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도시관리계획에 의한 대규모 도시지역 확장의 실태와 시사점

        윤정중,김륜희,최상희,Yoon, Jeong-Joong,Kim, Ryoon-Hee,Choi, Sang-Hee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0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1 No.1

        이 글의 목적은 도시관리계획 변경을 통한 대규모 도시지역 확장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계획수립 시 고려할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양주시, 김포시, 화성시 등 3개 시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지역의 적절한 규모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도시기본계획 수립단계에서부터 합리적인 인구계획과 공간구조 및 토지이용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또한, 개발욕구에 따른 무리한 확산 및 비계획적 개발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관리계획 수립 시 도시성장관리방안이 함께 검토되어야 한다. 둘째, 경계설정에 대한 불필요한 논란을 줄이기 위해서는 계획 입안 시 또는 계획결정과정에서 일반적으로 거론되고 있는 경계설정과 용도지역관리 등의 기준들을 관련지침에 명시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도시지역으로 새로 편입되는 지역의 난개발 방지대책의 수립은 도시의 건전한 발전과 관리를 위해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또한 비도시지역의 경우 시가화예정용지 또는 제2종지구단위계획 물량을 활용하여 기존공장 및 신규입지를 집단화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research issues and implications on a large-scale enlargement of urban area in city management plan. This study investigated laws and regulations in force and carried out case study for three cities such as Yangju-si, Gimpo-si, Whaseong-si. As a result of analysis, three points at issue were abstracted and improvement ideas for each of them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o set up adequate size of urban area, it is necessary to consider resonable planning for population, spatial structure, zone of life and land use in city comprehensive plan and city management plan. Second, to decrease arguments about scope and bounds of urban area, it is important to make general and specific guidelines to set up them. Third, to manage new urban area and its surroundings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zoning of non-urban area strictly, to restraint individual location of factories or cattle sheds, to make a proper infrastructure plan in advance, to administer strongly the permission of development behavior and to control strictly consecutive and joining development in non-urban area.

      • KCI등재후보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한 3기 신도시의 계획지표 및 개발방향설정 연구

        윤정중,Yoon, Jeong Joong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9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의 새로운 신도시 건설이 추진됨에 따라 향후 신도시 계획시 고려해야 할 지표와 개발방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분야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자료를 빈도분석과 분산분석기법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기존 1기 및 2기 신도시에 대해 계획지표들의 평가결과, 시민참여와 정보공유, 스마트기술과 서비스, 사회문화적 다양성과 포용성에서 부정적 평가가 많았다. 또한 3기 신도시에 대해 전문가들은 교통의 접근성과 편리성, 환경적 쾌적성, 주거의 질과 서비스 등 도시의 기본이 되는 요소인 교통, 환경, 주거의 중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경관/디자인의 우수성, 일자리 등 자족성, 사회·문화적 다양성과 포용성 등도 중요한 지표로 꼽았다. 둘째, 전문가들의 인식과 평가가 성별, 연령, 직업, 전문분야 등 개인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1기와 2기 신도시는 전문가 집단의 '성별'에서만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며, 3기 신도시는 '성별'과 '전문분야'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셋째, 향후 3기 신도시 개발계획 수립시 인구구조변화, 산업과 일자리, 삶의 질과 다양성, 환경 및 기후변화, 사회 및 주거복지 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보았다. 토지이용계획에서는 공원녹지 및 자족용지 확대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3기 신도시의 도시형태로 친환경 생태도시를 1순위로 꼽았으며, 중요한 생활인프라로 대중교통시설, 공원녹지, 교육시설을 매우 중요하게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ndicators and development directions to be considered when planning new tow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s new towns are planned to be built. To this end,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after analyzing the survey data of experts in each fiel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technique. First, the assessment results of the existing first and second phase new towns showed that there were many negative assessments of citizen particip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smart technologies and services, social and cultural diversity and inclusion. Regarding the third phase new town, experts said that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ar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environmental comfort, quality and service of residence. In addition, experts cited the superiority of landscape/design, jobs/self-sufficiency and social/cultural diversity as important indicators. Second, after examining whether the perceptions and assessments of experts differ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occupation, and professional field, the first and second phase new tow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gender", and the third phase new town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nd "professional field". Third, experts thought that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industry and jobs, quality of life and diversity,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and social and residential welfare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planning of third phase new town. In addition, experts considered expanding park and self-sufficient land as important in the land use plan, and ranked eco-city as a desirable type of the city, and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park areas and education facilities as the most important living infrastructure.

      • KCI등재후보

        개발제한구역 해제취락 유형분석을 통한 취락정비방안 연구

        윤정중,최상희,Yoon, Jeong-Joong,Choi, Sang-Hee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3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4 No.1

        1997년 이후 개발제한구역의 조정을 위한 제도개선정책이 추진되면서 20호 이상의 집단취락 1,800여개소가 해제되었다. 이들 집단취락은 해제지역의 계획적 개발을 유도하면서, 개발제한구역으로 둘러싼 지역적 입지여건을 감안하여 저층 저밀도의 용도지역으로 지정하고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토록 하여 계획적 정비를 유도하고자 하였으나, 재원부족, 자력정비여건의 미흡, 기반시설의 장기미집행화 등 여러 가지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근본적으로 해제에 앞서 취락의 여건과 특성을 심층적으로 살펴본 후 정비방향과 계획이 결정되었어야 하나, 해제에만 치중함으로써 야기된 문제이다. 또한 취락별 여건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취락정비 및 관리방향은 구역내 물리적 공간적 특성, 주민의 사회적 경제적 특성, 기존시가지와의 관계 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으며, 관련규제 역시 획일적으로 적용되고 있어 주민의 민원 및 환경문제 등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개발제한구역에서 해제된 취락의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해제취락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취락의 특성자료를 이용한 취락의 유형분류와 유형별 정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1800개의 해제취락 중 424개소를 대상으로 입지여건, 접근성, 취락규모, 토지형상, 중복규제현황 등 입지잠재력을 대표하는 변수들을 선정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기능에 따라 해제취락을 도시형, 농촌형, 산업형, 근린중심형 등 4가지로 구분하였다. 입지잠재력과 취락기능을 조합하여 정비전략의 관점에서 취락들을 재분류하였으며, 이에 따라 크게 생활환경정비형, 생산기반조성형, 계획적 정비유도형, 생활권거점조성형 등 4가지의 정비유형으로 도출하였다. 아울러 4개의 유형별로 각각 취락의 바람직한 정비 및 관리방향을 제안하여 향후 취락정비계획의 수립 및 보완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About 1,800 villages have released from Greenbelt since Greenbelt-reform-policy for readjustment of the area was promoted after 1997. Even though the government intended to attract planned development & improvement of these lifted villages through District Unit Plan and designating the lifted area as low-rise and low-density zon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eenbelt region,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to be solved: a lack of funds, insufficient capability for self-improvement and unexecuted SOCs in long-term etc. It seems that these problems are caused by focusing on the lifting areas itself instead of researching deeply the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s and searching proper direction/plans of improvement before lifting Greenbelt In addition, the existing plan of village improvement and management was not considering physical and spaci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s,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 of residents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villages and surrounding cities, though these conditions are different among each villages, and the related regulations are applied uniformly across all the villages and those have been causing many civil appeals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se respects,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problems of the lifted villages using the existing researches on them and to make typology by characteristics-data of the villages and to establish improvement strategies of each types. In this study, the villages were classified into 5 types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on 424 villages among all 1,800 through variables of locational potentiality : location, accessibility, size and form of village, condition of regulations etc. According to function of the villages, they were divided into 4 types: urban-type, rural-type, industrial-type and neighborhood-centered-type. This study also drew 4 improvement-strategy-types by combination of locational potentiality and village-function : type of improving life-environment, type of improving production-infra, type of inducing-planned-improvement and type of constructing center-of living-circle.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s of the each 4 types to desirable improvement and management which could be used to make and complement plans for village improvement.

      • KCI등재후보

        입체복합개발을 위한 공공 입지여건 분석

        윤정중,이덕복,Yoon, Jeong-Joong,Lee, Duk-Bok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2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입체복합개발의 공공 참여를 위한 입지여건을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앞으로 새로운 도시개발이나 도심재생사업, 역세권개발 등에의 수요에 대응하고 도시의 활성화에도 기여하려는 것이다. 입체복합시설의 개발을 위한 입지특성과 공공의 참여여건을 고려하여 대상범위와 입지여건을 분석한 결과, 입체복합개발에 부합하는 다양한 기능의 수용여부를 고려한 기능복합도의 경우 대규모 도시개발지의 중심상업지역 및 신설역사주변과 기성시가지의 도심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개발잠재력도 앞의 세 지역과 함께 기성시가지의 역세권 및 도심부적격시설의 이전적지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개발규모는 대규모 신규도시개발지의 중심상업지역, 기성시가지의 도심, 부도심, 역세권이 필지, 블록, 지구 등 다양한 규모의 개발이 가능하다. 또한 입체복합개발에 대한 공공의 참여여건 분석결과, 공공부문이 개발하는 대규모 신규도시개발지의 중심상업지역과 도심부적격시설 및 공공기관종전부지 등 이전적지가 적합하게 나타났다. 이는 공공시행자로서 민간과의 협력을 통한 도시의 조기성숙과 개발촉진을 도모하고, 도시부적격시설의 이전과 적지개발사업의 연계를 통한 도시환경개선 및 공공성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is spatial locations for public sector's development of mixed-use complex. The results of analysis of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public sector's participation conditions are as follows. The central commercial district of new town, surroundings of new railway station, and old town center are likely to be appropriate in the case of a functional mixed-use considering acceptable use in accord with mixed-use complex. Development potential is also high at places such as railway adjacent area in old town and relocation of downtown improper facilities including previous three cases. And development of various size such as lot, block and district can be applied at central commercial district of new town, center and subcenter of old town, surroundings of new railway station. The result of analysis of public sector's participation conditions is appropriate in central commercial district of new town by public sector, relocation of downtown improper facilities and old site of transferring public facilities. They can be contribute to grow up new town by public-private partnership and to improve urban circumstances and publicness by development old site coupled with new site of transferring public facilities.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신도시의 인구 및 주거특성 변화: 분당, 일산 등 1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윤정중,김은미,Yoon, Jeong-Joong,Kim, Eun-Mi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4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5 No.4

        본 연구는 수도권의 1기 신도시가 건설된 이후 지난 20여 년간 신도시 내의 주거 및 인구특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5년부터 2010년까지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첫째, 신도시 건설당시의 계획목표와 현재를 비교분석한 결과, 인구목표는 평촌을 제외하고 2.1~28.6% 정도 초과하고 있는데 비해 세대수는 14.3~73.8% 증가하여 인구대비 세대수 증가가 더 많았다. 주택유형별로는 단독주택의 경우 면적대비 87.9%, 세대수 대비 130.3%로서 세대수 증가율이 더 컸으며, 이는 다가구 다세대주택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공동주택은 계획면적 대비 95.6%, 세대수 대비 113.4%로서 대체로 목표에 근접하였다. 2010년 신도시 총인구는 1,248천명으로 이는 1990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시 인구 감소량 818천명의 152.6%, 경기도 인구 증가량 5,224천명의 23.9%에 해당하는 규모로서, 이는 간접적이나마 1기 신도시 건설이 서울 인구의 수도권 분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둘째, 5년 단위로 신도시의 인구 및 가구특성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인구는 도시가 완성된 이후 2005년을 정점으로 다소 감소 경향을 보였으며, 장년층 및 노령인구가 증가하였고, 여성인구가 다소 많은 대졸이상의 고학력 도시이며, 가구원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는데 특히, 1세대 가구의 증가와 1인 가구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또한 총주택의 83~99%를 아파트가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 건축년수가 20년이 경과되었다. 거주지역 외에 주택을 소유한 가구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전국 및 수도권에 비해서 높은 수준이다. 전세가구 비율은 분당 및 평촌을 제외하고는 다소 감소하였고, 월세가구 비율은 신도시 모두 큰 폭으로 증가하여 '전세감소-월세증가'라는 임차주택시장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었다. In the late 1980s, 5 new towns such as Bundang, Ilsan, Pyeongchon, Sanborn, Jungdong were constructed to solve housing problems and to disperse functions concentrated within Seoul. As the city got matured, it began to appear the initial signs of urban problems such as aging of high rise-density apartment sites, traffic congestion, lack of parking spaces and aging of infrastructure. 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urban problems, it is very important to apprehend the process of urban growth, its change and the feature of physical/human elements. S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housing and population characteristics for past 20 years by use of Census data from 1995 to 2010. First, the new town's goal of population and housing plan at the time of construction was analyzed how it was achieved, and it is close to the performance of the goal. And the trend of changes in the population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by every five year's data. As the result of analysis, it shows socio-demographic changes such as aged and elderly population growth, rapid increase in one generation's household and single person household, highly educated city, monthly rent household's increase and charter household's reduction. Results of this analysis can be utilized to aforethought management of new towns. But it is required more sustained and systematic urban monitoring and data analysis because the one-off analysis of the city's characteristics alone is difficult enough to grasp them.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복합용도개발단지 내 시설의 연계이용 특성분석

        윤정중(Yoon, Jeong-Joong),임동빈(Yim, Dong-Bin),최대식(Choi, Dae-Sik) 한국도시설계학회 201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2 No.4

        복합용도공간의 용도혼합으로 인한 사회적ㆍ경제적 이득은 실제 이용자들이 둘 이상의 시설을 연계이용하여 용도복합의 이익을 향유할 때 달성될 수 있다. 이 연구는 복합개발단지의 이용실태를 조사하여 연계이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개인특성과 시설유형이 연계이용패턴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실증분석하였다. 센트럴시티 방문자 6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결과, 시설간 연계이 용빈도가 높은 시설은 백화점, 서점, 푸드코트, 분수광장, 터미널로 나타났다. 특히 백화점 이용자들은 분수광장, 터미널, 서점과 연계 이용하는 경향이 강하고, 매개공간인 분수광장은 백화점, 서점, 푸드코트 영화관 등 다양한 시설들과 연계성이 높아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설로 판단된다. 분산분석 결과, 연계이용 시설수는 성별, 연령, 거주지, 동반자수, 방문빈도 등 개인특성과 이용특성, 그리고 유형별 시설의 이용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로짓분석 결과, 방문자의 연계이용 여부에 대한 모형의 분류설명력은 95.7%이며, 여성은 소득수준이 높은 경우, 동반자와 방문한 경우, 주요 시설들을 이용하는 경우 2개 이상의 시설을 연계 이용할 확률이 높았다. 특히 타용도에 비해 문화집회시설, 소형판매시설, 오픈스페이스가 연계이용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ulti-purpose behavior in a mixed-use complex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dividual attributes and facility types to be used.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from 628 visitors at the Central City in Seoul, a department store, bookstore, food court, square and bus terminal have a higher frequency for multiple use. It shows that visitors to department store particularly, tend to visit square, terminal or bookstore, while visitors to the square have a great propensity to visit continuously department store, bookstore, food court and cinema. The result of ANOVA represents that sex, age, residence, companions, and visit frequency are significant variables to effect the number of facility uses. The result of Logit Analysis indicates that women, high income, more companions and use of core facilitie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use of two or more facilities. It also represents that users of cultural-assembly facility, small stores and open space have a great tendency to use more than two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