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들의 음료를 통한 카페인 섭취량 실태조사 및 영양교육에 따른 효과 평가

        김성단(Sung-Dan Kim),윤은선(Eun-Sun Yun),장민수(Min-Su Chang),박영애(Young-Ae Park),정선옥(Sun-ok Jung),김동규(Dong-Gyu Kim),김연천(Youn-cheon Kim),채영주(Young-Zoo Chae),김민영(Min-yo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6

        서울시내에 유통 중인 음료 140건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로 음료의 유형별 카페인 함량을 파악하였으며, 서울시내 강남ㆍ북에 위치한 3개 학교 9학급 267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음료의 선호도 및 섭취량을 설문조사하여 어린이들의 카페인 섭취량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어린이들의 음료를 통한 카페인 섭취의 위해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기 위하여 “카페인 섭취를 줄이자”라는 제목으로 여름방학 전에 강의, 프레젠테이션 및 동영상을 활용한 영양교육을 실시하였다. 영양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여름방학 후에 음료의 선호도와 섭취횟수를 다시 설문조사하여 교육 전ㆍ후의 실생활에서 카페인에 대한 인식과 섭취량의 변화를 토대로 결과를 비교하였다. 교육대상의 연령은 6~7세(2학년)가 88명(33.0%), 8~9세(4학년)가 95명(35.6%) 및 10~11세(6학년)가 84명(31.4%)이었으며, 아동의 성별은 남아 142명(53.2%), 여야 125명(46.8%)으로 연령별 및 성별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어린이들의 음료에 대한 선호도는 탄산음료(27%) 및 과실ㆍ채소음료(27%)>이온음료(26%)>초콜릿음료(7%)>유제품(6%)>비타민 및 기능성음료(3%)>녹차음료(2%)>홍차음료(1%)>커피(1%)의 순서였다. 유통 중인 음료의 유형별 카페인 함량은 커피(33.8±2.4~49.1±5.6 ㎎/100 mL)>커피우유(10.6±3.3 ㎎/100 mL)>콜라(6.0±2.4 ㎎/100 mL)>녹차, 홍차, 및 우롱차함유 액상차(2.3±1.9~4.1±0.6 ㎎/100 mL)>초콜릿우유 및 음료(1.6±0.7~1.7 ㎎/100 mL)>홍차함유 고형추출차(1.3±1.7 ㎎/100 mL) 순서로 높았다. 유통음료의 카페인 함량과 어린이들의 음료 섭취빈도를 설문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전체 어린이들의 음료를 통한 평균 카페인 섭취량은 5.9±11.2 ㎎/person/day이었다. 음료를 통한 카페인 섭취량이 8~9세는 0.0~22.0 ㎎/person/day(평균 4.2±5.6 ㎎/person/day) 그리고 10~11세는 0.0~80.5 ㎎/person/day(평균 7.9±13.1 ㎎/person/day)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섭취량이 늘어났으며, 성별에 따른 섭취량은 남자가 0.0~80.5 ㎎/person/day(평균 6.9±12.8 ㎎/person/day), 여자가 0.0~67.5 ㎎/person/day(평균 4.8±9.0 ㎎/person/day)로 남자 어린이들의 카페인 섭취량이 여자 어린이들에 비해 높았다. 또한 어린이들이 카페인을 섭취하게 되는 음료의 유형은 커피 57%(평균 3.4 ㎎/person/day)>커피우유 20%(평균 1.2 ㎎/person/day)>탄산음료 15%(평균 0.9㎎ ㎎/person/day)>초콜릿우유 6%(평균 0.4 ㎎/person/day)>비타민 및 기능성음료 2%(평균 0.1 ㎎/person/day)의 비율이었다. 교육전ㆍ후 카페인함유음료의 선호도 및 섭취량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음료의 선호도 변화는 카페인함유음료 모두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선호도가 감소하였다. 특히 탄산음료, 커피, 비타민 및 기능성음료의 선호도 평균값이 각각 교육 전 3.25, 2.50 및 3.30에서 교육 후 3.07(t=2.084), 2.29(t=2.174) 및 3.04(t=3.002)로 감소하였다. 즉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탄산음료, 커피, 비타민 및 기능성 음료의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p<0.05, p<0.05, p<0.01) 카페인 섭취를 줄이고자 하는 영양교육의 효과가 나타났다. 연령별 교육 후의 선호도변화는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던 청량음료, 커피, 비타민 및 기능성음료의 경우 연령이 높아질수록 감소폭이 낮아졌다. 교육전ㆍ후 카페인함유음료를 통한 카페인 섭취량 변화는 커피를 제외한 카페인함유음료 모두 교육 후에 카페인 섭취량이 감소하였다. 특히 탄산음료, 초콜릿함유음료, 비타민 및 기능성음료를 통한 카페인 섭취량 평균값이 각각 교육 전 0.88 ㎎/person/day, 0.36 ㎎/person/day 및 0.13 ㎎/person/day에서 교육 후 0.65 ㎎/person/day(t=2.736), 0.27 ㎎/person/day(t=2.217) 및 0.08 ㎎/person/day(t=3.171)로 카페인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p<0.01, p<0.05, p<0.01) 영양교육 후의 카페인 섭취에 대한 식습관이 개선되는 영양교육의 효과가 나타났다. 연령별 교육 후의 카페인 섭취량 변화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던 초콜릿함유음료, 비타민 및 기능성 음료의 경우 6~7세의 어린이들만 교육 전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여(p<0.05, p<0.05, p<0.001), 선호도와 같이 영양교육에 대한 효과가 연령이 높아질수록 낮았다. 성별 변화는 남자아이들의 카페인 섭취량이 영양교육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고(p<0.001, p<0.05, p<0.001), 여자아이들의 경우에는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영양교육으로 일부음료에서 카페인 선호도 및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어린이들이 카페인 섭취를 줄이려는 의식 및 행동변화를 보임으로써 식습관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식습관의 변화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교육기간의 확대, 교육방법의 변화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daily caffeine intakes in beverage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 caffeine contents of 140 commercial beverages were analys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 detector (HPLC-UV) and information about their consumption were obtained by surveying 267 children. Researchers gave nutrition education to the children, who were 6 to 11 years old and attended 9 classes of 3 elementary schools, by lecture, Powerpoint file and moving picture. Their preference and intake amount on beverages were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 order on caffeine contents was coffee (33.8±2.4~49.1±5.6 ㎎/100 mL)> coffee milk (10.6±3.3 ㎎/100 mL)>cola (6.0±2.4 ㎎/100 mL)>greenㆍblackㆍoolong tea drink (6.0±2.4 ㎎/100 mL)>chocolate milk and chocolate drink (1.6±0.7~1.7 ㎎/100 mL)>black ice tea mix (1.3±1.7 ㎎/100 mL). The order on children's preference was carbonated drink and fruit and vegetable drink (27%)>sports drink (26%)>processed cocoa mix (7%)>milk (6%)>vitamin & functional drink (3%)>green tea drink (2%)>black tea drink and coffee (1%). The average daily caffeine intakes except tea drink was 5.9±11.2 ㎎/person/day (0.17±0.32 ㎎/㎏ bw/day), ranged from 0.0~80.5 ㎎/person/day for children. The sources of caffeine were coffee 57% (3.4 ㎎/person/day), coffee milk 20% (1.2 ㎎/person/day), carbonated drink 15% (0.9 ㎎/person/ day), chocolate milk and chocolate drink 6% (0.4 ㎎/person/day), and vitamin & functional drink 2% (0.1 ㎎/ person/day).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 preference of carbonated drink, coffee, vitamin drinks & functional drink wa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p<0.05, p<0.01) and the intakes of carbonated drink, chocolate milk & chocolate drink, and vitamin & functional drink were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p<0.01, p<0.05, p<0.01). This study has shown that nutrition education influences the preference and the intake behavior of caffeinated beverages.

      • KCI등재

        HPLC를 이용(利用)한 축산식품중(畜産食品中) 잔류(殘留) 설폰아 미드제의 동시분석법(同時分析法) 연구(硏究)

        황래홍 ( Lae Hwong Hwang ),김영수 ( Young Soo Kim ),윤은선 ( Eun Sun Youn ),김기근 ( Ki Keun Kim ),이규학 ( Kyu Hak Lee ) 한국동물위생학회 1995 한국동물위생학회지 (KOJVS) Vol.18 No.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plore the most sensitive and useful method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five sulfa drugs (sulfamethazine, sulfamerazine, sulfamonomethoxine, sulfadimethoxine, sulfaquinoxaline) in livestock productions (pork muscle, bovine muscle, chicken muscle, milk) by HPLC with UV detector and reverse phase colum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For mobile phase acetonitrile-0.01M ammonium acetate (23:77) showed more applicable sensitivity and retention times than acetonitrile-1% acetic acid (23:77). Thus acetonitrile-0.01M ammonium acetate(23:77) selected and applied to the modification test, from which it was found pH 6.75 was the most adequate. 2. Optimal wavelength of UV for SMT(sulfamethazine), SMR(sulfamerazine), SMM(sulfamonomethoxine), SD(sulfadimethoxine), and SQ(sulfaquinoxaline) were 266, 266, 265, 269 and 250nm, respectivery, and that for simultaneous application it was 263nm. 3. The average recovery rate by extractant(chloroform, dichloromethane, chlorform+dichloromethane) in the classic metho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but that by chloroform higher than the others. Thus chloroform was found to be adequate as extractant in this classic method. 4. The average recovery rate was 86.5% by the MSPD(matrix solid phase disperse) method,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by the classic method(p<0.05). Also the recovery rates by metho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in accordance with sample and type of drug. The MSPD method was much superior to classic method on clean-up.

      • KCI등재

        PS/PVA Double Layered 고분자 중공 미세구의 제조

        박용성,윤은선 한국공업화학회 2004 공업화학 Vol.15 No.1

        Multiple emulsion (Water/Oil/Water)법을 이용하여 PS/PVA double layer를 갖는 고분자 중공 미세구를 제조하고자 하였으며, 이때 공정 변수들이 최종 생성물인 PS/PVA double layer 고분자중공 미세구의 크기와 입도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PS/PVA double layer 고분자 중공 미세구는 1차반응인 W_(1)/O emulsion에서 교반속도, 교반시간, 반응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입자들의 평균 size는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이들의 입도분포는 그다지 균일하지 못한 현상을 나타내었다. 입도의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W_(1)/O emulsion에서 초음파처리를 시도한 결과 초음파 처리 30 sec에서 입자크기 0.35 ㎛의 균일한 입도분포를 갖는 double layer 고분자 중공 미세구를 제조할 수 있었다. For the production of the double layered hollow microspheres with PS/PVA polymers using multiple emulsion (water/oil/water) method, various process conditions which can affect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final product have been studied. Experimeate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size tends to decrease with the increase of agitation time. RPM, and the reaction temperature of W_(l)/O emulsio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however was not uniformly obtained for any . To obtain unifomi particle size distribution, ultrasonic treatment has been taken to the W_(l)/O emulsion. and by taking 30 seconds of ultrasonic treatment. double layered hollow microspheres of uniform size distribution around 0.35 μm have been produ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