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자금 대출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강지영(Jiyoung Kang),윤정윤(Jungyoon Yoon),최현자(Hyuncha Choe),손상희(Sang-Hee Sohn) 한국FP학회 2018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1 No.4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11차년도(2014)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학생의 삶의 질에 대한 학자금 대출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삶의 질은 주관적 접근방법을 토대로 개인이 느끼는 만족도로 정의하였으며, Pukeliene et al(2011)의 ‘삶의 질 측정 모델(the Model for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을 토대로 전반적인 삶의 질과 하위 영역별 삶의 질(신체적․물질적․개인발전․사회적 웰빙)을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t-test 분석 결과, 학자금 대출자가 비대출자에 비해 전반적인 삶의 질(만족도)이 낮았고, 세부적으로 물질적 웰빙의 구성요소인 재정만족도, 사회적 웰빙의 구성요소인 가정생활만족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과연 이러한 차이가 학자금 대출 때문인가를 확인하기 위해 하위 영역별 삶의 질을 통제하여 OLS를 통해 전반적 삶의 질(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자금 대출이 전반적인 삶의 질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이는 t-test 결과와 상반되는 것으로, 기타 변수를 통제했기 때문으로 보이며 일반적인 채무에 대한 인식과 달리 학자금 대출이 대학생에게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하위 영역별 삶의 질과 전반적인 삶의 질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신체적 웰빙의 하위 요소인 건강과 개인안전, 물질적 웰빙의 요소인 가계재무, 개인 발전 웰빙인 미래에 대한 긍정적 전망, 사회적 웰빙의 요소인 가정생활, 친목․여가 커뮤니티 참여도가 전반적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소득수준에 따라 학자금 대출이 삶의 질에 다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여 소득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으로 나누어 학자금 대출의 삶의 질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소득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학자금 대출여부가 전체 분석결과와 동일하게 전반적 삶의 질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득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고, 그 값도 음(-)으로 바뀜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how student loan affect the quality of college life using 11th year(2014) data from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The quality of life is defined as personal satisfaction measured by subjective well-being approach and is divided into the quality of overall life and the quality of subareal lives including physical, material, personal achievement and social wellbeing area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with student loan debt have lower quality of overall life (satisfaction level) than those with no student loan debt.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m in terms of household financial satisfaction that stands for material wellbeing and satisfaction family life that stands for social wellbeing.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is gap is created by student loan, controlling the quality of subareal liv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student loan affects the quality of overall life. According to the results, student loan have a significant effect to the quality of overall life. And health satisfaction and personal safety satisfaction that stand for physical wellbeing, household financial satisfaction that stands for material wellbeing, optimistic about the future that stands for personal achievement wellbeing, and leisure community participation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that stand for social wellbeing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overall life.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expectation that student loan have different effect according to income level, this study divides students into two groups by their income level. Then, in the same manner as above, each group was analyzed by OLS method. As a results, student loan have significantly plus(+) effect on the quality of overall life in the group with high income level, but don’t have significant effect in the group with low income level. And coefficient between student loan and quality of overall life is changed to minus(-).

      • KCI등재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역별 출산율 차이 요인 분석

        이동우(Dongwoo Lee),김미경(Mi Kyung Kim),윤정윤(Jungyoon Yoon),류동원(Dongwon Ryu),송재욱(Jae Wook Song)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24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47 No.1

        Korea is facing a significant problem with historically low fertility rates, which is becoming a major social issue affecting the economy, labor force, and national security.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regional gap in fertility rates and derives policy implications. The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ies are implementing a range of policies to address the issue of low fertility. To establish an effective strategy, it is essential to identify the primary factors that contribute to regional disparities. This study identifies these factors and explores policy implications through machine learning and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The study also examines the influence of media and public opinion on childbirth in Korea by incorporating news and online community sentiment, as well as sentiment fear indices, as independent variable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fertility rates and factors, the study employs four machine learning models: multiple linear regression, XGBoost, Random Forest, and Support Vector Regression. Support Vector Regression, XGBoost, and Random Forest significantly outperform linear regression,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machine learning models in explaining non-linear relationships with numerous variables. A factor analysis using SHAP is then conducted. The unemployment rate, Regional Gross Domestic Product per Capita,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Number of Crimes Committed, Average Age of First Marriage,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significantly impact regional fertility rates. However, the degree of impact of the factors affecting fertility may vary by region, suggesting the need for polici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not just an overall ranking of factors.

      • KCI등재

        어린 시절 돈에 대한 기억이 성인 소비자의 돈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에 미치는 영향

        손상희 ( Sohn Sang-hee ),박종옥 ( Park Jong Ok ),서원영 ( Seo Wonyeong ),윤정윤 ( Yoon Jungyoon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소비자의 돈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을 규명하고, 그에 대한 어린 시절의 부모와 관련된 돈에 대한 기억의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Klontz의 KMS1 와 Furnham의 Moneygrams로 측정도구를 구성하여 성별과 연령 기준으로 할당표집한 전국 20세 이상 (50세 미만 소비자 681명에 대하여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요인분석 결과 소비자의 돈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은 `돈 숭배`, `돈 지위`, `돈 불신`, `돈 경계`의 4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즉, 돈이 모든 문제의 해결책이라는 돈 숭배, 돈이 곧 지위를 상징한다는 신념인 돈 지위, 돈이 사람을 타락시킨다는 돈 불신, 그리고 돈에 관해서는 비밀에 부쳐야 한다는 신념인 돈 경계로 파악되었고, 평균값의 순위는 돈 숭배, 돈 불신, 돈 경계, 돈 지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 시절 돈에 대한 기억은 `관계적 수단`, `갈등의 원천`, `은폐의 대상`, `권위의 표현`의 4가지 유형으로 밝혀졌다. 관계적 수단은 부모님이 돈을 관계를 다루는 수단으로 사용한 기억이며, 갈등의 원천은 돈으로 인한 가족 간 불화에 대한 기억이다. 한편 은폐의 대상은 부모님이 돈을 비밀에 부친 기억이고, 권위의 표현은 부모님이 돈에 대한 부모의 가치를 자식들에게 심어준 기억이다. 권위의 표현, 갈등의 원천, 은폐의 대상, 관계적 수단의 순으로 소비자들이 많이 경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집단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어린 시절 돈에 대한 기억 중 관계적 수단으로서의 기억에 대해서는 성별, 연령별 차이가 나타났고. 권위의 표현, 갈등의 원천, 은폐의 대상으로서의 기억에 대해서는 소득집단별 차이가 나타났다. 돈에 대한 신념에 대해서는 집단별 차이가 거의 드러나지 않았으며 돈 지위 신념에 대해서만 성별, 연령별 차이가 파악되었다. 넷째, 회귀분석 결과 어린 시절 돈에 대한 기억은 돈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의 각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갈등의 원천, 은폐의 대상으로서의 기억이 강할수록 돈 숭배 신념이 강하게 나타났고, 관계적 수단, 은폐의 대상으로서의 기억이 강할수록 돈 지위 신념이 강화되었으며. 갈등의 원천 기억은 돈 불신 신념을 강화시켰다. 또한 갈등의 원천. 권위의 표현으로서의 기억이 강할수록 돈 경계에 대한 신념이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돈에 대한 신념의 형성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소비자사회 화이론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즉, 인생의 초기에 이루어지는 부모의 돈에 대한 메시지와 가정에서의 경험이 성인의 삶에서 영향력이 지속될 정도로 중요한 사회화 역할을 함을 밝힘으로써, 돈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의 형성과정과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