를 거쳐 이념과 인종, 민족을 초월한 초민족적 내셔널리티, 트랜스내셔널리티의 신체를 획 득한다. 인간의 유한성은 내셔널리티에 의해 불멸성을 보장받는 것이 아니라 인류애라는 초내 셔널리티로 획득되는 휴머니즘을 통해 극복되는 것이라는 인식의 확장을 정승박의 소설에서 발견하게 된다. It is the period to call the area of category which is East Asia. Its purpose is seemed to cope with monolithic globalization by calling Korea․China․Japan with the substitute word of East Asia since the late 1970s rather than the name to call East and West. As for the solidarity of East Asia, common fundamental experience to form a connection with historical experience without geological calling precedes. This ‘common denominator of fate of East Asia’ is the memory of daily waywardness and damage of national violence. This East Asia is the calling derived from fundamental experience of pain of war and separation. In the origin of shared memory of East Asia, war and conquest and violence are located rather than peace. And to remember this experience can be worked as very significant standard in the present to form new solidarity of East Asia. As records of war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ubjugated, there is a series of novels “A Naked Captive” of Jeong, Seung Bak, the Korean writer in Japan. Experimental novel “A Naked Captive” received the fifteenth award of peasant literature of Japanese Agrarian Literature Association in 1972, and it wrote the suffering of forced labor with Chinese captive in the Nigata concentration camp. The novel of Jeong, Seung Bak recorded the war experience that Korean in Japan experienced. However, by reproducing a marginal man of breakaway as ‘Seung-Deok’, the young man with pure soul who practiced humanity not a minority who was stricken with a victim mentality and helpless,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humanity and philanthropy that are never broken by war was inspired. In the novel of Jeong Seung Bak which was constructed by experiencing the war by Korean in Japan,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belief toward humanity arrived by transcending cognition for nation and people and nation-state. Historical narrative of new East Asia should b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se realizations. Records experienced by each nation in the war that the whole East Asia went through together should be read and combi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individual main agent. By doing this, it is possible to reflect how the territory setting so-called nation and war, which is the biggest violence committed by crashing nation-states worked as a regulation to lose huma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