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상의 「종생기」에 나타난 사랑, 죽음, 예술

        윤영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9 한국문화 Vol.48 No.-

        This essay aims at overcoming the two main interpretations of Yi Sang’s ecriture. One is the biographical interpretation which reduces Yi Sang’s literature into the documents of his despair and fear and the other is the semiological interpretation which makes his texts a hollow art isolated from life or an abstract play of signs. However, inscription of proper name(‘Yi Sang’) in his texts is not any reference to the author's presumed identity but a kind of strategy for disrupting ‘I’s unified identity and dissolving epistemological representationalism and literary realism. Yi Sang’s texts play variations on the theme of nonidentical identity by motives of the mirror, the mask, the double and broken bodies, all of which also disturb the layers of narration. The criticism of representationalism leads to the cognitive way of ‘sign-decoding’ and the layer of narrative of Yi Sang’s texts can, thus, be summarized in some struggles for decoding the violent signs(Oedipus family, modernity and fascism, love, death) which are emitted from the obscure world. Especially, Writing on Death is a peak of Yi Sang's literature because it envelops love and death in art. His viewpoint of art, condensed into the allusion of ‘Soneynhaeng(少年行)’, implicates a paradox that one can't reach art not by wasting his/her life and, in turn, the essence of life which he/she can glimpse only in art, is already dissipated in life itself. Moreover, Yi Sang has made persistent efforts to affirm both life and death by striking ‘pose for suicide’ and accomplishes ‘amor fati’ through art(Writing on Death) which overcomes Death and comes repeatedly across life, the world, and the Real.

      • KCI등재

        ‘경험’적 글쓰기를 통한 ‘지식’의 균열과 식민지 근대성의 풍경 - 최남선의 지리담론과 『소년』지 기행문을 중심으로-

        윤영실 한국현대소설학회 2008 현대소설연구 Vol.- No.38

        Choi’s geographical discourse provides an important example of translation from imperial ‘knowledge’ in colonies. In the course of the ‘translation’, Colonial intellectuals come to see the world through the vision of the empire and reveals the inverted desire of becoming the members of an empire themselves. However, in the Choi’s geographical discourse, the colonial difference is deeply imprinted as Choi converges Uchimura ganjo’s geography with the national religion. Unlike narratives of the period of Enlightenment, the writers of which tried to ensure the value of them by insisting they were based upon some ‘facts’, ‘modern novels’ was founded on the new concepts of ‘fictional truth’. Choi Namsun’s ‘experiential writings’ of the Youth mediated the course of establishing the modern novels. They were destined to be marginalized in the modern literature while the very ‘experience’ became the source which enabled the fictional literature to have the ‘truth’. Choi Namsun’s writings in the late 1900’s achieved new styles and insight by depending on the directness of experience. Especially, the experience made rupture on the image of the world as ‘the knowledge’ of the Empire and revealed the contradiction of the colonial modernity. Compared with the travel sketches by Lee Gwangsu and Hyun JIngun in the 1910’s, Choi’s experiential writings can show us the significance of the preoccupied insight. ‘The turn from the ocean to mountains’ of Choi’s writings resulted from the insight to ‘the modern civilization’ and the colonial modernity. 본고는 『소년』지에 실린 최남선의 지리담론과 기행문을 대상으로 근대 ‘세계/네이션’에 대한 인식 및 표상을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제국의 지리학을 통해 수용된 ‘지식’으로서의 세계상과 근대 기행문이라는 ‘경험’적 글쓰기를 통해 포착된 세계상의 균열, 그리고 이러한 균열을 구조화하는 ‘식민지 근대성’에 주목함으로써, 근대의 공간표상이라는 일반론으로 환원되지 않는 1910년 무렵 최남선 글쓰기의 특이성을 규명할 것이다. 최남선은 지리학이 ‘세계 속의 신대한’을 규명하는 ‘내셔널한’ 지식인 동시에 ‘세계적’ 지식임을 강조했다. 특히 최남선의 지리담론은 비슷한 시기 신채호, 장지연 등의 지리담론과는 달리 상품 교환을 통해 균질적으로 통합된 자본주의적 세계상을 펼쳐보이고 있다. 이러한 ‘세계’상은 중심도 위계도 없으며, 문명을 학습하기만 하면 누구나 ‘제국’의 지위에 오를 수 있다는 열린 전망을 제공한다. (삭제-그 결과) 최남선은 ‘제국’의 ‘지식’으로 출발한 근대 지리학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제국’의 시선으로 세계를 보고 스스로 ‘제국’이 되고자 하는 전도된 욕망을 노출한다. 그러나 최남선이 우치무라 간조의 지리론을 민족 종교(대종교)와 결합시키는 것처럼, 1910년 무렵 최남선의 지리 담론에는 식민지적 ‘차이’ 역시 깊게 각인되어 있었다. 한편 1900년대 말 최남선의 글쓰기는 ‘경험’의 직접성에 기반함으로써 새로운 문체와 인식에 도달할 수 있었다. 「쾌소년세계주유시보」가 허구적 의장과 경험의 직접성에 대한 강조 사이에서 충돌을 빚고 있는 것에 비해 「반순성기」는 경험의 직접성을 극단으로 밀어 붙임으로써 옛 감각, 취향, 문체가 새 것과 한 평면에 뒤섞인 과도기 특유의 독특한 글쓰기를 선보인다. 「교남홍조」와 「평양행」에서 ‘경험’은 기차 안과 선로 주변으로 제한되어 있지만, 이 경험은 최남선이 ‘문명의 지식’으로 수용했던 세계상, 곧 등가교환으로 균질화된 위계도 중심도 없는 세계상을 균열시키며, 제국과 식민지의 위계적 관계를 양산하는 식민지 근대성의 모순을 노출시킨다. 최남선의 초기 기행문이 보인 인식의 선취는, 제국의 문명을 보편적 가치로 상정하고 제국 일본과 대비하여 조선의 풍경을 항상 ‘결여’된 것으로 형상화했던 1910년대 유학생들(이광수, 현상윤)의 기행문과 비교할 때 더욱 두드러져 보인다. 최남선 글쓰기에서 이른바 ‘바다에서 산으로’의 전회는 이처럼 경험적 글쓰기를 통해 문명의 한계를 감지한 데 따른 결과였다.

      • KCI등재

        노예와 자유 -이광수 초기(1908~1910) 사상의 탈식민적 자유 관념

        윤영실 춘원연구학회 2022 춘원연구학보 Vol.- No.25

        이 논문은 이광수의 1908~1910년 글들을 노예와 자유의 문제에 초점을 맞춰 살펴봄으로써, 근대문학(론) 형성에 치우친 선행연구에서 삭제된 탈식민적 정치성을 복원하고자 했다. 생존경쟁과 우승열패의 세계에서 피식민자로 전락한 열자(劣者)를 노예라고 할 때, 노예는 이 억압적이고 무정한 세계에서 어떻게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이광수가 이런 질문을 던지고 이에 응답하는 과정은 자유에 대한 담론과 지식의 세계적 순환 속에서 살펴볼 때 더 잘 드러날 수 있다. 2장에서는 「혈루」부터 「어린 희생」까지 이광수의 1차 유학시기 글들을 개괄하여 이광수 문학사상의 원점에 ‘노예’상태에 저항하는 ‘자유’를 향한 갈망이 놓여 있었음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혈루」의 원작 텍스트와 「어린 희생」의 원작 영화를 규명하여 실증적 연구에도 보탬이 되고자 했다. 3장에서는 「혈루」가 발표된 1908년 전후 일본과 한국의 담론장을 배경으로 이광수의 노예-자유 계열 글들이 지닌 급진성과 그 사상적 연원을 살펴보았다. 제국에서 생산된 지식과 지배 담론이 ‘강자의 권리’와 인종주의적인 ‘문명의 자유’를 주장하고 있었던 반면, 이광수는 기노시타 나오에, 톨스토이, 바이런의 영향을 독특하게 조합하여 인간의 보편적 권리와 ‘야생의 자유’(savage freedom)를 주창했다. 4장에서는 1910년 봄 귀국한 이광수가 <신민회>와의 접속을 통해 조선민족의 집단적 운명을 좀더 분명히 자각하고, 식민지라는 장소성에 기반하여 자유에 대한 탈식민적 사유를 전개했음을 규명했다.

      • KCI등재

        ‘국민’과 ‘민족’의 분화-『소년』지에 나타난 ‘신대한’과 ‘대조선’ 표상을 중심으로

        윤영실 상허학회 2009 상허학보 Vol.25 No.-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differentiation of ‘國民’ and ‘民族’ in Korea during 1900’s. Unlike ‘nation=國民=民族’ nor ‘(nation=國民)≠民族’, we suggest that both ‘國民’ and ‘民族’ have some significance of ‘the nation’. That is, the paradoxical aspects of ‘the nation’ has differentiated into ‘國民’ and ‘民族’ in Korea. ‘the nation’ as the political and legal community of the modern state was ‘translated’ into ‘國民’, while ‘the nation’ as ethnic, historical and cultural community into ‘民族’. Ghoi Namsun, who was the editor and main writer of 『少年』, the first modern journal of Korea, contributed a lot to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民族’ different from ‘國民’. He brought ‘Chosun(朝鮮)’into relief as the proper name of ‘民族’ and embodied the representation of the subject, time and space of ‘民族’. The subject of ‘民族’ was represented as an organism, which had its own character and destiny. Choi, introducing the modern geological knowledge, asserted that Chosun ‘民 族’ has the best character formed by the peninsula and made a apocalyptic narrative about the destity of Chosun ‘民族’ which had a plot of creation-degradation-repentance-salvation. Unlike the future-oriented time of ‘國民 discourse’, ‘民族’ had a strong past-oriented time representation, which led to the interest in ‘traditon’, ‘history’ and ‘mythical origin’ of ‘民族’. ‘國民 discourse’ represented the space as empty, homogeneous while the space of ‘民族’ has ‘the height’ and ‘the depth’ of historic relics, the Holy land, or peculiar national landscape. 이 연구는 『소년』지를 중심으로 한국에서 ‘네이션’이 ‘국민’과 ‘민족’으로 분화되는 양상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네이션=국민=민족’과 ‘(네이션=국민)≠민족’이라는 기존의 관점이 ‘민족’을 일방적으로 비판하거나 옹호하는 것을 넘어, ‘민족’을 신성시하지 않으면서도 ‘민족’이라는 개념에 응축된 한국적 상황의 특수성이나 역사적 경험을 정당하게 조명할 수 있는 시각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본고는 민족/국민이 네이션의 일정 측면을 分有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국민/민족’ 개념이 분화된 한국의 특수성은 ‘네이션’ 자체에 보편적으로 내재하는 역설과 균열을 더 선명하게 드러내는 것임을 규명하고자 했다. 한국에서 ‘민족’개념이나 용어는 ‘국민’보다 뒤늦게 도입되었지만 마치 ‘국민’보다 앞서 ‘국민’의 기초로서 애초부터 존재해왔던 공동체처럼 상상되었다. 그러나 정작 1910년 무렵까지도 ‘민족’은 아직 이름조차 확정되지 않은 미정형의 상태였다는 점에서, ‘민족’이란 이미 있는 것이자 만들어가야 할 것이라는 역설 위에서 발견되었다. 신채호가 ‘부여족’을, 김교헌이 ‘배달족’을 민족명으로 사용하고 있는 가운데 최남선은 『소년』에서 ‘조선’을 민족의 고유명으로 선명히 부각시켰고, ‘조선’이라는 민족명은 <조선광문회> 수립으로 더 확고한 권위를 얻게 되었다. 최남선은 이후에도 ‘조선’이 민족명이 되어야 할 필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마침내 朝鮮이란 민족 정체성의 핵심인 광명신앙을 담고 있는 ‘(날이) 처음 샌’이라는 의미임을 ‘발견’했다. 『소년』지에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국민담론과 구별되는 ‘조선민족’ 고유의 주체, 시간, 공간 표상을 마련해갔다. 민족은 국민 개개인들의 집합이나 특정 국가와는 별개로 그 자체의 독자적 성격과 운명을 갖는 유기체와 같은 것으로 표상되며, ‘문명’보다 상위의 가치로, 혹은 ‘문명’ 그 자체를 가능하게 하는 위대함의 원천으로 예찬되고 있다. 『소년』의 민족담론은 민족 고유의 본성인 ‘민족성’ 관념을 확립하고, 민족성 자체를 민족의 위대함의 근거로 부각시켰으며, 조선 민족을 창조-타락-회개-구원이라는 운명의 궤적을 그리는 서사의 주체로 삼았다는 점에서 이전의 민족담론에서 진일보한 것이다. 시간적인 측면에서는 소년을 신대한국민으로 양성한다는 미래의 비전에서 민족의 위대한 과거에 대한 ‘상기’로 강조점이 이동했다. 공간적인 측면에서도 근대 국민국가의 균질적인 공간표상으로부터 역사 유적, 신화적 聖所, 심미적 풍경 등으로 차별화된 민족의 공간표상으로 이동한다. 『소년』에서 국풍, 대황조(단군), 태백에 응축되어 있었던 조선 민족의 표상은 1920년대 각기 시조부흥운동과 단군ㆍ역사 연구, 국토순례기행문으로 확장, 심화되면서, 일본 ‘국민’과는 구별되는 ‘조선민족’ 정체성의 원천으로 작용했다. 이처럼 국민과 민족이 뚜렷한 대립선에 따라 갈라지는 것은 식민치하에 놓였던 한국의 특수성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네이션’ 자체에 내재한 역설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했다. ‘nation’과 ‘state’의 긴밀하지만 완전히 합체되지는 않는 역설적인 긴강 관계가, ‘nation≠state’의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한국에서 ‘국민’과 ‘민족’의 분화로 전개된 것이다. 따라서 한국에서 ‘민족’ ...

      • KCI등재

        최남선의 『송막연운록』과 협화 속의 불협화음 -1930년대 후반 만주 열전(列傳)과 전향의 (비)윤리-

        윤영실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8 사이 Vol.24 No.-

        This essay on Choi Nam-seon’s manchurian travelogue Songmakyeonun-rok examines and reconstructs the historical contexts and inner landscape of his conversion to “ethnic harmony” ideology of Manchukuo. As a way of understanding the contexts of the text, this essay focuses on Choi’s encounters with various historical figures during the journey. The examination of Gim Dong-jin’s conversion, who was a councilor of the Seonman(Choseon-Manchuria) Development Company and accompanied Choi on the trip, shows that Choi “wagered” on “ethnic harmony”ideology to relieve the sufferings of the Korean refugees in Manchuria. In addition to that, Choi’s encounters with Higata Heigoro, Na Gyeong-seok , Gim Gu-gyeong and Jin Yufu suggests that Machuria was a place of ideological fusion where diverse ideas and ways of lives clashed, intersected and transformed one another. What is remarkable in Choi’s inner landscape are complicated emotions and grief of the colonized who could not but wager on the uncertain dream of “ethnic harmony.” The text shows, nonetheless, that his wager was motivated by the ethical responsibility for the subaltern refugees’ sufferings in the face-to-face situations. It also includes traces of resistance (voices deleted by sensor, irony, reminding of historical resistances and swearing revenge) and the moments of discords, proving that wherever there is power, there is resistance. The evaluation of Choi Nam-seon’s life and thoughts is a difficult task in which law and ethics, or historical redress and literary mourning are inextricably entangled. It is because historical redress has not yet been accomplished that literary mourning cannot still be conducted and it is because Choi didn’t die the symbolic death in the legal court of the postcolonial state that he has been repeatedly summoned to endless process in the court of history. 본고는 최남선의 만주 기행문인 『송막연운록』을 중심으로 그가 만주국 ‘협화’이념으로 ‘전향’하게 된 외적 정황과 내면의 풍경을 재구성해 보고자 했다. 외적정황을 그려내기 위해서 최남선이 만주 여행 중 만난 다양한 인물들의 면면에 주목했다. 특히 여정의 대부분을 함께 했던 선만척식 김동진 참사의 ‘전향’을 통해, 난민화된 재만 조선인의 구제가 최남선이 ‘협화’ 이념에 ‘내기’를 걸게 된 중요한 원인이었음을 규명했다. 그 밖에도 히가타 헤이고로, 나경석, 김구경 같은 이들을 조명하면서 ‘만주’가 이질적인 삶과 사상들이 교차하는 복합적인 공간임을 살펴보았다. 전향의 ‘내면’ 풍경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협화’라는 불확실한 꿈에 ‘내기’를 걸 수밖에 없는 피식민자의 신산함과 서러움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남선의 ‘내기’는 재만 조선인 하위 주체와의 ‘대면’을 통해 그들의 고통에 응답하려는 윤리적 책임을 동반했다. 또한 ‘협력’의 한가운데서 이뤄진 ‘저항’의 흔적들(검열로 삭제된 목소리, 아이러니, 역사 속의 저항들에 대한 상기, 일제에 대한 복수의 다짐)과 협화의 꿈 안에서의 불협화음을 드러냄으로써, 지배하는 권력이 있는 어느 곳에서나 저항이 있음을 텍스트를 통해 규명하고자 했다. 최남선의 삶과 사상에 대한 평가는 법적(국가적) 차원과 윤리적 차원, 역사의 청산과 문학의 애도가 복잡하게 충돌하거나 뒤얽혀 있는 어려운 과제다. 최남선에 대한 역사의 청산이 완결되지 않은 것이야말로 문학의 애도가 이뤄지지 못한 까닭이며, 그가 반민특위 법정에서 ‘상징적 죽음’을 맞지 못한 것이야말로 오늘날까지 여전히 역사의 법정에서 거듭 ‘소송’에 휘말리는 이유다.

      • KCI등재

        최남선의 수신(修身)담론과 근대 위인전기의 탄생 ― 『소년』, 『청춘』을 중심으로 ―

        윤영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8 한국문화 Vol.42 No.-

        Choi Namsun’s biographical narratives in Sonyun(『少年』) and Cheongchun(『靑春』) show us the continuous transition from the premodern ‘hero narratives’ to the modern ‘great men narratives’, unlike the established hypothesis that the former extinguished in the late 1900’s and was succeeded to by the historical novel’s 1930’s. Confronting the loss of the national power of the Daehan Empire, Choi couldn’t expect any more the appearance of national heroes who would rescue the country, which dissolved the form of the hero narratives in Sonyun(『少年』). Instead, Choi counted on the discourse of moral training of ‘the Youth Association(靑年學友會)’ to subjectify ‘the People’(國民) without the country and focused on the virtue of ‘endeavour’(務實力行 or 堅忍力作 or 努力). ‘Endeavour’ was first considered the only way to the object, ‘the independence’ of the country but the value of the virtue was later elevated to the foundational principle of the civilization, the universe and even ‘life’(生命) itself. In this course, ‘national heroes’ of the premodern narratives changed ‘great men’ of modern biographical narratives which could examplify the value of endeavour. However, ‘endeavour’ which had been cut off from the object, the independence of the country, could easily used as the instrument for the training the diligently-working colonized or for the success of any ego-centric individuals in the 1920‘s.

      • KCI등재

        노예와 정(情)-이광수의 『검둥의 설움』 번역과 인종/식민주의적 감성론 너머-

        윤영실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2 사이 Vol.33 No.-

        This essay aims to analyze Yi Gwang-su’s translation of Uncle Tom’s Cabin (1913) and his early writings(1908~1915) by intersecting two key notions of ‘slave’ and ‘feeling.’ Yi’s notions of feeling and sympathy have been analyzed in relation to knowing/feeling/willing taxonomy translated from the west during the formative age of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Moreover, they have been positively or negatively evaluated as an emotion for constructing individual interiority, immagining a nation, or aiming universal humanity. Yi’s translation of Uncle Tom’s Cabin, however, shows that his early thought on feeling was formed in rivalry with colonialism and colonial racism. To elaborate this point, I recapitulate critical researches on racial bio-politics of feeling in the Anglophone academia(Ch.Ⅱ). Yi’s translation highlighted slaves’ resistance for freedom rather than ‘white sympathy’, focusing George’s criticism on the slavery, Topsy’s ‘dis-affect,’ and Tom’s nonviolent resistance respectively in the early, middle, and the last phase of the narrative(Ch.Ⅲ). Yi’s early thoughts on feeling, going beyond ‘white sympathy’, encompassed wide range of implications from ‘human nature’ in sinographic context, savage desire for freedom and counter-intimacy among the wretched(Ch.Ⅳ). 본고는 해리엇 비처 스토의 『톰 아저씨의 오두막』을 번역한 이광수의 『검둥의 설움』 을 중심으로 그의 초기 글쓰기(1908~1915)와 사상을 노예와 정이라는 두 가지 키워드를 교차시켜 살펴보았다. 이광수의 정이나 동정은 한국 근대문학 형성기의 핵심 개념으로서 서구에서 번역된 지정의론이나 개인, 민족, 인류(휴머니즘)와의 관련성 속에서 다양하게 분석되어 왔다. 그러나 『검둥의 설움』은 이광수 초기 글쓰기의 감성론이 무엇보다 인종(주의) 및 식민주의와의 길항 속에서 형성되었음을 보여준다. 백인의 감상성과 감정/동정의 인종주의적 생명정치에 대한 최근 영어권 학계의 비판적 논의들은 이러한 분석을 위한 통찰을 제공한다(Ⅱ장). 이광수는 『톰 아저씨의 오두막』을 『검둥의 설움』으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서사 초중종반의 초점을 각기 조지의 탈출, 톱시의 반정동적 저항, 톰의 비폭력 저항으로 옮겨가면서, 주인의 동정보다는 자유를 향한 노예의 저항을 부각시켰다(Ⅲ장). 1차 유학기부터 『검둥의 설움』까지 이어지는 이광수의 초기 글쓰기에서 ‘정’의 의미망은 문명적 자유와 인종주의적 동정이라는 지배 이데올로기를 넘어 동아시아 한문맥의 ‘인정(人情)’ 개념과 맞닿은 본성론, 자유를 향한 야생의 본능, 고통받는 자들의 대항친밀성까지 다채롭게 변주되었다(Ⅳ장). 1915년 「동정」에서 비로소 인종화되고 계급화된 문명론적 동정 개념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이러한 편향은 2차 유학기 진화론의 영향으로 더 강화된다. 그러나 야생의 자유와 역동적인 정의 개념은 피식민자로서의 이광수 사상에 억압된 ‘소년’의 욕망처럼 존속하고 있었을 것이다.

      • KCI등재

        자치와 난민 - 일제시기 만주기행문을 통해 본 재만조선인 농민 -

        윤영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7 한국문화 Vol.78 No.-

        This essay examines the Korean Chinese immigrants in Manchuria from the mid-1920s to the early 1930s, focusing on colonial Korean writers’ Manchurian travelogues and the historical situations at that time. Starting with an oral history of Hak Hyeon Choi who had resided in a collective village of the Korean Chinese set up by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y, I try to critically reexamine academic trend of Korean literary studies on the subaltern Koreans in Manchuria: indiscriminate identification of the Korean Chinese and the South Korean ‘nation’, idealistic approach to the ‘nation,’ and in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Chinese’ situations as an immigrant nation in-between states. As an alternative to both interpretive schemes about the Koreans in Manchuria during the colonial period, ‘resistance or pro-Japanese collaboration’ and ‘collusion between the colonizer and the colonized,’ I demonstrate, first, their consistent orientation for autonomy either outside or inside a state, then, the frustration of the autonomist line and their becoming refugees, and, finally, their ‘voluntary’ reversion to the Japanese rule. Especially, this essay focuses on the concrete, historical situations of the subaltern Korean Chinese, who were violently suppressed by all of the three “armed justices”: the assimilative pressure from the Chinese government, the imperial Japan’s expansion into Manchuria and the left-wing terrorism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This subaltern perspective leads us to an open question about the paradoxical structure of the modern world where the refugees exposed to extralegal violence are forced to ‘voluntarily’ aspire to the government of any state for their ‘security.’

      • KCI등재

        동아시아 정치소설의 한 양상 - 『서사건국지』 번역을 중심으로

        윤영실 상허학회 2011 상허학보 Vol.31 No.-

        본고는 실러의 『빌헬름텔』이 일본과 중국, 한국에 번역되는 과정을 통해 ‘네이션’이 상상되는 다양한 방식들을 살펴보고자 했다. Friedrich Schiller의 Wilhelm Tell(1804)에서 ‘네이션’은 ‘고향’과 ‘핏줄’을 공유한 공동체로 규정되지만, 동시에 ‘자유’의 이상을 공유한 자들의 자발적인 연대체로서 이종족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山田郁治의『哲爾自由譚前編 一名自由之魁』(1882)에서는 서사의 갈등축이 폭정을 행하는 ‘국수(國守)’와 ‘자유민권’을 수호하려는 ‘국민’의 대립으로 조정되고, 『민약론』의 ‘네이션’ 개념을 통해 천황제라는 국체에 도전하고 있다. 鄭哲의 『瑞士建國誌』(1902)에는 반청공화 사상이 강하게 투영되어 있으며, 근대적 ‘국민’ 관념과 더불어 이민족 지배자인 청조에 대한 반감과 결합된 종족적 민족주의가 침투되어 있었다. 박은식의 『瑞士建國誌』(1907)는 정철의 중국본을 거의 그대로 옮기면서도, ‘독립’의 보전을 위한 약소국의 반제 민족주의에 희망을 걸고 있다. 김병현의 『셔?건국지』는 중국본의 공화사상을 삭제하는 한편, ‘억강부약(抑强扶弱)’의 ‘천리(天理)’를 적극적으로 읽어냄으로써 제국주의를 비판한다. This thesis examines translated versions of Wilhelm Tell in the East Asian countries, focusing on various ways of ‘imagining the nation’. In Wilhelm Tell(1804) written by Friedrich Schiller, ‘the nation’ was defined not only as a community sharing ‘hometown’ and ‘blood’ but also as a voluntary solidarity of people sharing the ideal of freedom, which is open toward the different ethnic groups. [哲爾自由譚](1882) translated by 山田郁治 highlighted conflicts between feudal officials and the nation(國民) and defied the Emperor system, Japanese national polity. 鄭哲's [瑞士建國誌](1902) showed strong anti-Ching republicanism, in which both political equality and ethnic exclusiveness of nationalism were mixed. 朴殷植's [瑞士建國誌](1907), almost literal copy of 鄭哲's, reflected hope of ‘independence’ of Joseon by making small differences from 'the original'. 김병현's [셔건국지](1907) deleted republicanism and focused on the providence of Heaven(天理), which controls competition of the world by restraining the strong and supporting the weak.

      • KCI등재

        <혈의 누>와 <만세보> 논설을 통해 본 이인직의 정치사상 – 자강론과 연방국가론을 중심으로

        윤영실 한국근대문학회 202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1 No.1

        이 논문은 ‘정치소설’과 ‘신소설’로 양분된 근대계몽기 문학사에서 이인직의 ‘신’소설들이 지닌 ‘정치성’을 새삼 문제삼기 위해 『혈의 누』에 대한 정치적 재해석을 시도했다. 특히 이인직의 『혈의 누』를 『만세보』의 논설들과 겹쳐봄으로써 1906-7년 무렵 이인직의 정치사상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먼저 동경정치학교 이래 이인직의 언론관이 형성된 궤적을 살펴보고, 『만세보』에서 정치, 문학, 학술을 아우르는 이인직의 다방면의 글쓰기들이 모두 뚜렷한 정치적 당파성을 띠었음을 규명했다.(2장). 다음으로 국제법학자 아리가 나가오의 사상적 영향들을 검토하면서, 『혈의 누』의 옥련 서사를 보호국 통치와 자강운동의 정치적 알레고리로 분석했다.(3장) 마지막으로 자강론 안의 다양한 붕달들의 배치 안에서 이인직의 민권론과 삼진연방론을 검토함으로써 이인직의 정치사상이 지닌 특이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특히 『혈의 누』의 서사시간(1902년)과 서술시간(1906)의 간극에 주목함으로써, 서사의 표층이 제시하는 자강론적 정치 비전이 작가 자신의 회의적 시선과 패배감에 의해 어떻게 균열되는지 분석함으로써, 이후 식민지 통치 체제 옹호로 치달아간 이인직의 행보를 규명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고자 했다.(4장) 상이한 근대국가 기획들이 경합하던 대한제국 말기에 『혈의 누』가 소설 형식을 통해 담아냈던 정치적 당파성은 ‘현실’의 서사적 구성에서 ‘정치’와 ‘소설’이 근본적으로 교착하고 있었음을 보여줄 것이다. This article reinterprets Tears of Blood, presumably the first ‘new novel’ of Korea, in terms of politics in order to revisit the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most of which generally divides early modern Korean novels into two categories, ‘new novels’ and ‘political’ novels. First of all, it examines how Gunpei Matsumoto’s journalism theory influenced Yi’s political writings in journalism, the object of which was the nation-state building. Then it analyzes Theories of the Protectorate System written by Nagao Ariga and its influence on Self-strengthening Movement in Korea. In the historical and intellectual contexts, Ok-ryeon’s narrative of Tears of Blood can be reinterpreted as an allegory of the political vision of self-strengthening movements under the protectorate system. Finally, it examines Yi’s political thoughts of people’s rights and the federal system more specifically in the configuration of political factions of the time, which reveals his skeptical prospects of Korean nation-state building in spite of the message of the no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